KR200342344Y1 -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 Google Patents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344Y1
KR200342344Y1 KR20-2003-0035888U KR20030035888U KR200342344Y1 KR 200342344 Y1 KR200342344 Y1 KR 200342344Y1 KR 20030035888 U KR20030035888 U KR 20030035888U KR 200342344 Y1 KR200342344 Y1 KR 200342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imchi
seating groove
extens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성철사창원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철사창원공장 filed Critical (주)성철사창원공장
Priority to KR20-2003-0035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6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 B65D2525/288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by pivot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7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secured locally, i.e. a lot less than half the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94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805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은, 김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저장공간(41)과,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 가장자리에 외향되게 돌출성형된 다수개의 잠금돌기(42)를 가지는 저장용기(40)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오목한 손잡이 안착홈(32)이 성형된 상부면(31)과, 상기 상부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성형되며 잠금돌기가 삽탈되는 잠금홈(34)을 가지는 잠금편(33)으로 이루어진 뚜껑부(30)와; 상기 손잡이 안착홈에 내장가능하고, 힌지부(H1,H2)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장부(36,37)를 가지는 손잡이부(3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9)는, 일단이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장부(36)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제1힌지부(H1)로 연결되는 제2연장부(37)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제2힌지부(H2)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파지부(38)로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손잡이 안착홈에 손잡이부를 완전히 수납시킬 수 있어 다수개의 김치통을 적층하기 용이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Handle for Kimchi receptacle}
본 고안은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부에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다수개의 힌지부를 가지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고도 김치냉장고의 몸체케이싱 내부에 김치통을 쉽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하기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용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실시예에 의한 김치 저장용기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 등과 같은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본체(12)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하는 뚜껑(14)을 구비한 저장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상부의 마주보는 양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12a)와, 상기 걸림부재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걸림부재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손잡이(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손잡이(16)는, 상하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2)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수평가이드(16a)와, 상기 수평가이드(16a)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서 상기 탄성손잡이(16)의 좌우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직가이드(16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김치 저장용기(10)는, 김치냉장고의 내벽에 맞닿아 있는 손잡이부(16)를 잡기에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부개폐식 김치냉장고에 상기 김치 저장용기(10)를 다단으로 적층시킬 경우에,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탄성손잡이(16)의 수평가이드(16a)에 의하여 김치 저장용기(10)를 안정적으로 적층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도 2에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김치통(20)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본체(22)와, 상기 용기본체(22)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24)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2)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잠금돌기(21)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잠금돌기(21)가 삽탈 가능하도록 잠금홈(28)이 뚜껑(24)의 잠금편(27)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편(27)은 뚜껑(24)의 상부면에서 하향절곡 가능하도록 절곡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4)의 중심에는 오목하게 손잡이 안착홈(23)이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 안착홈(23)의 측벽에 회동공(25)에 체결된 손잡이(26)는 회동공(25)을 기준으로 세워지거나 눕힐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김치통(20)을 김치냉장고에서 꺼낼 때, 한손으로 손잡이(26)를 잡고 꺼내야 하므로, 무거운 김치통(20)을 들기에 많은 힘이 든다.
그리고, 상부개폐식의 김치냉장고는 저장공간이 깊어 허리를 많이 숙여서 저장되어 있는 김치통(20)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 잠금편(27)은, 용기본체(22)를 여닫을 때마다 폈다가 절곡시키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절곡부(29)가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안출된 것으로, 손잡이의 길이가 다단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고도 쉽게 김치냉장고에서 김치통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김치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황에 따라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김치통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의 잠금편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구성되는 김치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의한 김치통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김치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김치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김치통 뚜껑부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뚜껑부 31 ..... 상부면
32 ..... 손잡이 안착홈 32a ..... 가이드홈
33 ..... 잠금편 34 ..... 잠금홈
35 ..... 보강심 36 ..... 제1연장부
36a ..... 돌기 37 ..... 제2연장부
38 ..... 파지부 39 ..... 손잡이부
40 ..... 저장용기 41 ..... 저장공간
42 ..... 잠금돌기 H1 ..... 제1힌지부
H2 ..... 제2힌지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은, 김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외향되게 돌출성형된 다수개의 잠금돌기를 가지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오목한 손잡이 안착홈이 성형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연장성형되어 잠금돌기가 삽탈되는 잠금홈을 가지는 잠금편으로 이루어진 뚜껑부와; 상기 손잡이 안착홈에 내장가능하고,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장부를 가지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안착홈은 한쌍으로 나란히 성형되며, 상기 한쌍의 손잡이 안착홈에 체결되는 손잡이부는 펼쳐졌을 때 서로 대칭된 형상을 이루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편에는 절곡부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봉을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봉은 금속재나 강도가 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연결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힌지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파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의 저측 단부에는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조립가능하도록 돌기가 성형되고, 상기 돌기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에는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을 성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그리고 파지부는 각각 힌지를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펼쳐지고, 손잡이 안착홈에 수납될 때에는 서로 맞닿도록 접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1연장부 및 파지부는 수직상태이고, 상기 제1연장부와 파지부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2연장부는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그리고 파지부가 힌지를 기준으로 직선을 이루도록 펼쳐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안착홈에 손잡이부를 완전히 수납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수개의 김치통을 적층시키기 용이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다수개의힌지를 구성하여 관절형태로 이루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김치통의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김치통의 손잡이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4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과 동일하게 상부가 개구되어 김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41)과, 상기 저장공간(41)의 상부 가장자리에 외향되게 돌출성형된 다수개의 잠금돌기(4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40)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30)에는, 한쌍의 손잡이 안착홈(32)이 오목하게 성형된 상부면(31)과, 상기 상부면(31)의 가장자리에 연장성형되어 잠금돌기(42)가 삽탈되는 잠금홈(34)을 가지는 잠금편(3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편(33)의 절곡부위에는 보강심(35)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심(35)은,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고, 봉형태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 안착홈(32)에는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부(H1,H2)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장부(36,37)를 가지는 손잡이부(39)가 조립된다.
