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60Y1 -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60Y1
KR200241460Y1 KR2020010014413U KR20010014413U KR200241460Y1 KR 200241460 Y1 KR200241460 Y1 KR 200241460Y1 KR 2020010014413 U KR2020010014413 U KR 2020010014413U KR 20010014413 U KR20010014413 U KR 20010014413U KR 200241460 Y1 KR200241460 Y1 KR 200241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oil
hydraulic
auxiliar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중
서윤석
서장원
배수원
Original Assignee
은성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산업 (주) filed Critical 은성산업 (주)
Priority to KR2020010014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60Y1/ko

Links

Landscapes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가 충전된 메인오일탱크(100)와;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에 고압의 유압을 제공시키는 메인펌프(110)와;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와 연결되어 메인오일탱크(100)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압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에 저압의 유압을 제공시키는 보조오일탱크(130)와;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메인오일탱크(100)내의 작동유를 상기 보조오일탱크로 전달시키는 보조펌프(120); 그리고, 상기 보조오일탱크(130)에 형성되어 보조오일탱크(130)의 유량을 제어시키는 감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보조오일탱크(130)에서 저압의 작동유가 유입되며, 순차적으로 메인오일탱크(100)에서 고압의 작동유가 유입되어 프레싱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고압발생을 위한 펌프의 사용에 의한 열의 발생이 줄어들고,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가 메인오일탱크(100)측으로 상호간에 유동됨에 의해 오일냉각을 위한 장치가 따로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레스기의 오일 공급장치{oil supply device for press}
본 고안은 신발용 솔 제작시 사용되는 프레스기 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기에 저압과 고압을 제공하는 오일을 별개로 공급시키는 개별가압방식을 적용하여 각 프레스기를 상승, 가압시키는 프레스기의 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솔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프레스기는 필수적으며, 상기 프레스기의 압력공급원으로는 오일 즉, 유압프레스가 사용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프레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을 전동모터(21)로 구동되는 고압발생용 메인펌프(20)에서 직접흡입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면, 상기 메인펌프(20)의 토출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30)의 제어작동에 의하여 일을 하는 액츄에이터(40)의 내부피스톤(41)의 상측과 하측에 선택적으로 유압이 전달되면서, 피스톤로드(42)가 승강하여 일을 행하게 하였는 바, 이때 상기 메인펌프(20)의 토출측에는 스톱밸브(51)를 갖는 압력계(50)과 액츄에이터(40)에 전달되는 압력을 설정하여 오바되는 오일을 드레인하는 릴리프밸브(60)와, 액츄에이터(40)의 내부피스톤(41) 하측에 전달되는 상승유압라인에 설치되는 카운트발란스밸브(70)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고압의 유압을 토출하기 위해 오일탱크로 부터 오일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전력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오일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력의 부족으로 오일과 함께 공기가 혼입되므로 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7-28141호에는 유압프레스의 유압발생장치가 소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탱크(10)와 고압발생용 메인펌프(20)의 흡입측 사이에 모터(101)로 구동되는 저압고유량의 보조펌프(100)를 설치하여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을 일차로 보조펌프(100)로 저압으로 메인펌프(20)에 압송하면, 고압발생용 메인펌프(20)가 모터(21)의 구동으로 고압으로 일을 하는 액츄에이터측(40)으로 고압을 토출하면, 솔레노이드밸브(30)의 제어작동으로 액츄에이터(4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첫째, 메인펌프의 흡입유량이 증가하는 면은 있으나, 메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고압을 발생시키므로 메인펌프의 용량이 커짐에 의해 오일의 온도가 상승됨에 의해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둘째, 직접프레스 상승방식이므로 충격이 매우심하고, 펌프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특정프레스가 상승하여 압력이 상승하고 있을 때, 연결된 다른 프레스가 상승을 하게 되면, 특정프레스의 압력이 상승하지 못하고 연결된 프레스의 압력이 상승할 때까지 지면되어 압력이 상승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프레스에 전달되는 압력 중 고압은 메인오일탱크의 작동유를 유입시켜 가압하고, 저압은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를 유입시켜 가압시키는 개별 가압방식에 의해 프레스를 작동시키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 유입에 의한 저압공급은 공압에 의해 이루어짐에 의해 냉각장치가 불필요한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프레스의 구성을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2 -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프레스의 구성을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3 -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의 오일공급장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인오일펌프 110 : 메인펌프
