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536B1 - 부스터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스터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536B1
KR102165536B1 KR1020200017458A KR20200017458A KR102165536B1 KR 102165536 B1 KR102165536 B1 KR 102165536B1 KR 1020200017458 A KR1020200017458 A KR 1020200017458A KR 20200017458 A KR20200017458 A KR 20200017458A KR 102165536 B1 KR102165536 B1 KR 10216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water
pipe
pump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희
오치원
오주원
Original Assignee
오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희 filed Critical 오정희
Priority to KR102020001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04D15/0263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the condition being temperature, ingress of humidity or leak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2Installation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wherein the flow 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series-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for pumps operating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03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찬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흡입관(11)과 펌프(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를 이용하여, 흡입관(11) 내부의 물이 온도와,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기수단(5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가 물과 함께 강제로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지 않을 경우, 상기 급수수단(4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강제로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스터 펌프 시스템{booster pump system}
본 발명은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찬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 수돗물을 보낼 때 사용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1)과, 배출관(2)과, 상기 흡입관(1)과 배출관(2)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펌프(3)와, 상기 펌프(3)로 흡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수단(4)과, 상기 수위감지수단(4)의 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펌프(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으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3)는 연결관(3b)을 통해 상기 흡입관(1) 및 배출관(2)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기구(3c)가 형성된 펌프하우징(3a)과, 상기 펌프하우징(3a)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3b)와, 상기 펌프하우징(3a)의 외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임펠러(3b)에 연결되어 임펠러(3b)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e)와, 상기 배기구(3c)에 구비되어 배기구(3c)를 개폐하는 배기밸브(3f)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4)은 상기 흡입관(1)에 연결된 연결관(3b)에 구비되어, 연결관(3b)을 통해 흡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5)은 상기 구동모터(3e)를 구동시켜 펌프(3)를 작동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수위감지수단(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관(3b)을 통해 흡입되는 물의 수위가 규정수위에 비해 낮을 경우, 상기 펌프하우징(3a)의 내부에 공기가 차서 물이 흡입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기밸브(3f)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구(3c)를 개방함으로써, 펌프하우징(3a)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펌프하우징(3a)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배기밸브(3f)를 개방하더라도 펌프하우징(3a) 내부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외부에 배출되지 못하며, 펌프하우징(3a)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모두 배출되어 펌프하우징(3a)의 내부에 물이 완전히 충진될 경우, 물이 상기 배기구(3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펌프하우징(3a)의 내부에 공기가 찬 상태에서 구동모터(3e)가 작동되어 임펠러(3b)가 회전되면, 상기 펌프하우징(3a) 내부의 온도가 상승된다.
등록특허 10-107155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찬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관(11)과, 배출관(12)과, 상기 흡입관(11)과 배출관(12)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펌프(20)와, 상기 흡입관(11)과 펌프(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와, 상기 배출관(12)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펌프(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수단(40)과, 상기 펌프(20)에 연결된 배기수단(50)과,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0)와 급수수단(40) 및 배기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20)는 연결관(24)을 통해 상기 흡입관(11) 및 배출관(12)에 연결되며 둘레부에는 급수공(21a)과 배기공(21b)이 형성된 펌프하우징(21)과,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22)와, 상기 펌프하우징(21)의 외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임펠러(22)에 연결되어 임펠러(2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31)는 상기 흡입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제2 온도센서(32)는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수수단(40)은 상기 배출관(12)에서 분기된 분기관(41)과, 상기 분기관(41)에 연결결된 저수탱크(42)와, 상기 분기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관(41)을 통해 저수탱크(42)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43)와, 상기 저수탱크(42)에서 연장되며 선단부는 상기 급수공(21a)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44a)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급수펌프(44b)가 구비된 급수관(44)과, 상기 급수관(44)의 분기부(44a)에 구비되어 각각의 분기부(44a)를 통해 상기 급수공(21a)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2 