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98Y1 - 개량된 방진마스크 - Google Patents

개량된 방진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98Y1
KR200241398Y1 KR20010012346U KR20010012346U KR200241398Y1 KR 200241398 Y1 KR200241398 Y1 KR 200241398Y1 KR 20010012346 U KR20010012346 U KR 20010012346U KR 20010012346 U KR20010012346 U KR 20010012346U KR 200241398 Y1 KR200241398 Y1 KR 200241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glasses
dust
dust mask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12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래익
김희문
박경웅
Original Assignee
(주)우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텍 filed Critical (주)우리텍
Priority to KR20010012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방진마스크와 안경을 동시에 착용하고 분진이 많은 작업장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대화시에 방진마스크의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본체와 접촉해있는 안경이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막아주며 안경에 습기가 차는 것을 감소시켜 주기 위하여 방진마스크의 마스크본체 상부 양측에 움푹 패여있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방진마스크의 탈장착이 용이하며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추어 탄성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착용감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밴드의 양 끝단에 착탈연결고리와 길이조절홈을 형성한 개량된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방진마스크{The enhanced dust-removal mask}
본 고안은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진마스크의 마스크본체의 상부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방진마스크의 움직임에 의해 마스크본체와 접촉해있는 안경이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막아주고 방진마스크의 내부면을 따라 습기가 안경에 차는 것을 감소시켜 주며, 탄성밴드의 양 끝단에 착탈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방진마스크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길이조절홈이 착탈연결고리내에 형성되어 있어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감과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고안된 개량된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진마스크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발생 작업시 작업자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간단하고 가벼운 일회용 방진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일회용 방진마스크는 사람의 입과 코를 동시에 감싸 덮을 수 있는 반구형상의 곡면체로 성형되고 여과기능을 갖는 부직포로 된 마스크본체(1')와 코의 윤곽을 따라 마스크본체(1')가 밀착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유지바아(2')가 마스크본체(1')의 상부에 부착되고 이에 상응하는 스폰지바아(3')가 마스크본체(1')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양측으로는 머리 또는 귀에 걸도록 탄성밴드(5a')(5b')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진마스크는 마스크본체(1')가 반구형상의 곡면체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안경을 착용하고 작업하는 경우 방진마스크가 흔들림에 따라 마스크본체(1')의 상부면이 안경과 접촉되어 안경이 흔들리거나 벗겨지며, 호기(呼氣)시에 습기가 마스크본체(1')의 내부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여 안경에 습기가 차게되어 작업에 커다란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통상 구조의 방진마스크의 탄성밴드(5a')(5b')는 신축성소재인 복수개의 고무줄이 섬유속에 매설되어 일체화 된 것으로서 마스크본체(1')에 스테플러철침(10a')(10b')(10c')(10d')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탄성밴드(5a')(5b')의 탄성력이 약한 제품인 경우에는 마스크본체(1')가 안면에의 밀착력이 떨어져 그 틈사이로 오염상태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고, 탄성밴드(5a')(5b')의 길이는 일정한 반면 착용자의 머리둘레의 길이는 개인차가 심하므로 머리둘레에 비하여 탄성밴드(5a')(5b')의 길이가 긴 경우 장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방진마스크의 착용상태가 불완전해지게 되며, 반대로 탄성밴드(5a')(5b')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착용한 방진마스크가 안면을 강하게 누르게되어 불쾌감과 피로를 유발하게 되고, 또 방진마스크를 쓸때는 일체로된 탄성밴드(5a')(5b')를 강제로 늘여서 머리에 넣어야 하므로 쓰는 도중에 머리카락이 흐트러지는 등 착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방진마스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과 방진마스크를 동시에 착용하고 분진발생 작업을 하는 경우 안경이 방진마스크와 중복되어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막아주고 습기가 안경에 차는 것을 감소시켜주며,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착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최적의 장력으로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방진마스크의 마스크본체 상부의 양측면에 움푹 패여있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안경착용시 안경과 마스크본체의 상부면이 중복되어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탄성밴드의 양 끝단에 착탈연결고리를 구비하고 착탈연결고리내에 길이조절홈를 형성하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방진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착탈연결고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분의 단면도
도 4은 종래 방진마스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마스크본체
2, 2'. 형상유지바아
3, 3'. 스폰지바아
4a, 4b. 절곡부
5a, 5b, 5c, 5d, 5a', 5b'. 탄성밴드
6a, 6b. 착탈연결고리
7a, 7b. 걸림턱 8a, 8b. 걸림홈
9a, 9b, 9c, 9d. 길이조절홈
10a, 10b, 10c, 10d, 10a', 10b', 10c', 10d'. 스테플러철침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3은 본 고안의 방진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방진마스크는 절곡부(4a)(4b)가 형성된 마스크본체(1)와 형상유지바아(2)와 스폰지바아(3)와 탄성밴드(5a)(5b)(5c)(5d)와 착탈연결고리(6a)(6b)와 길이조절홈(9a) (9b)(9c)(9d)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크본체(1)는 분진을 여과할 수 있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부직포로 된 여과재로 되어 있고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도록 오목한 반구형의 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스크본체(1)의 상부 양측에 움푹 패여있는 절곡부(4a)(4b)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4a)(4b)는 안경착용시 마스크본체(1)와 안경이 중복되게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대화시에 방진마스크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안경이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호기(呼氣)시에 습기가 마스크본체(1)의 내부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여 안경에 습기가 차게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한 것으로 안경과 마스크본체(1)의 상부면이 맞닿지 않도록 움푹 패여 있다.
형상유지바아(2)는 코의 윤곽을 따라 마스크본체(1)가 밀착되도록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마스크본체(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형상유지바아(2)에 상응하는 스폰지바아(3)가 마스크본체(1)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밴드(5a)(5b)(5c)(5d)는 신축성소재인 복수개의 고무줄이 섬유속에 매설된 것으로서 마스크본체(1)의 양측에 스테플러철침(10a)(10b)(10c)(10d)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있다.
착탈연결고리(6a)(6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5a)(5b)(5c)(5d)의 양끝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걸림턱(7a)(7b)이 형성된 착탈연결고리(6a)와 걸림홈(8a)(8b)이 형성된 착탈연결고리(6b)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턱(7a)(7b)과 걸림홈(8a)(8b)이 맞물려져 걸림으로써 용이하게 방진마스크의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길이조절홈(9a)(9b)(9c)(9d)이 탄성밴드(5a)(5b)(5c)(5d)와 착탈연결고리(6a)(6b)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길이조절홈(9a)(9b)(9c)(9d)에 끼워진 각각의 탄성밴드(5a)(5b)(5c)(5d)를 잡아당김으로써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추어 탄성밴드(5a)(5b)(5c)(5d)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방진마스크의 마스크본체 상부면에 움푹패인 절곡부를 형성하여 안경과 방진마스크를 동시에 착용하고 분진발생 작업을 하는 경우 방진마스크의 마스크본체 상부면과 안경이 중복되어 맞닿아 흔들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막아주며 호기(呼氣)시 마스크본체의 내부면을 따라 안경에 까지 습기가 차는 것을 막아주고, 걸림턱과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착탈연결고리로 용이하게 방진마스크의 탈장착이 이루어지며 길이조절홈에서 탄성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장력유지가 가능하므로 마스크본체의 안면에 밀착성과 착용감이 크게 향상되어 분진으로 부터의 위협이 줄어들고 장시간 착용에 따른 불편함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본체(1)가 안경과 중복되게 위치하지 않게 하여 안경이 흔들리거나 벗겨지고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스크본체(1) 상부 양측에 움푹패인 절곡부(4a)(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방진마스크.
  2.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탈장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밴드의 양 끝단에 착탈연결고리(6a)(6b)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밴드(5a)(5b)(5c)(5d)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탄성밴드(5a)(5b)(5c)(5d)와 착탈연결고리(6a)(6b)의 연결부분에 길이조절홈(9a)(9b)(9c)(9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방진마스크.
KR20010012346U 2001-04-28 2001-04-28 개량된 방진마스크 KR200241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2346U KR200241398Y1 (ko) 2001-04-28 2001-04-28 개량된 방진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2346U KR200241398Y1 (ko) 2001-04-28 2001-04-28 개량된 방진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98Y1 true KR200241398Y1 (ko) 2001-10-12

