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438Y1 -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438Y1
KR200222438Y1 KR2020000033441U KR20000033441U KR200222438Y1 KR 200222438 Y1 KR200222438 Y1 KR 200222438Y1 KR 2020000033441 U KR2020000033441 U KR 2020000033441U KR 20000033441 U KR20000033441 U KR 20000033441U KR 200222438 Y1 KR200222438 Y1 KR 200222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rice cooker
rotational for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길
Original Assignee
성광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광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광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438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밥솥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에 타단부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력을 감소시켜 정지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정지부와, 상기 뚜껑의 연장부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정지부의 마찰부에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완충시키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고정부에 탄지부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로 되고, 상기 고정부의 양단부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연장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체결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에 뚜껑을 회전 개폐식으로 결합하고, 본체와 뚜껑 사이에 탄성부재를 연결하여 그 탄성부재의 복원탄력에 의해 뚜껑을 개방시키는 타입에 판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을 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하여 뚜껑의 회전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뚜껑이 개방되면서 좌우로 흔들리고 이 충격으로 본체도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는 불안정감을 해소하여 제품의 안정감을 향상시고, 이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COVER OPENING AND SHUTTING ELECTRIC RICE COOKER}
본 고안은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압력 및 일반보온밥솥의 뚜껑이 열릴 때의 충격을 완화시켜 안정하게 열리도록 한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 및 일반보온밥솥과 같은 전기밥솥은 본체에 뚜껑이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버튼을 눌러 잠금을 해제하면 뚜껑과 본체 사이에 연결된 탄성부재의 강한 복원탄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와 같은 종래 전기 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뚜껑이 닫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뚜껑이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전기압력 및 일반보온밥솥은 본체(1)에 뚜껑(2)이 결합되어 있고, 뚜껑(2)에 일단부가 고정된 탄성부재(3)의 타단부가 본체(1)의 후방부에 힌지축(4)으로 결합되어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와 뚜껑(2)의 전방부에는 뚜껑(2)이 닫혔을 때에 잠그기 위한 버튼(5)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 밥솥은 버튼(5)을 눌러 뚜껑(2)을 열 때 뚜껑(2)이 탄성부재(3)의 힘에 의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며 이 때 뚜껑(2)이 탄성부재(3)의 강한 탄력에 의해 좌우로 2-3번 흔들림과 동시에 바닥면을 기준으로 본체(1)가 위아래로 흔들린 후, 도 2와 같이 뚜껑(2)의 연장부(6)에 형성된 걸림부(7)가 본체(1)에 형성된 정지부(8)에 걸려 정지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전자 밥솥은 무거운 뚜껑(2)을 열기 위해서는 탄성부재(3)의 큰 힘이 필요하나, 이 탄성부재(3)의 큰 탄력에 의해 뚜껑(2)이 다 열렸는데도 멈추지 않고 앞뒤로 흔들리고 본체(1)도 바닥에서 튀어 올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뚜껑(2)을 열 때 마다 발생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불만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기압력 및 일반보온밥솥의 뚜껑이 열릴 때의 충격을 완화시켜 안정하게 열릴 수 있게 되는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전기 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뚜껑이 닫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뚜껑이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3은 뚜껑이 닫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뚜껑 개폐장치의 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뚜껑
3 : 탄성부재 4 : 힌지축
6 : 연장부 6a : 체결부
8 : 정지부 8a : 마찰부
10 : 완충수단 20 : 판스프링
21 : 고정부 22 : 탄지부
23 : 고정공 24 : 나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는 밥솥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에 타단부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력을 감소시켜 정지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정지부와, 상기 뚜껑의 연장부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정지부의 마찰부에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완충시키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고정부에 탄지부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로 되고, 상기 고정부의 양단부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연장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체결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3에는 뚜껑이 닫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뚜껑 개폐장치의 작용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밥솥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뚜껑(2)과, 뚜껑(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본체(1)에 타단부가 힌지축(4)으로 결합되어 뚜껑(2)의 개방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와, 상기 뚜껑(2)이 개방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력을 감소시켜 정지시키기 위한 완충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수단(10)은 예를 