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994Y1 -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 Google Patents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994Y1
KR200239994Y1 KR2020010010700U KR20010010700U KR200239994Y1 KR 200239994 Y1 KR200239994 Y1 KR 200239994Y1 KR 2020010010700 U KR2020010010700 U KR 2020010010700U KR 20010010700 U KR20010010700 U KR 20010010700U KR 200239994 Y1 KR200239994 Y1 KR 200239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lock
grid
retaining wall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우
Original Assignee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0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994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방, 방파제, 도로, 등의 성토 작업시 경사면의 토사가 일 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축조되는 옹벽용 블럭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용 블럭이 토압에 의해 일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블럭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그리드를 하나의 가변형 컨넥터를 이용하여 연결 지지함으로서 그리드의 형태에 맞는 컨넥터를 일일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그리드를 신속 간편하게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옹벽 구축용 블럭(1)의 그리드(4)를 연결 지지하기 위한 컨넥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럭(1)의 받침홈(2)에 안착되는 받침면(112)의 횡 방향으로는 관통공(116)이 형성되고, 이의 상부로는 돌기(114)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110)과; 상기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110)이 가변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양 단부로는 나사부(122)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지지봉(120) 및; 상기 지지봉(120)의 나사부(122)에 각각 체결되어 가변 조작되는 컨넥터편들(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부재(13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Variable connector of block for constructing will}
본 고안은 제방, 방파제, 도로, 등의 성토 작업시 경사면의 토사가 일 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축조되는 옹벽용 블럭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용 블럭이 토압에 의해 일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블럭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그리드를 하나의 가변형 컨넥터를 이용하여 연결 지지함으로서 그리드의 형태에 맞는 컨넥터를 일일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그리드를 신속 간편하게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용 블럭은 제방 방파제 도로 등의 성토 작업이나 보강토 작업시 토사가 일 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식 등의 여러 형태로 서로 엇갈리게 적층 시공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이러한 옹벽 구축용 블럭(1)은 통상적으로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럭(1)의 안정적인 적층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 하부로는 요홈(2)을 형성하고 이 요홈(2)으로는 소정 형태의 컨넥터(3)를 각각 삽설하여 적층되는 블럭(1) 상호간의 결합력이나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블럭(1)을 상호 지지하는 컨넥터(3)로는 적층된 블럭(1)이 토압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공극(5)이 형성된 그리드(4)가 상호 연결 지지되는 바, 이 때 그리드(4)는 그 일단부의 각 공극(5)이 각 블럭(1)의 요홈(2)에 안착된 컨넥터(3)의 각 돌기들(3a)사이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블럭(1)은 성토시나 보강토 작업시 컨넥터(4)에 고정된 일단부의 공극(5)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공극으로는 흙이나 돌들로 단단이 채워짐에 따라 블럭(1)은 그리드(4)의 토압 지지력의 상승에 의해 단순히 블럭(1)만을 적층하는 것에 비하여 밀리는 현상이 현저히 방지되는 것이어서 더욱 안정된 옹벽 구축 상태를 유지하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 구축용 블럭(1)의 그리드(4)를 고정하기 위한 컨넥터(3)는 도1의 도시와 같이 돌기들(3a)이 하나의 받침면(3b)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정 형태의 그리드(4)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는 것이다. 예컨대 도2와 같이 컨넥터(3)의 돌기들(3a)이 그리드(4)의 공극(5)에 정확히 삽설되는 경우에는 시공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그리드(4)의 공극(5)과 컨넥터(3)의 돌기들(3a)의 간격이나 폭이 맞지 않은 경우(좁거나 넓은 경우)에는 전혀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컨넥터(3) 구조에 따르면 특정 형태의 그리드(4)에 맞는 컨넥터(3)를 일일이 준비해 두어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각각의 컨넥터(3)를 제작함에 따른 제작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해당 그리드(4)에 맞는 컨넥터(3)만을 항상 사용하여야 되는 시공상의 제한 및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리드를 연결 지지하는 컨넥터를 일체형이 아닌 가변형으로 제작하여 옹벽 구축시 그리드의 공극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하나의 가변형 컨넥터를 이용하여 그리드를 신속 간편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일체형 컨넥터를 이용한 옹벽용 블럭의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일체형 컨넥터를 이용한 그리드 고정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컨넥터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컨넥터를 이용한 그리드 고정상태 예를 보인 각 측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편의 다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옹벽 구축용 블럭 2: 받침홈
4: 그리드 5: 공극
100: 가변형 컨넥터 110: 컨넥터편들
112: 받침면 114: 돌기
116: 관통공 118: 걸이홈
120: 지지봉 122: 나사부
130: 조임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옹벽 구축용 블럭의 그리드를 연결 지지하기 위한 컨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받침홈에 안착되는 받침면의 횡 방향으로는 가변공이 형성되고, 이의 상부로는 돌기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과; 상기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이 가변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양 단부로는 나사부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나사부에 각각 체결되어 가변 조작되는 컨넥터편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부재로 구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컨넥터편의 돌기로는 걸이홈을 더 형성하여 그리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와이어와 연결되는 걸이편의 걸림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컨넥터(100)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컨넥터편들(110)의 가변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 도1 및 도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변형 컨넥터(100)를 구성하는 컨넥터편(110)은, 도4와 같이 공지의 옹벽 구축용 블럭(1)의 받침홈(2)에 안착되기 위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받침면(112)과, 이 받침면(112)의 상면으로 소정 높이 만큼 일체로 돌출 형성된 돌기(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면(112)의 횡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관통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컨넥터편(110)의 받침면(112)으로 형성된 돌기(116)는 도면상 기어 형태로 도시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받침면(112)으로 형성된 관통공(116)은 각 컨넥터편(110)들을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이고 또한 복수개일 필요는 없으며, 관통공(116)이 원이 아닌 사각형태인 경우에는 받침면(112)의 중앙부로 하나만을 형성하고 이에 맞는 사각 지지봉을 관통 설치하여 줌으로서 구조를 간단화 하면서도 컨넥터편(110)의 가변 조작시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어 각 컨넥터편들(110)의 가변 조작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되는 것이다.