상기 손잡이부(39)는, 일단이 손잡이 안착홈(32)의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장부(36)와, 상기 제1연장부(36)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제1힌지부(H1)로 연결되는 제2연장부(37)와, 상기 제2연장부(37)의 단부에 제2힌지부(H2)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파지부(38)로 구성된다.
도 4에는 상기 손잡이부(39)가 손잡이 안착홈(32)에 조립된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부분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 안착홈(32)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a)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9)는 제1연장부(36)의 저측 단부에 돌기(36a)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돌기(36a)는 가이드홈(32a)에 조립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돌기(36a)가 가이드홈(32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홈(32a) 입구에는 이탈방지편(32b)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탈방지편(32b)은 가이드홈(32a)을 따라 이동되는 돌기(36a)의 양측을 잡아줄 수 있도록 돌기(36a)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서 각각 연장되게 손잡이 안착홈(32)의 내벽에 성형된다. 물론, 상기 이탈방지편(32b)은, 손잡이부(39)가 회동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손잡이 안착홈(32)의 내벽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성형되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김치통은, 뚜껑부(30)를 저장용기(40)의 상측에 위치시켜, 잠금편(33)을 이용하여 저장공간(41)의 상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는, 상부면(31)의 가장자리에서 사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잠금편(33)을 하향 절곡시켜 잠금돌기(42)가 잠금홈(3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뚜껑부(30)가 저장용기(40)의 상부에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40)의 저장공간(41)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뚜껑부(30)를 여는 것은, 잠금편(33)을 바깥쪽으로 당겨 잠금돌기(42)가 잠금홈(34)에서 이탈시킨 후에, 상기 뚜껑부(3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은 종래의 김치통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부(30)를 이용하여 저장공간(41)을 개폐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더라도, 잠금편(33)이 절곡되는 부위에 내장되는 보강심(35)에 의하여 잠금편(33)에 가해지는 힘을 오랫동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는, 보강심(35)이 내장되어 있는 잠금편(33)을 절곡시키거나 바깥쪽으로 당길 뚜껑부(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부(30)에 의하여 저장공간(41)이 밀폐된 저장용기(40)를 들어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9)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39)는 다수개의 힌지부(H1,H2) 및 연장부(36,37)를 포함하고 있는 관절형태의 다단 형태를 이루고 있다.