제어밸브(45)와, 상기 저수탱크(4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탱크(42)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46)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수단(50)은 복수개의 분기부(51a)를 통해 상기 배기공(21b)에 연결된 배기관(51)과, 상기 배기관(51)의 후단부에 연결된 피스톤펌프(52)와, 상기 배기관(51)의 분기부(51a)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제3 제어밸브(53)와, 상기 피스톤펌프(52)와 상기 저수탱크(42)를 연결하는 배수관(54)과, 상기 배기관(51)의 중간부에 상기 피스톤펌프(52)쪽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1 체크밸브(55)와, 상기 배수관(54)의 중간부에 상기 저수탱크(42)쪽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2 체크밸브(56)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펌프(52)는 하우징(52a)과, 상기 하우징(52a)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52a) 내부의 공간을 제1 및 제2 챔버(52b,52c)로 구획하는 피스톤(52d)과, 상기 피스톤(52d)에 연결되어 피스톤(52d)이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52e)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51)과 배수관(54)은 상기 하우징(52a)의 제2 챔버(52c)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52e)를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52d)을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와 물이 상기 배기관(51)을 통해 하우징(52a)의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에 의해 측정된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기수단(5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가 물과 함께 강제로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지 않을 경우, 상기 급수수단(4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강제로 물을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흡입관(11)과 펌프(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를 이용하여, 흡입관(11) 내부의 물이 온도와,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기수단(5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가 물과 함께 강제로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지 않을 경우, 상기 급수수단(4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강제로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피스톤펌프를 도시한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 펌프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흡입관(11)과, 배출관(12)과, 상기 흡입관(11)과 배출관(12)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펌프(20)와, 상기 흡입관(11)과 펌프(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와, 상기 배출관(12)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펌프(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수단(40)과, 상기 펌프(20)에 연결된 배기수단(50)과,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0)와 급수수단(40) 및 배기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20)는 연결관(22)을 통해 상기 흡입관(11) 및 배출관(12)에 연결되며 둘레부에는 급수공(21a)과 배기공(21b)이 형성된 펌프하우징(21)과,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22)와, 상기 펌프하우징(21)의 외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임펠러(22)에 연결되어 임펠러(2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3)를 구동시키면, 상기 흡입관(11)을 통해 공급된 물을 흡입하여 가압한 후, 상기 배출관(12)을 통해 배출한다.
상기 제1 온도센서(31)는 상기 흡입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온도센서(32)는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수단(40)은 상기 배출관(12)에서 분기된 분기관(41)과, 상기 분기관(41)에 연결결된 저수탱크(42)와, 상기 분기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관(41)을 통해 저수탱크(42)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43)와, 상기 저수탱크(42)에서 연장되며 선단부는 상기 급수공(21a)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44a)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급수펌프(44b)가 구비된 급수관(44)과, 상기 급수관(44)의 분기부(44a)에 구비되어 각각의 분기부(44a)를 통해 상기 급수공(21a)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2 제어밸브(45)와, 상기 저수탱크(4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탱크(42)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수탱크(42)의 상단에는 안전밸브(42a)가 구비되어, 저수탱크(42) 내부의 기압이 기준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안전밸브(42a)가 개방되어 저수탱크(4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45)는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20)가 작동되어 배출관(12)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밸브(43)를 개방하면, 배출관(1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일부가 상기 분기관(41)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4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밸브(45)를 선택적으로 개방한 후, 급수펌프(44b)를 작동시키면, 상기 저수탱크(42)에 저장된 물이 제2 제어밸브(45)가 개방된 분기부(44a)를 통해 각각의 펌프(20)의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배기수단(50)은 복수개의 분기부(51a)를 통해 상기 배기공(21b)에 연결된 배기관(51)과, 상기 배기관(51)의 후단부에 연결된 피스톤펌프(52)와, 상기 배기관(51)의 분기부(51a)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제3 제어밸브(53)와, 상기 피스톤펌프(52)와 상기 저수탱크(42)를 연결하는 배수관(54)과, 상기 배기관(51)의 중간부에 상기 피스톤펌프(52)쪽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1 체크밸브(55)와, 상기 배수관(54)의 중간부에 상기 저수탱크(42)쪽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2 체크밸브(56)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펌프(52)는 하우징(52a)과, 상기 하우징(52a)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52a) 내부의 공간을 제1 및 제2 챔버(52b,52c)로 구획하는 피스톤(52d)과, 상기 피스톤(52d)에 연결되어 피스톤(52d)이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52e)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51)과 배수관(54)은 상기 하우징(52a)의 제2 챔버(52c)로 연결된다.