지지봉(120)은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110)을 관통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각 컨넥터편들(110)이 가변 조작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봉(120)의 양 단부로는 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부(122)로는 가변 조작되는 컨넥터편들(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나 나비너트와 같은 조임부재(130)가 상호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컨넥터(100)는, 지지봉(120)에 대하여관통공(116)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커넥터편들(110)을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 설치한 다음 양단 나사부(122)로 조임부재(124)를 대략적으로 조여준다. 그런 다음 지지봉(120)에 설치된 각 컨넥터편(110)들의 각 돌기(114)들을 도4 및 도5와 같이 그리드(4)의 각 공극(5)에 맞도록 가변 조작시킨 다음 조임부재(130)를 최종적으로 조임하여 주면 각 컨넥터편들(110)은 지지봉(120)에 대하여 좌우 유동됨 없이 그리드(4)를 확실하게 잡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 컨넥터편들(110)이 그리드(4)의 공극(5)에 맞추어 지지봉(120)을 중심으로 상호 가변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형태의 그리드에 맞는 컨넥터를 일부러 준비하거나 제작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가변형 컨넥터(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그리드(4)를 신속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넥터편(110)의 다른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받침면(112)으로 형성된 돌기(114)의 일 측으로는 도시되 않은 와이어와 연결되는 걸이편(140)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홈(118)을 형성함으로서, 그리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하나의 와이어(도면상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옹벽 구축용 블럭(1)을 상호 견고하게 잡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일체형 컨넥터를 가변형으로 분리 형성하여 줌으로서, 그리드의 공극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가변 가능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그리드를 간편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가변 가능한 컨넥터편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블럭의 상호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그리드를 연결 지지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특정의 그리드 형태에 맞는 컨넥터를 일일이 준비할 필요가 전혀 없어 사용에 제한이 없을 뿐 아니라 각각의 컨넥터 제작에 따른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옹벽 구축용 블럭(1)의 그리드(4)를 연결 지지하기 위한 컨넥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블럭(1)의 받침홈(2)에 안착되는 받침면(112)의 횡 방향으로는 가변공(116)이 형성되고, 이의 상부로는 돌기(114)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110)과;
    상기 하나 이상의 컨넥터편들(110)이 가변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양 단부로는 나사부(122)가 형성된 소정 길이의 지지봉(120) 및;
    상기 지지봉(120)의 나사부(122)에 각각 체결되어 가변 조작되는 컨넥터편들(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임부재(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편(110)의 돌기(114)로는 걸이편(140)을 위한 걸이홈(118)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커넥터.
KR2020010010700U 2001-04-16 2001-04-16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KR200239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0U KR200239994Y1 (ko) 2001-04-16 2001-04-16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0U KR200239994Y1 (ko) 2001-04-16 2001-04-16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994Y1 true KR200239994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00U KR200239994Y1 (ko) 2001-04-16 2001-04-16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9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479B1 (ko) * 2021-10-19 2022-05-18 주식회사 뉴트랜드 수영장의 배수 트렌치 시공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479B1 (ko) * 2021-10-19 2022-05-18 주식회사 뉴트랜드 수영장의 배수 트렌치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539B2 (en) Concrete form panels, concrete wall and method of forming
US20030198520A1 (en) Conduit retainer apparatus
US6026623A (en) Building component
US5465929A (en) Ladder-type cable tray system
US20020001509A1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WO2006012230A2 (en) Interlocking blocks for construction
KR200239994Y1 (ko)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KR20150098535A (ko)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KR200191358Y1 (ko)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200261607Y1 (ko) 옹벽 구축용 블록
JPH11131508A (ja) 植生ブロック及びその敷設構造
KR100699235B1 (ko) 콘크리트 블록용 블록연결구조
KR102267291B1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930000935Y1 (ko) 경사면 보호용 합성수지제 블럭
KR20090053059A (ko) 다기능 연결구
KR200400599Y1 (ko) 블록의 설치구조
KR200165432Y1 (ko) 구축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200230718Y1 (ko) 식생이 가능한 계단식 옹벽
JP3771770B2 (ja) 埋設構造体
KR200389265Y1 (ko) 보강토옹벽블록
JPS6332259Y2 (ko)
JP6796409B2 (ja) 基礎パッキン
KR200207356Y1 (ko) 천정설치구조물용 천정지지구조체
KR200273017Y1 (ko) 조립식 옹벽
KR200344101Y1 (ko) 조립식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