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502Y1 -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2502Y1 KR200242502Y1 KR2020010016110U KR20010016110U KR200242502Y1 KR 200242502 Y1 KR200242502 Y1 KR 200242502Y1 KR 2020010016110 U KR2020010016110 U KR 2020010016110U KR 20010016110 U KR20010016110 U KR 20010016110U KR 200242502 Y1 KR200242502 Y1 KR 2002425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device
- mounting plate
- link mechanism
- safety cover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장치용 안전커버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힌지장치는 제1 마운팅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링크기구가 개재되어 구성된다. 또한, 안전커버는 힌지장치의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2 고정부와, 링크기구를 수용하여 둘러쌀 수 있도록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신축성을 갖는 벨로즈 형상의 커버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힌지장치의 링크기구를 둘러싸서 링크기구가 접철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힌지장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장치가 접철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다양한 형태의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증대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7449호의 가구용 힌지조립체에는 가구의 본체와 도어 각각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도어의 열림 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레버들과 핀들로 구성되어 있는 링크기구가 개재되어 있고, 링크기구는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힌지조립체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열려져 있는 도어를 닫을 때, 링크기구가 접철되는 부위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옷자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이 상존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열려져 있는 도어를 닫을 때 링크기구의 레버들이 핀들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히는 부위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레버들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게 되면, 접혀지는 레버들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심하게 상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링크기구의 레버들이 소정의 각도로 접히게 되면, 링크기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어의 닫힘방향으로 작동하여 접히게 되며, 이때 레버들 사이에 끼어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은 심한 경우 절단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손가락의 절단 사고는 위험에 대한 인지력과 대응력이 낮은 어린이에게 발생되는 빈도가 매우 높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장치가 접철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용 안전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힌지장치가 적용되는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는 힌지장치용 안전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제1 마운팅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링크기구가 개재되어 구성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2 고정부와; 링크기구를 수용하여 둘러쌀 수 있도록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신축성을 갖는 벨로즈 형상의 커버부로 구성되는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에 있다.
또한, 안전커버의 커버부에는 개방단부와 근접하여 최대 두께를 갖는 육후부가 형성되어 개방단부의 벌어짐이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채용되어 있는 힌지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커버가 채용되어 있는 힌지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의 커버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힌지장치 12, 14: 제1 및 제2 마운팅플레이트
16: 링크기구 18, 20: 제1 및 제2 어저스팅브래킷
24a∼24d: 제1 내지 제4 링크 40: 안전커버
42, 44: 제1 및 제2 고정부 46: 개방단부
48: 커버부 50: 육후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힌지장치(10)는 예를 들어 가구의 본체 (1) 또는 벽판에 나사(12a)의 체결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1 마운팅플레이트(12)와, 가구의 도어(2)에 나사(14a)의 체결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2 마운팅플레이트(14)를 구비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힌지장치(10)의 제1 마운팅플레이트(12)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14) 사이에는 제1 마운팅플레이트(12)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14)를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링크기구(16)가 개재되어 있다. 링크기구(16)의 제1 어저스팅브래킷(Adjusting Bracket: 18)은 제1 마운팅플레이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18a)의 체결에 의하여 제1 마운팅플레이트(12)에 조립되어 있으며, 제1 어저스팅브래킷(18)에는 제1 어저스팅브래킷(18)에 대하여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어저스팅브래킷(20)이 나사(20a)의 체결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다. 제1 어저스팅브래킷(18)의 끝단과 제2 어저스팅브래킷(20)의 중앙에는 셋팅핀(Setting Pin: 22)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2 어저스팅브래킷(20)의 일단에는 링크기구(16)를 구성하는 제1 링크(24a)의 일단이 제1 힌지축(26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24a)의 타단에는 제2 힌지축(26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링크(24b)가 연결되어 있고, 제2 링크(24b)의 타단은 제3 힌지축(26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마운팅플레이트(14)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 어저스팅브래킷(20)의 상측에 제4 힌지축(26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3 링크(24c)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링크(24c)의 타단에는 제5 힌지축(26e)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4 링크(24d)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4 링크(24d)의 타단은 제6 힌지축(26f)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마운팅플레이트(14)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24a)와 제4 링크(24d)의 중앙은 제7 힌지축(26g)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크 (24b)의 내측에는 도어(2)의 닫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8)이 장착되어 있으며, 제3 힌지축(26c)에는 스프링(28)을 지지하는 서포터(3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모두 참조하면, 힌지장치(10)는 안전커버(40)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있다. 안전커버(40)는 제1 마운팅플레이트(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1 고정부(42)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14)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2 고정부(44)를 구비한다. 