상기 제3 제어밸브(53)는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관(51)의 분기부(51a)를 통해 피스톤펌프(52)쪽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제어밸브(53)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기구(52e)를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52d)을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와 물이 상기 배기관(51)을 통해 하우징(52a)의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된다.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수위센서(46)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제1 제어밸브(4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저수탱크(42)의 내부에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저장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에 의해 측정된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한다.
즉, 펌프하우징(21) 내부에 물이 가득 차있는 상태에서 상기 펌프(20)가 작동될 경우, 흡입관(11) 내부의 물이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 상기 펌프(20) 내부의 온도는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의 온도와 유사하거나, 물의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차 있을 때는, 펌프(20)가 작동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이 펌프하우징(21)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가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의 온도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에 의해 측정된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된 펌프하우징(21)에 연결된 분기부(51a)에 구비된 제3 제어밸브(53)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펌프(52)를 작동시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가 강제로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와 물이가 저수탱크(42)로 배출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 내부에 진공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이 강제로 흡입되어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어, 펌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 경우, 상기 배기수단(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반대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6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수단(50)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면서 상기 급수수단(4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강제로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배기수단(50)과 급수수단(40)을 함께 작동시키면, 상기 급수수단(40)에 의해 공급된 물이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를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펌프(20)가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을 흡입하여 펌프(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스터 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흡입관(11)과 펌프(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를 이용하여, 흡입관(11) 내부의 물이 온도와,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기수단(5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가 물과 함께 강제로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지 않을 경우, 상기 급수수단(4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강제로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단순히 펌프하우징(21)의 온도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를 이용하여,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차를 측정함으로, 기온변화에 의해 펌프하우징(21)의 내부온도에 변화가 발생되더라도,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차서 펌프하우징(21)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50)은 상기 급기수단의 저수탱크(42)에 연결되어, 펌프하우징(21)에서 배출된 공기와 물을 상기 저수탱크(42)로 공급함으로, 펌프하우징(21)에서 공기를 배출할 때,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흡입관 12. 배출관
20. 펌프 31, 32. 제1 및 제2 온도센서
40. 급수수단 50. 배기수단
60. 제어수단

Claims (1)

  1. 흡입관(11)과,
    배출관(12)과,
    상기 흡입관(11)과 배출관(12)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펌프(20)와,
    상기 흡입관(11)과 펌프(2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와,
    상기 배출관(12)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펌프(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수단(40)과,
    상기 펌프(20)에 연결된 배기수단(50)과,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0)와 급수수단(40) 및 배기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20)는
    연결관(24)을 통해 상기 흡입관(11) 및 배출관(12)에 연결되며 둘레부에는 급수공(21a)과 배기공(21b)이 형성된 펌프하우징(21)과,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22)와,
    상기 펌프하우징(21)의 외측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임펠러(22)에 연결되어 임펠러(2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31)는 상기 흡입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제2 온도센서(32)는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수수단(40)은
    상기 배출관(12)에서 분기된 분기관(41)과,
    상기 분기관(41)에 연결결된 저수탱크(42)와,
    상기 분기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기관(41)을 통해 저수탱크(42)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43)와,
    상기 저수탱크(42)에서 연장되며 선단부는 상기 급수공(21a)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부(44a)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급수펌프(44b)가 구비된 급수관(44)과,
    상기 급수관(44)의 분기부(44a)에 구비되어 각각의 분기부(44a)를 통해 상기 급수공(21a)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2 제어밸브(45)와,