들어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정지부(8)와, 뚜껑(2)의 연장부(6)에 고정되어 뚜껑(2)의 개방위치에서 본체(1)의 정지부(8)에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완충시키는 판스프링(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20)은 고정부(21)에 탄지부(22)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1)의 양단부에 고정공(23)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2)의 연장부(6) 하단부에 구비된 체결부(6a)에 나사(24)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전자 밥솥은 도 3과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버튼(5)을 눌러 개방시키면 뚜껑(2)이 탄성부재(3)의 복원 탄력에 의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도 4(a)와 같이 판스프링(20)이 본체(1)의 정지부(8)에 구비된 마찰부(8a)에 먼저 닿아 도 4(b)와 같이 변형되면서 회전력을 감소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뚜껑(2)이 좌우 흔들림이 안정하게 열리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20)은 뚜껑(2)의 연장부(6)의 체결부(6a)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이에 고정부(21)를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조립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이 연장부(6)의 체결부(6a)에 판스프링(20)의 고정부(21)를 나사(24)로 체결하는 것이 작업자의 작업성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나사 체결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에 뚜껑을 회전 개폐식으로 결합하고, 본체와 뚜껑 사이에 탄성부재를 연결하여 그 탄성부재의 복원탄력에 의해 뚜껑을 개방시키는 타입에 판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을 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하여 뚜껑의 회전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뚜껑이 개방되면서 좌우로 흔들리고 이 충격으로 본체도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는 불안정감을 해소하여 제품의 안정감을 향상시고, 이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이 안정하게 개방되도록 작용하는 판스프링을 나사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조립작업이 간편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되어 내구성이 양호하고, 판스프링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밥솥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뚜껑(2)과, 상기 뚜껑(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1)에 타단부가 힌지축(4)으로 결합되어 상기 뚜껑(2)의 개방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와, 상기 뚜껑(2)이 개방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력을 감소시켜 정지시키기 위한 완충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0)은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정지부(8)와, 상기 뚜껑(2)의 연장부(6)에 고정되어 상기 뚜껑(2)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정지부(8)의 마찰부(8a)에 접촉되면서 회전력을 완충시키는 판스프링(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20)은 고정부(21)에 탄지부(22)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로 되고, 상기 고정부(21)의 양단부에 고정공(23)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2)의 연장부(6)의 하단부에 구비된 체결부(6a)에 나사(24)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20000033441U 2000-11-29 2000-11-29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0222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41U KR200222438Y1 (ko) 2000-11-29 2000-11-29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41U KR200222438Y1 (ko) 2000-11-29 2000-11-29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438Y1 true KR200222438Y1 (ko) 2001-05-02

Family

ID=7308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441U KR200222438Y1 (ko) 2000-11-29 2000-11-29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4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34A (ko) * 2002-03-15 200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장치
KR20170068990A (ko)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가열조리기의 뚜껑열림 버튼 어셈블리
KR102089174B1 (ko) * 2018-09-14 2020-04-23 정동영 튀김기용 튀김 부유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34A (ko) * 2002-03-15 200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장치
KR20170068990A (ko)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가열조리기의 뚜껑열림 버튼 어셈블리
KR102089174B1 (ko) * 2018-09-14 2020-04-23 정동영 튀김기용 튀김 부유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284B2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CA2779919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KR200222438Y1 (ko)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02000902B1 (ko) 경첩 장치
KR102613455B1 (ko) 멀티링크 힌지
CN112739881B (zh) 具有终端速度衰减的家电和陈设的铰链装置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431327B1 (ko) 멀티링크 힌지
KR101987281B1 (ko) 가구용 손잡이
CN211081433U (zh) 二段力缓冲铰链和柜体组件
US6237191B1 (en) Hinge of the soft type with braked open position
KR200299166Y1 (ko) 전기밥솥뚜껑의 안정개방장치
KR200445166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
TWI266297B (en) Locking member for an external optical disk drive
JPH07291323A (ja) 蓋開閉装置
KR20210007004A (ko) 가구용 손잡이
KR950007288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 힌지장치
KR940007659Y1 (ko) 식기세척기 문 개폐장치
KR0119442Y1 (ko) 씽크대문용 힌지의 판스프링
KR20210019037A (ko) 가구용 손잡이
KR0134399Y1 (ko) 자동차 콘솔박스의 구조
KR20240038556A (ko) 멀티링크 힌지
KR20230110239A (ko) 가구용 손잡이
KR920000053Y1 (ko) 전지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