111 : 제1펌프 112 : 제2펌프
120 : 보조펌프 130 : 보조오일탱크
140 : 감지부 141 : 제1센서
142 : 제2센서 143 : 제3센서
151 : 제1모터 152 : 제2모터
160 : 유압프레스 161 : 제4센서
171, 172, 175 : 체크밸브 173 : 릴리프밸브
174 : 언로딩릴리프밸브 176 : 제1밸브
181 : 에어공급밸브 182 : 배출밸브
191 : 제5밸브 192 : 제4밸브
193 : 제3밸브 194 : 제2밸브
195 : 제6밸브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작동유가 충전된 메인오일탱크와; 상기 메인오일탱크에 형성되어 유압프레스의 실린더에 고압의 유압을 제공시키는 메인펌프와; 상기 메인오일탱크와 연결되어 메인오일탱크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압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프레스의 실린더에 저압의 유압을 제공시키는 보조오일탱크와; 상기 메인오일탱크에 형성되어 메인오일탱크내의 작동유를 상기 보조오일탱크로 전달시키는 보조펌프; 그리고, 상기 보조오일탱크에 형성되어 보조오일탱크의 유량을 제어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오일탱크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의해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가 메인오일탱크로 이동되는 작동유이동로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 유입량의 최대 상한선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 유입량의 적정선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 유입량의 하한선을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오일탱크는,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되면 보조오일탱크 내부의 상승된 에어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별가압방식에 의해 프레스를 작동시킴에 의해 프레스의 작동효율이 향상되고 소음등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는 크게 메인오일탱크(100)와, 메인펌프(110)와, 보조펌프(120), 보조오일탱크(130) 그리고 감지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오일탱크(100)는 소정량의 오일이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는 메인펌프(110)인 제1펌프(111)와 제2펌프(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펌프(111)는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제2모터(152)의 구동에 의해 메인오일탱크(100) 내부의 작동유를 펌핑하여 유압프레스(160)의 피스톤측에 고압을 공급시킨다.
즉, 제1펌프(111)가 작동되면 작동유가 유동되어 체크밸브(171)(172)를 통하여 릴리프밸브(173)의 설정압력치까지 압력이 상승되며, 유압이 설정압력치 까지 상승되면 작동유는 보조오일탱크(130)로 유입된다.
상기 제2펌프(112)는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모터(152)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며, 메인오일탱크(100) 내부의 작동유를 펌핑하여 언로딩릴리프 밸브(174)측으로 전달시킨다. 언로딩릴리프 밸브(174)측으로 전달된 작동유는 후술하는 보조오일탱크(13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펌프(120)는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제1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메인오일탱크(100) 내부의 작동유를 체크밸브(175)를 통하여 보조오일탱크(120)측으로 전달시킨다.
이때 보조오일탱크(130)에 후술하는 에어공급밸브(18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의 에어탱크에서 보조오일탱크(130)측으로 공압이 전달된다.
따라서 보조오일탱크(130)에는 보조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체크밸브(175)를 통과한 작동유 및 메인펌프(110)의 작동에 의해 언로딩릴리프 밸브(174)측으로 유동되어 체크밸브를 통과한 작동유가 유입되어 충전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보조오일탱크(130)에는 작동유가 충전된다.
상기 보조오일탱크(130)는 보조오일탱크(130)내의 공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182) 및 상기 보조오일탱크 내부로의 공압 유입을 제어시키는 에어공급밸브(18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보조오일탱크(130)는 메인오일탱크(100)와 연결되어 메인오일탱크(100)의 작동유가 메인펌프(110) 및 보조펌프(120)의 동작에 의해 보조오일탱크(130)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보조오일탱크(130)는 유압프레스(160) 실린더측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공급밸브(181)를 통하여 유입된 공압에 의해 상기 유압프레스(160) 실린더측으로 저압의 유압을 공급시킨다.