    상기 저수탱크(4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수탱크(42)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46)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수단(50)은
    복수개의 분기부(51a)를 통해 상기 배기공(21b)에 연결된 배기관(51)과,
    상기 배기관(51)의 후단부에 연결된 피스톤펌프(52)와,
    상기 배기관(51)의 분기부(51a)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제3 제어밸브(53)와,
    상기 피스톤펌프(52)와 상기 저수탱크(42)를 연결하는 배수관(54)과,
    상기 배기관(51)의 중간부에 상기 피스톤펌프(52)쪽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1 체크밸브(55)와,
    상기 배수관(54)의 중간부에 상기 저수탱크(42)쪽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2 체크밸브(56)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펌프(52)는
    하우징(52a)과,
    상기 하우징(52a)의 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52a) 내부의 공간을 제1 및 제2 챔버(52b,52c)로 구획하는 피스톤(52d)과,
    상기 피스톤(52d)에 연결되어 피스톤(52d)이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52e)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51)과 배수관(54)은 상기 하우징(52a)의 제2 챔버(52c)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기구(52e)를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52d)을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와 물이 상기 배기관(51)을 통해 하우징(52a)의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온도센서(31,32)에 의해 측정된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펌프하우징(21)의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하고, 공기가 찬 것으로 판단된 펌프하우징(21)에 연결된 분기부(51a)에 구비된 제3 제어밸브(53)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펌프(52)를 작동시켜, 펌프하우징(21) 내부의 공기가 물과 함께 강제로 상기 저수탱크(42)로 배출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흡입관(11) 내부의 물과 펌프하우징(21) 내부의 온도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로 줄어들지 않을 경우, 상기 급수수단(40)을 구동시켜 펌프하우징(21)의 내부로 강제로 물을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20200017458A 2020-02-13 2020-02-13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216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58A KR102165536B1 (ko) 2020-02-13 2020-02-13 부스터 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58A KR102165536B1 (ko) 2020-02-13 2020-02-13 부스터 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536B1 true KR102165536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458A KR102165536B1 (ko) 2020-02-13 2020-02-13 부스터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58B1 (ko) 2010-11-30 2011-10-10 화랑시스템(주) 부스터 펌프시스템의 자동에어배출장치
KR101141412B1 (ko) * 2009-11-13 2012-05-04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130014096A (ko) * 2011-07-29 2013-0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의 공회전 방지장치
KR20170088060A (ko) * 2016-01-22 2017-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펌프 건식 구동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901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일성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946281B1 (ko) * 2018-08-30 2019-02-1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방차용 물 방출속도향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12B1 (ko) * 2009-11-13 2012-05-04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071558B1 (ko) 2010-11-30 2011-10-10 화랑시스템(주) 부스터 펌프시스템의 자동에어배출장치
KR20130014096A (ko) * 2011-07-29 2013-0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의 공회전 방지장치
KR20170088060A (ko) * 2016-01-22 2017-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펌프 건식 구동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901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일성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946281B1 (ko) * 2018-08-30 2019-02-1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방차용 물 방출속도향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609B2 (en) Valve assembly
JP5911500B2 (ja) 空気圧式液体吐出装置及び方法
WO2015122247A1 (ja) ガス供給装置、水素ステーション及びガス供給方法
KR102165536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
US3141475A (en) Regulating valve for a pump controlled by a pressure responsive switch
KR101928880B1 (ko) 윤활유용 펌프 장치
KR102165922B1 (ko) 공기배출성능이 향상된 부스터 펌프
JPH084656A (ja) 油圧駆動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2004298862A (ja) 材料供給システム
US8439069B2 (en) Air release valve
US1323864A (en) Arnold h
US2215815A (en) Air control device
CN116829271A (zh) 流动物喷出系统
KR100912772B1 (ko) 에어부스트 펌프
KR20180040206A (ko) 안전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
JP2009236059A (ja) 自動ガス抜き機構付き往復動ポンプ
KR100407197B1 (ko) 프레스기의 오일공급장치
US2734460A (en) Primer for centrifugal pump
US20130227941A1 (en) Pressure intensifier for discharging fluid at constant flow rate
KR102606753B1 (ko) 자흡식 양수기
JP6875897B2 (ja) 自吸運転検出システムおよびポンプ装置
US9856870B2 (en) Hydraulically controlled diaphragm pump comprising a dedicated degassing path
JP4413741B2 (ja) ダイアフラムポンプ
JP3283856B2 (ja) 真空用圧力制御弁
KR102488617B1 (ko) 공기 유압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