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188Y1 - 포직물염색기 - Google Patents

포직물염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188Y1
KR200240188Y1 KR2020010011357U KR20010011357U KR200240188Y1 KR 200240188 Y1 KR200240188 Y1 KR 200240188Y1 KR 2020010011357 U KR2020010011357 U KR 2020010011357U KR 20010011357 U KR20010011357 U KR 20010011357U KR 200240188 Y1 KR200240188 Y1 KR 200240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ank
dyeing
salt solution
ret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규
Original Assignee
정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규 filed Critical 정명규
Priority to KR2020010011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188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직물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외용기(14)의 내부에 'J'자형 염색조(22)가 배치되고 상부에 안내릴(36)이 배치되며 이로부터 각각 염액을 분사하는 염액노즐(42)을 갖는 포직물이송관(38)(40)이 연장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염색조(22)가 격벽(24)에 의하여 내측 체류조(26)와 외측 체류조(28)로 구획되고 각 내외측 체류조(26)(28)에 대하여 각각의 포직물이송관(38)(40)이 연장되어 포직물(16)이 내외측 체류조(26)(28)에 교호로 순환되면서 균일하게 염색처리된다.

Description

포직물염색기 {FABRIC DYEING MACHINE}
본 고안은 포직물염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U'자형 체류조를 갖는 포직물염색기에서 체류조를 내외체류조로 분할 구성하여 실질적으로 각 체류조의 폭을 좁게하여 이에 지그재그형태로 포게져 이송하는 포직물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직물에 염액을 분사공급하여 포직물이 직선상으로 이송되게 하는 포직물이송관을 2조로 구성하여 포직물이 두개의 이송관과 내외체류조를 통하여 교호로 순환되면서 염색될 수 있도록한 포직물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다란 포직물의 단부를 연결한 엔드리스형태의 포직물을 고압 또는 상압의 환경하에서 염액의 분사로 순환시켜 염색하는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가 알려진 바 있으며, 이러한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는 상류측에 염액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염액의 분사로 포직물을 이송하는 상부의 포직물이송관과 이러한 포직물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포직물이 체류되면서 염액에 의하여 집중적으로 염색되게 하는 원통형의 형태이고 포직물이송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의 포직물체류관으로 구성되고, 포직물이송관의 상류측 단부가 포직물체류관의 하류측 단부에 연결되며 포직물이송관의 하류측 단부는 포직물체류관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단부를 연결한 엔드리스형태의 포직물이 포직물이송관의 상류측에서 염액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염액에 의하여 포직물이송관으로 이송되어 포직물체류관에 이르고 이 포직물체류관에서 집중염색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포직물이송관의 상류측으로 안내되어 연속순환되면서 염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염색조를 수직격벽으로 양분하고 수직격벽의 하측부를 제거하여 수직격벽으로 양분된 두 염색조가 하측부에서 연통되게 함으로서 'U'자형의 포직물체류조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제210216호 및 제210217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염색조를 하측부가 연통되게 수직격벽으로 격설한 포직물체류조가 폭넓게 구성되어 적정용량의 포직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포직물체류조의 상류측에서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포직물이 진동관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밀적되게 겹쳐지면서 이송될 때 포직물이 포직물체류조내에서 밀적된 상태로부터 붕괴되어 엉키게 됨으로서 포직물체류관의 하류측에서 포직물을 인양할 때 포직물에 텐션이 많이 가하여지고 심한 경우 인양롤러에 의한 인양이 어려워 인력으로 포직물을 당기어 인양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어 고품질의 염색을 기대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포직물이 체류되면서 염색처리되는 포직물체류조를 내측 및 외측 체류조로 양분하고 각 내외체류조에 대하여 포직물을 염액의 분사와 함께 이송하는 두개의 포직물이송관을 각각 하나씩 배당하여 각 포직물체류조에 대하여 포직물이 안내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연속순환될 수 있도록 단부와 단부를 루우프형태로 연결한 포직물이 각 체류조와 각 이송관을 통하여 교호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염색조의 각 체류조에서 적정용량의 포직물이 수용되어 염색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체류조에서는 체류조의 횡단면에서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므로 지그재그로 밀적되는 포직물이 밀적된 상태에서 붕괴되지 않고 이송될 수 있어 각 체류조의 하류측에서 포직물의 원활한 인양이 이루어져 포직물이 손상없이 고품질로 염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외용기의 내부에 'J'자형 염색조가 배치되고 상부에 안내릴이 배치되며 이로부터 각각 염액을 분사하는 염액노즐을 갖는 포직물이송관이 연장되는 포직물염색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염색조가 격벽에 의하여 내측 체류조와 외측 체류조로 구획되고 각 내외측 체류조에 대하여 각각의 포직물이송관이 연장되어 포직물이 내외측 체류조에 교호로 순환되면서 균일하게 염색처리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상압용 포직물염색기에 적용한 제1실시형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하나의 포직물 체류조에서 포직물의 이송관 하류측에 착설된 진동관에 의하여 포직물이 지그재그형태로 낙하이송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고압용 포직물염색기에 적용한 제3실시형태의 개략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4... 외용기 22... 염색기
24... 격벽 26, 28... 체류조
30... 측벽 32... 통공
36... 안내릴 38, 40... 포직물이송관
도 1과 도 2에서는 본 고안을 상온용 포직물염색기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으로, 저면부(10)와 상면부(12)로 폐쇄되는 사각단면의 외용기(14)의 내부에 포직물(16)이 유입되는 높은 위치의 유입부(18)와 낮은 위치의 유출부(20)를 갖는 2조의 'J'자형 염색조(22)(22')가 배치된다. 이들 염색조(22)(22')는 동일한 형태이므로 하나의 염색조(22)에 대하여서만 설명될 것이다.