상기 보조오일탱크(130)에 충전되는 작동유의 양은 감지부(140)에서 감지되는 바, 감지부(140)에서 보조오일탱크(130)에 충전되는 작동유의 양을 감지하여 제1모터(151) 및 제2모터(152)를 제어하여 보조오일탱크(130) 내부에 충전되는 작동유의 양을 제어시킨다.
상기 감지부는 제1센서(141), 제2센서(142), 제3센서(143)로 구성된다.
상기 제2센서(142)는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 충전량의 적정선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작동유가 보조오일탱크(130)에 유입되어 작동유의 적정선을 감지하는 제2센서(142)에 작동유가 감지되면 가동중인 제1모터(151)가 작동을 중지하게 되어 보조펌프(120)의 작동에 의한 작동유의 보조오일탱크(130) 유입은 중지된다. 이때 제2모터(152)는 계속적으로 작동되므로 메인펌프(110)의 동작에 의한 작동유의 유입 즉, 언로딩릴브프 밸브(174)측을 통한 작동유의 보조오일탱크(130) 유입은 계속된다.
상기와 같이 언로딩릴리프 밸브(174)측을 통한 작동유의 유입이 계속되면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의 유량은 증가하게 되는 바, 작동유가 증가되어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 유량이 제1센서(141)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제1센서(141)는 작동유 충전의 최대상한선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작동유가 제1센서(141)에 의해 감지되면 제1밸브(176)가 개방되어 보조오일탱크(130) 내부의 작동유가 제1밸브(176)를 통하여 메인오일탱크(100)측으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제1밸브(176)측에는 타이머센서가 설치되어 소정의 조정된 시간까지만 방출을 하게 됨에 의해 제1밸브(176)가 자동으로 개방/폐쇄된다. 따라서, 보조오일탱크(130) 내부에 오일이 가득차지 않더라도 후술하는 유압프레스(160)를 작동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3센서(143)는 상기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 충전 하한선을 표시하는 것으로, 작동유의 양이 제3센서(143)에 의해 감지되면 후술하는 유압프레스(160)의 작동은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지부(140)의 작동유 감지에 의해 보조오일탱크(130)내에는 적정량의 작동유가 충전되도록 제어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상기 보조오일탱크(130)에 소정의 작동유가 충전되면 외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오일탱크(130)측의 작동유가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바, 제5밸브(191))가 여자하여 제4밸브(192)을 닫고 제3밸브(193)을 열면 보조오일탱크(130)에 충전된 작동유가 유입된 에어의 압력에 의해 보조오일탱크(130)외부로 방출되어 제2밸브(194)를 통하여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로 유입된다. 즉, 유압프레스기(160)에 보조오일탱크(130)로 부터 저압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의 저압은 통상 유압프레스(160)가 상승되는 상승압을 제공하는것이며, 유압프레스(160)의 프레싱압력인 고압은 메인오일탱크(100)로 부터 직접공급된다.
여기서 보조오일탱크(130)측의 에어압력은 보조오일탱크(130)와 연결된 에어공급밸브(181)로 부터 공급된다.
보조오일탱크(130)의 저압공급에 의해 유압프레스(160)가 상승하게 되는 바, 상기 유압프레스(160)의 상승여부는 제4센서(161)에 의해 감지된다.