Family

ID=4049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12346U KR200241398Y1 (ko) 2001-04-28 2001-04-28 개량된 방진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700A3 (en) * 2006-07-26 2008-1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Respirator that uses a predefined curved nose foam
US9247788B2 (en) 2013-02-01 2016-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rap retaining devices
US9259058B2 (en) 2013-02-01 2016-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rap retaining devices
CN109847914A (zh) * 2019-03-25 2019-06-07 北京昊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煤炭粉碎防溅装置
KR102459446B1 (ko) * 2022-03-23 2022-10-26 주식회사 서울세미텍 분리결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부가 구비된 컵마스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2700A3 (en) * 2006-07-26 2008-1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Respirator that uses a predefined curved nose foam
US9247788B2 (en) 2013-02-01 2016-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rap retaining devices
US9259058B2 (en) 2013-02-01 2016-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rap retaining devices
CN109847914A (zh) * 2019-03-25 2019-06-07 北京昊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煤炭粉碎防溅装置
KR102459446B1 (ko) * 2022-03-23 2022-10-26 주식회사 서울세미텍 분리결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부가 구비된 컵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762B1 (ko) 조절식 귀걸이 루프 및 낙하 방지 밴드를 조합한 안면 마스크
KR101777866B1 (ko) 마스크
KR100927336B1 (ko) 잠금용 지지대를 갖는 위생 마스크
KR200301992Y1 (ko)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JP6780150B1 (ja) マスク用補助具
CN217012881U (zh) 一种口罩佩戴带
JP2006161214A (ja) 頭被覆体およびゴーグル
KR200241398Y1 (ko) 개량된 방진마스크
KR200348888Y1 (ko) 마스크용 걸이밴드 조절구
JP5700278B2 (ja) マスク
KR101987583B1 (ko) 마스크
JP2011130872A (ja) 防塵マスク
JP2011115463A (ja) 就寝用衛生マスク
KR102285976B1 (ko) 백헤드 착탈식 길이조절형 이어밴드를 갖는 마스크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102292235B1 (ko) 마스크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방호복
JP4460478B2 (ja) 衛生キャップ
KR20210155188A (ko) 모자용 마스크
JP7030314B1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
JP4548648B2 (ja) 毛髪付き帽子
JP2020193394A (ja) 保護衣料
KR20230112984A (ko) 재활용 가능한 컨버터블 이어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0296073Y1 (ko) 마스크
JP3194707U (ja) 衛生マスク
KR102537920B1 (ko) 마스크용 착용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