염색조(22)는 중간의 격벽(24)에 의하여 내측 체류조(26)와 외측 체류조(28)로 구획되고 염색조(22)의 양측 측벽(30)에는 염액이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류조(26)(28)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포직물(16)이 지그재그형태로 포개져 밀적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체류기간동안에 염액에 의하여 실질적인 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염색조(22)의 하측에는 측벽(30)의 통공(32)을 통하여 염색조(22)로부터 외용기(14)측으로 유동하는 염액을 수집하는 염액수집조(34)가 형성되어 있다. 염색조(22)(22')의 유출부(20)의 상측에는 포직물(16)을 안내이송하는 안내릴(36)이 배치되며 안내릴(36)의 하류측으로부터 각 내외측 체류조(26)(28)의 유입구측으로 직경이 작은 직선상의 포직물이송관(38)(40)이 각각 연장되어 있다. 각 포직물이송관(38)(40)의 선단측에는 포직물이송관(38)(40)으로 염액을 분사하여 포직물(16)이 포직물이송관으로 이송되게 하는 염액노즐(42)이 착설되어 있으며, 포직물이송관(38)(40)의 하단은 각 체류조(26)(28)의 유입구측으로 만곡되고 그 하측단부에 축(44)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하는 포직물진동안내관(46)이 각각 착설되어 있다.
한편, 염액수집조(34)에는 염액라인(48)이 연장되어 펌프(50)에 연결되고 다시 펌프(50)로부터 열교환기(52)에 연결되며 열교환기(52)로부터 각 염액노즐(42)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초기에 단부와 단부를 연결하지 않은 포직물(16)의 일측 단부를 안내릴(36)의 상부로부터 일측 염색조(22)의 포직물이송관(38)으로 삽입하여 보내고 여기에서 내측 체류조(26)로 연장한 다음 이 내측 체류조(26)에서 다시 안내릴(36)을 지나 타측 포직물이송관(40)으로 연장하며 이 타측 포직물이송간(40)에서 외측 체류조(28)로 연장한 후 외측 체류조(28)로부터 연장된 포직물(16)의 단부를 안내릴(36)의 상부에서 포직물(16)의 타측 단부와 연결하여 포직물(16)이 포직물이송관(38)과 내측 체류조(26), 그리고 포직물이송관(40)과 외측 체류조(28)를 통하여 연속루우프형태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타측 염색조(22')의 경우에도 포직물(16)이 연속루우프형태로 순환될 수 있도록 연장하여 염색이 준비될 수 있도록 한다.
염색시에 안내릴(36)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각 포직물이송관(38)(40)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염액노즐(42)을 통하여 염액을 분사하여 포직물에 염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내릴(36)의 구동력과 염액의 분사력에 의하여 포직물(16)이 포직물이송관(38)(40)을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포직물이송관(38)(40)의 후단측 단부에는 포직물진동안내관(46)이 착설되고 이 포직물진동안내관(46)이 축(44)에 의하여 좌우로 진공하므로 포직물이송관(38)(40)을 나오는 포직물(16)은 포직물진동안내관(46)에 의하여 좌우로 지그재그형태가 되게 운동하면서 각 내외측 체류조(26)(28)로 이동한다. 그 결과, 포직물(16)은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바와 같이 각 내외측 체류조(26)(28)에 지그재그형태로 겹치면서 밀적되어 이동한다. 각 내외측 체류조(26)(28)는 염색조(22 또는 22')를 내외측으로 구획하여 좌우의 길이보다 폭이 좁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직물(16)이 지그재그형태로 겹쳐 밀적상태가 붕괴되어 엉키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겹쳐 밀적상태로 각 내외측 체류조(26)(28)를 통과하는 포직물(16)은 염액에 의하여 충분히 염색처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포직물(16)은 내외측 체류조(26)(28)를 교대로 통과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염색처리된다.