제4센서(161)에서 유압프레스(160)의 상승을 감지하면 감지신호에 의해 제6밸브(195)가 여자되고, 메인오일탱크(100)측의 작동유가 제6밸브(195))을 통하여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로 유입됨과 동시에 실린더에 고압의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때, 제2밸브(194)는 메인오일탱크(100)측의 전달 오일압에 의해 자동으로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에 의해 메인오일탱크(100)측의 고압이 유입 작동되어 유압프레스(160)의 고압프레싱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4센서(161)를 감지위치를 조절시킴에 의해 저압 및 고압의 작용시점 즉, 가압구간의 임의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고압의 가압구간을 짧게 조절할수록 생산성은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프레스(160)의 피스톤이 불필요하게 많이 작동되는 경우, 보조오일탱크(130)측의 작동유가 유압프레스(160) 실린더측으로 과방출되게 되며, 상기 방출되는 작동유는 제3센서(143)에 의해 감지되며, 제3센세(143)에 오일이 감지되면 상기 제3센서(143)의 감지신호에 의해 유압프레스(160)의 작동이 일시 정지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첫째, 보조오일탱크에서 저압의 작동유가 유입되며, 순차적으로 메인오일탱크에서 고압의 작동유가 유입되어 프레싱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고압발생을 위한 펌프의 사용에 의한 열의 발생이 줄어들고, 보조오일탱크의 작동유가 메인오일펌프측으로 상호간에 유동됨에 의해 오일냉각을 위한 장치가 따로이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개별가압방식으로 다른 프레스기가 작동중인 경우에도 또다른 프레스기가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펌프의 소음이 최소화되어 어느 장소에든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넷째, 프레스의 상승압력이 낮아짐에 의해 충격이 줄어들게되어 배관의 손망실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작동유가 충전된 메인오일탱크(100)와;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에 고압의 유압을 제공시키는 메인펌프(110)와;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와 연결되어 메인오일탱크(100)의 작동유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압에 의해 작동되어 유압프레스(160)의 실린더에 저압의 유압을 제공시키는 보조오일탱크(130)와;
    상기 메인오일탱크(100)에 형성되어 메인오일탱크(100)내의 작동유를 상기 보조오일탱크(130)로 전달시키는 보조펌프(120); 그리고,
    상기 보조오일탱크(130)에 형성되어 보조오일탱크(130)의 유량을 제어시키는 감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오일탱크(130)는, 상기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의해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가 메인오일탱크(100)로 이동되는 작동유이동로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40)는,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 유입량의 최대 상한선을 감지하는 제1센서(141)와;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 유입량의 적정선을 감지하는 제2센서(142)와;
    보조오일탱크(130)의 작동유 유입량의 하한선을 감지하는 제3센서(1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오일탱크(130)는,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되면 보조오일탱크(130) 내부의 상승된 에어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18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20010014413U 2001-05-17 2001-05-17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0241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13U KR200241460Y1 (ko) 2001-05-17 2001-05-17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13U KR200241460Y1 (ko) 2001-05-17 2001-05-17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29A Division KR100407197B1 (ko) 2001-05-07 2001-05-07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460Y1 true KR200241460Y1 (ko) 2001-10-15

Family

ID=7310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413U KR200241460Y1 (ko) 2001-05-17 2001-05-17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97B1 (ko) * 2001-05-07 2003-12-03 은성산업 (주)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2484757B1 (ko) 2021-07-07 2023-01-04 고현경 유압 프레스의 작동유 과열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97B1 (ko) * 2001-05-07 2003-12-03 은성산업 (주)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2484757B1 (ko) 2021-07-07 2023-01-04 고현경 유압 프레스의 작동유 과열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8426B2 (ja) 液圧プレス用制御装置と液圧プレスの運転方法
US8047701B2 (en) Batch mixer
JP5031282B2 (ja) 密閉式混練機
JP6153270B2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及びダイクッ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
JP2012002272A (ja) 油圧シリンダ及び油圧駆動装置
AU2015222279A1 (en) Hydraulically driven bellows pump
CN107810337A (zh) 用于执行直线运动的液压驱动器
KR100407197B1 (ko)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0241460Y1 (ko)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130040553A (ko) 유압구동기를 이용한 유압제어장치
CN102245901B (zh) 对计量泵的输送室进行脱气的方法和装置
US20210238024A1 (en) Fluid pressure feeding device
JP4613624B2 (ja) クーラント供給装置
JPH10180500A (ja) ラム昇降作動装置
KR200445475Y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457155B1 (ko) 유체 펌핑장치
JP2000291536A (ja) 流動体圧送ポンプ及びその油圧シリンダ
CN212225643U (zh) 一种基于液压控制系统的数控弯箍机
JP5701678B2 (ja) 加圧装置および加圧装置の制御方法
KR20120075804A (ko) 전후진양방향 흡입배기장치 및 진공압축변환밸브
KR102165536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
JP5026915B2 (ja) 油圧装置
RU2303711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ивод скважинного насоса
JP6712110B2 (ja) 圧力容器のサイクル試験装置
CN117703708A (zh) 用于在运行中交替地朝相反的方向受到压力加载的液压负载的液压驱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