사용자가 파지부(38)를 잡고 손잡이부(39)를 손잡이 안착홈(3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들어올리면, 힌지부(H1,H2)를 기준으로 제2연장부(37) 및 파지부(38)가 회동된다. 그리고, 손잡이 안착홈(32)에 누워있던 제1연장부(36)는 돌기(36a)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직립된다. 즉, 상기 제1연장부(36) 및 제2연장부(37), 그리고 파지부(38)는 각각 힌지부(H1,H2)를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36) 및 파지부(38)는 수직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제1연장부(36)와 파지부(38)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2연장부(37)는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9)를 상측으로 당기면, 제1연장부(36)의 돌기(36a)가 가이드홈(32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파지부(38)의 높이가 상부면(31)에서 더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9)가 손잡이 안착부(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들어올려져 제1연장부(36)에 의하여 파지부(38)의 위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서로 대칭되게 조립되어 있는 한쌍의 손잡이부(39)가 제2연장부(37)에 의하여 파지부(38)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된다. 이로써, 저장공간(41)에 보관중인 김치의 양이 적어 가벼운 경우에는 한손으로 한쌍의 파지부(38)을 잡아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한쌍의 파지부(38)를 한손에 움켜쥐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38)가 제2힌지부(H2)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어 서로 맞닿게 위치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한쌍의 파지부(38)가 직립되면, 각각 다른 손으로 파지부(38)를 하나씩 잡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 파지부(38)를 잡았을 경우에는 파지부(38)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39)를 잡고 김치통을 김치냉장고나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부개폐식으로 이루어진 김치냉장고에는 김치통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 때, 김치냉장고의 바닥면에 놓이게 되는 김치통을 수납하거나 꺼낼 때 다단으로 펼쳐지는 손잡이부(39)에 의하여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고도 쉽게 김치통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김치통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에는, 힌지부(H1,H2)를 기준으로 다단으로 펼쳐져 있는 상기 손잡이부(39)를 손잡이 안착홈(32) 내부로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잡이부(39)에 의하여 상부면(31) 위에 적층되는 김치통이 흔들림없이 적재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손잡이부(39)의 상측인 파지부(38)를 하방으로 누르면, 제2힌지부(H2)를 기준으로 파지부(38)가 회동하여 제2연장부(37)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37)는 제1힌지부(H1)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제1연장부(36)에 접촉된다. 또한, 제1연장부(36)는 돌기(36a)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손잡이 안착홈(32)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제1연장부(36)는 돌기(36a)가 가이드홈(32a)을 따라 하향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 안착홈(32)의 바닥면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 안착홈(32)에 손잡이부(39)가 완전하게 수납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39)의 파지부(38) 및 다수개의 연장부(36,37)이 접혀진 상태의 두께가 손잡이 안착홈(32)의 높이 이하를 유지하여야 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단 손잡이부가 구성된 김치통은, 다수개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관절형태로 절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제1연장부에 형성된 돌기가 손잡이 안착홈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가이드홈에 높이조절용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제1연장부의 돌기의 위치를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부의 최대 높이를 한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부를 펼쳐 파지부의 높이를 높인 후에, 김치통을 들고 이동시킬 수 있어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김치통을 들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한쌍의 손잡이부를 대칭되게 구성하여 파지부를 한손 또는 양손을 자유롭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김치통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안착홈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제1연장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파지부의 높이를 최대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가 손잡이 안착홈에 완전하게 내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김치통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7)

  1. 김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외향되게 돌출성형된 다수개의 잠금돌기를 가지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오목한 손잡이 안착홈이 성형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연장성형되어 잠금돌기가 삽탈되는 잠금홈을 가지는 잠금편으로 이루어진 뚜껑부와;
    상기 손잡이 안착홈에 내장가능하고,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장부를 가지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안착홈은,
    한쌍으로 나란히 성형되며,
    상기 한쌍의 손잡이 안착홈에 체결되는 손잡이부는 펼쳐졌을 때 서로 대칭된 형상을 이루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편에는 절곡부위에 강도보강용 보강봉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봉은 금속재 또는 강도가 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제1힌지부로 연결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제2힌지부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저측 단부에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조립가능하도록 돌기가 성형되고,
    상기 돌기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손잡이 안착홈의 내벽에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입구에 돌기의 양쪽을 감싸도록 이탈방지편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손잡이부를 가지는 김치통.
KR20-2003-0035888U 2003-11-17 2003-11-17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KR200342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88U KR200342344Y1 (ko) 2003-11-17 2003-11-17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88U KR200342344Y1 (ko) 2003-11-17 2003-11-17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344Y1 true KR200342344Y1 (ko) 2004-02-18

Family

ID=4942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888U KR200342344Y1 (ko) 2003-11-17 2003-11-17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58A (ko) * 2004-06-02 2005-12-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58A (ko) * 2004-06-02 2005-12-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용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393B1 (en) Container with latch
KR960004757Y1 (ko) 과일상자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EP1160169A2 (en) A plastic box with collapsible walls provided with folding support legs
KR200342344Y1 (ko)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RU200468U1 (ru) Складной ящик, оснащенный фикс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211108839U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斜插式物流箱
KR20040057231A (ko) 안전손잡이가 달린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JP373541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EP1223109A1 (en) A plastic box with collapsible walls provided with folding support legs
KR200326350Y1 (ko) 김치저장고용 저장용기의 손잡이
CN214397681U (zh) 一种折叠筐
KR200331135Y1 (ko) 다용도 플라스틱 수납박스
JP3014125U (ja) 携帯用保温容器の取っ手
KR200424782Y1 (ko) 콤팩트 용기
KR200242552Y1 (ko) 손톱소제 용구함
KR200212341Y1 (ko) 식품저장용기
KR100565994B1 (ko) 음식저장용기의 손잡이구조
KR100433459B1 (ko) 링크를 이용한 다용도 케이스
KR200245446Y1 (ko) 슬라이드식 손잡이를 갖는 저장용기
KR200311541Y1 (ko) 안전손잡이가 달린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11662Y1 (ko) 압력제거 기능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0194570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279276Y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통
KR200213682Y1 (ko) 슬라이드식 손잡이를 갖는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