내외측 체류조(26)(28)에서 포직물(16)이 지그재그형태로 겹쳐 밀적상태가 붕괴되어 엉키는 일이 없이 통과되어 포직물(16)이 안내릴(36)에 의하여 상측으로 인양될 때 포직물(16)에 강제적으로 비교적 큰 텐션이 가하여지지 않고 포직물(16)이 원활하게 이송되므로 포직물(16)이 손상되지 않고 고품질의 염색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내외측 체류조(26)(28)로 구성되는 염색조(22)(22')가 2조인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각 염색조는 안내릴(36)만을 공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독립적인 구성이므로 2조 이상이 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는 각 포직물이송관(38')(40')이 대체로 체류조의 형태를 따라 길게 연장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다만 포직물이송관(38')(40')이 비교적 길게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과하는 포직물(16)이 체류조를 통과할 때 주름진 부분이 펼쳐지는 효과와 고정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을 고압용 염색기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고압용 염색기에서는 외용기(14')가 고압용의 형태를 이루고 각 체류조(26')(28')가 이러한 고압용의 외용기(14')의 형태에 맞추어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기술적인 구성이나 작용효과는 상압용인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포직물이 체류되면서 염색처리되는 포직물체류조를 내측 및 외측 체류조로 양분하여 염색조의 각 체류조에서 적정용량의 포직물이 수용되어 염색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체류조에서는 체류조의 횡단면에서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므로 지그재그로 밀적되는 포직물이 밀적된 상태에서 붕괴되지 않고 이송될 수 있어 각 체류조의 하류측에서 포직물의 원활한 인양이 이루어져 포직물이 손상없이 고품질로 염색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외용기(14)의 내부에 'J'자형 염색조(22)가 배치되고 상부에 안내릴(36)이 배치되며 이로부터 각각 염액을 분사하는 염액노즐(42)을 갖는 포직물이송관(38)(40)이 연장된 것에 있어서, 염색조(22)가 격벽(24)에 의하여 내측 체류조(26)와 외측 체류조(28)로 구획되고 각 내외측 체류조(26)(28)에 대하여 각각의 포직물이송관(38)(40)이 연장되어 포직물(16)이 내외측 체류조(26)(28)에 교호로 순환되면서 염색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직물염색기.
KR2020010011357U 2001-04-20 2001-04-20 포직물염색기 KR200240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57U KR200240188Y1 (ko) 2001-04-20 2001-04-20 포직물염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57U KR200240188Y1 (ko) 2001-04-20 2001-04-20 포직물염색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317A Division KR100740146B1 (ko) 2001-10-31 2001-10-31 포직물염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188Y1 true KR200240188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57U KR200240188Y1 (ko) 2001-04-20 2001-04-20 포직물염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1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91A (ko) * 2001-07-04 2001-09-07 박인만 트윈플로우 염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91A (ko) * 2001-07-04 2001-09-07 박인만 트윈플로우 염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39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ly dyeing textile yarns in a continuous system
KR200240188Y1 (ko) 포직물염색기
KR100740146B1 (ko) 포직물염색기
TWI722894B (zh) 水洗機
US5235828A (en) Apparatus for low liquid wet treatment of a textile material
US3802840A (en) Method for treatment of a fabric
KR101323031B1 (ko) 래피드 염색기
JPH08246326A (ja) 織物の連続洗浄用の機械及び方法
US459210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 in rope form
US3349580A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KR200240237Y1 (ko) 포직물염색기
KR200210216Y1 (ko) 포직물염색기
KR200210225Y1 (ko) 포직물염색기
CN218372771U (zh) 喷淋装置、膨化箱和水洗设备
KR200199815Y1 (ko)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
KR200210215Y1 (ko)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
SU9831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ашени бесконеч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волокна в мотках
KR200297724Y1 (ko) 각형 직물 이송관을 갖는 염색기
KR200210223Y1 (ko) 포직물염색기
KR100453522B1 (ko) 분사식 타래실 염색기
KR100548419B1 (ko) 원단 염색장치용 권양릴
KR200205481Y1 (ko)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
US4165548A (en) Process for the wet treatment of endless strands of textile material
KR200210217Y1 (ko) 포직물염색기
KR200199816Y1 (ko)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의 포직물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