안전커버(40)의 제1 및 제2 고정부(42, 44)는 가구의 본체(1)와 도어(2)에 힌지장치(10)의 제1 및 제2 마운팅플레이트(12, 14)를 조립하기 위하여 체결하는 나사(12a, 14a)에 의하여 고정시키거나 접착제에 의하여 제1 및 제2 마운팅플레이트(12, 14)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커버(40)의 제1 및 제2 고정부(42, 44)에는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고정부(42, 44)의 구멍 또는 홈을 끼워맞춤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힌지장치(10)의 제1 및 제2 마운팅플레이트(12, 14)에 돌기를 형성하여 힌지장치(10)의 제1 및 제2 마운팅플레이트 (12, 14)를 안전커버(40)의 제1 및 제2 고정부(42, 44)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전커버(40)의 제1 고정부(42)와 제2 고정부(44)에는 힌지장치(10)의 링크기구(16)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단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커버부(48)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커버부(48)의 개방단부(46)는 본 고안의 힌지장치(10)가 적용되는 가구의 본체(1)와 도어(2)의 벽면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커버(40)의 커버부(48)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크기구(15)의 링크운동, 즉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도록 벨로즈(Bellows)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커버(40)의 제1 고정부(42), 제2 고정부(44)와 커버부(48)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안전커버(40)의 커버부(48)에는 개방단부(46)와 근접하여 최대 두께를 갖는 육후부(肉厚部: 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육후부(50)는 커버부(48)의 전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부(48)의 다른 부위보다 변형에 강한 특성을 보유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개방단부(46)의 외측으로의 벌어짐이나 들뜸을 방지한다. 도 4에는 커버부(48)의 단면이 원호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커버부(48)의 형상은 링크기구(15)의 링크운동에 간섭되지 않은 사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커버(40)의 커버부(48)는 제1 내지 제4 링크 (24a∼24d)를 갖는 힌지장치(10)의 링크기구(16)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커버부(48)의 구성은 링크의 숫자와 구조에 적절하게 부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링크기구(16)의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 각각이 제1 내지 제7 힌지축(26a∼26g)을 중심으로 펼쳐져 가구의 도어(2)가 열려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28)은 서포터(30)의 지지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다.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열려져 있는 도어(2)를 닫게 되면, 링크기구(16)의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가 제1 내지 제7 힌지축(26a∼26g)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혀지고, 가구의 도어(2)는 닫히게 된다. 도어(2)의 닫힘동작 중에 링크기구(16)의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가 소정의 각도로 접혀지면,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는 스프링(28)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도어(2)의 닫힘방향으로 작동되어 접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2)의 닫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링크기구(16)의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가 접혀질 때, 기존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가 접혀지는 부위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옷자락 등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의 안전커버(40)는 그 커버부(48)가 링크기구(16)의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를 수용하여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가 접혀지는 부위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옷자락 등이 끼이는 것을 차단한다. 이 결과, 힌지장치 (10)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40)의 커버부(48)는 신축이 자유로운 벨로즈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링크운동하는 링크기구(16)의 제1 내지 제4 링크(24a∼24d)와 간섭됨이 없이 힌지장치(10)의 작동을 원활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커버부(48)의 개방단부(46)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육후부(50)는 외력에 의하여 개방단부(46)가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어린이가 개방단부(46)를 통하여 커버부(48)의 내측으로 손가락을 집어넣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용 안전커버에 의하면, 힌지장치의 링크기구를 둘러싸서 링크기구가 접철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힌지장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힌지장치가 적용되는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제1 마운팅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플레이트 사이에 링크기구가 개재되어 구성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 마운팅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1 고정부와;상기 제2 마운팅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2 고정부와;상기 링크기구를 수용하여 둘러쌀 수 있도록 개방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신축성을 갖는 벨로즈 형상의 커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개방단부와 근접하여 최대 두께를 갖는 육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6110U KR200242502Y1 (ko) | 2001-05-30 | 2001-05-30 |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6110U KR200242502Y1 (ko) | 2001-05-30 | 2001-05-30 |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2502Y1 true KR200242502Y1 (ko) | 2001-10-29 |
Family
ID=7308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6110U KR200242502Y1 (ko) | 2001-05-30 | 2001-05-30 |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250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5638A (ko) * | 2002-04-29 | 2003-11-07 | 유피아이 주식회사 | 가구용 힌지 |
KR102221390B1 (ko) * | 2020-06-17 | 2021-02-26 | 임효정 | 공기정화 경첩 |
-
2001
- 2001-05-30 KR KR2020010016110U patent/KR2002425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85638A (ko) * | 2002-04-29 | 2003-11-07 | 유피아이 주식회사 | 가구용 힌지 |
KR102221390B1 (ko) * | 2020-06-17 | 2021-02-26 | 임효정 | 공기정화 경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2743B1 (ko) | 댐핑을 구비한 멀티-링크 힌지 | |
US20040205935A1 (en) | Damping device | |
US4949427A (en) | Hinge with integral detent and stop | |
KR200242502Y1 (ko) |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 |
KR102000902B1 (ko) | 경첩 장치 | |
JPH10306632A (ja) | 蝶番式ロックキー | |
WO2006035338A1 (en) | Slow closure mechanism for toilet covers | |
JP2005507472A5 (ko) | ||
JP2005507472A (ja) | ヒンジ | |
RU2443839C2 (ru) |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 |
JP3628530B2 (ja) | 指詰め防止機構付きドア | |
KR200340543Y1 (ko) |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 |
CN220036425U (zh) | 铰链及烹饪器具 | |
KR200222438Y1 (ko) |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
KR200304418Y1 (ko) | 가구용 경첩의 안전장치 | |
KR20000016870U (ko) | 옷장용 경첩의 안전커버 | |
KR200283696Y1 (ko) | 가구용 힌지의 열림각도 제한장치 | |
KR200246058Y1 (ko) | 가구용 도어힌지 안전커버 | |
KR20210128816A (ko) |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 |
GB2344851A (en) | A hinge for furniture | |
KR970006746A (ko) | 도어체커가 일체로 구비된 도어힌지 | |
KR970017345A (ko) | 브이.씨.알.용 릴기어 제동부재의 탄성구조 | |
JP3585019B2 (ja) |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ク装置 | |
KR19990018008A (ko) | 자동차의 도어힌지 | |
KR200269323Y1 (ko) | 가구용 힌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