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99Y1 - 블록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블록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99Y1
KR200400599Y1 KR20-2005-0022761U KR20050022761U KR200400599Y1 KR 200400599 Y1 KR200400599 Y1 KR 200400599Y1 KR 20050022761 U KR20050022761 U KR 20050022761U KR 200400599 Y1 KR200400599 Y1 KR 200400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tting
blocks
fitting block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신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호 filed Critical 신용호
Priority to KR20-2005-0022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는 다수의 기본블록과 기본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부위에 있어서, 아래쪽에 제1지지블록과 제2지지블록을 상기 제1끼움블록의 상측 폭으로 이격 배치하고, 상기 제1,제2지지블록 사이의 상측에 제4끼움블록, 제3끼움블록, 제2끼움블록, 제5끼움블록, 제4끼움블록, 제3끼움블록, 제2끼움블록, 제5끼움블록, 제4끼움블록, 제3끼움블록, 제2끼움블록, 제1끼움블록을 차례로 배치하고, 상기 제1지지블록의 상측에 세 개의 대형좌측블록과 세 개의 소형좌측블록을 경사지게 차례로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지지블록의 상측에 세 개의 대형우측블록과 세 개의 소형우측블록을 경사지게 차례로 배치하며, 이들을 종방향으로 반복하고, 비어있는 나머지부분에 기본블록을 배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끼움블록들, 지지블록들, 측면블록들을 이용하여 뽀족한 형상의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고 이들을 반복 배치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굽은 바닥면이나 경사면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록이 상하로 결합되기 때문에 하나의 블록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다수의 블록이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특정한 하나의 블록의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의 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만곡 형상의 경사면 등에 다수의 블록을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블록의 설치구조{ESTABLISHMENT STRUCTURE OF BLOCK}
본 고안은 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굽고 경사진 면에 다수의 블록을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제방을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유수지 등에 다수의 블록을 결합 배치하여 지반의 침수를 방지하게 되며, 수목원, 공원, 광장 등에도 바닥의 안정화를 위하여 다수의 블록을 상호 결합하여 지반을 편편하게 한다.
여기서 단순하게 넓은 면적에 다수의 블록을 조립 배치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나, 굽은 평면, 굽은 길, 경사면, 굽은 경사면 등에는 일정한 형상의 블록을 배치하게 되면 상호 이격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부분을 처리하기 위하여 즉석에서 블록을 절단하여 이 부분을 메우거나 콘크리트로 메우기 때문에 외관상 흉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래서 종래에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37568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블록의 설치구조가 개발되었는 바, 이는 식생공간부가 형성된 기본블록과, 상기 기본블록의 최하단과 최상단부분을 결합시키는 지지블록과, 상기 기본블록 또는 지지블록사이에 끼워져서 곡선형으로 조립설치되는 끼움블록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블록은 상협하광상의 사다리꼴 형태 기울기를 갖는 좌우양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결합돌기가 전면에서 배면으로 좁아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일정비율로 그 크기가 다른 다단계로 다수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설치구조는 단계적으로 크기가 증가되는 다수의 끼움블록이 기본블록과 기본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 부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굽게 되는 경사면이나 바닥면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끼움블록의 갯수가 면적의 크기에 따라 증대되며, 이에 따라 소량으로 생산되는 끼움블록에 대한 단가 상승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종래의 설치구조는 하나 하나의 블록이 평면상에서 상호 결합되어 있으나, 하나의 블록에 작용되는 하중은 해당 블록에만 전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경사면이나 바닥면을 초기 설치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본블록과 기본블록 사이의 거리가 넓게 이격되더라도 다른 크기의 블록을 기본블록과 함께 반복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블록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넓은 면적의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블록의 형상을 개선함과 더불어 블록과 블록 사이를 상하로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경사면이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블록을 배치하여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에 직선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본블록과 기본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부위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례로 커지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끼움블록, 제2끼움블록, 제3끼움블록, 반쪽 형상으로 절단된 형상의 제4끼움블록, 상기 제1끼움블록의 아래쪽 부분과 동일한 반쪽 형상의 제5끼움블록, 상기 기본블록의 아래쪽 부분과 동일한 반쪽 형상의 제1지지블록과 제2지지블록, 상기 끼움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소형좌측블록, 소형우측블록, 대형좌측블록, 대형우측블록을 상호 배열하고, 이들을 종방향으로 반복하고, 비어있는 나머지부분에 기본블록을 배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완만하게 굽은 경사면이나 바닥면에서 다수의 블록을 설치한 발췌 도면이고, 도 2는 보다 급격하게 굽은 경사면이나 바닥면에서 다수의 블록을 설치한 발췌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는 다수의 블록을 배치하여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에 직선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본블록(1)과 기본블록(1)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부위를 다수의 다른 형상과 크기의 블록으로 메우게 된다.
즉 상기 기본블록(1)과 기본블록(1) 사이에 제1끼움블록(2), 제2끼움블록(3), 제3끼움블록(4), 제4끼움블록(5), 제5끼움블록(6), 제1지지블록(7), 제2지지블록(8), 소형좌측블록(9), 소형우측블록(10), 대형좌측블록(11), 대형우측블록(12)을 상호 배열하게 되며, 이들을 종방향으로 반복하고, 비어있는 나머지부분에 기본블록(1)을 추가적으로 배열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제2,제3끼움블록(2,3,4)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례로 커지는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제1,제2,제3끼움블록(2,3,4)를 차례로 배치하면 개략적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상이 된다.
상기 제4끼움블록(5)은 상기 제3끼움블록(4)의 하측의 반쪽 형상으로 절단되면서 상기 제3끼움블록(4)의 하측의 크기보다 큰 구조이며, 상기 제5끼움블록(6)은 상기 제1끼움블록(2)의 아래쪽 부분과 동일한 반쪽 형상이다.
상기 제1,제2지지블록(7,8)은 상호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기본블록(1)의 아래쪽 부분과 동일한 반쪽 형상이다.
상기 소형좌측블록(9), 소형우측블록(10), 대형좌측블록(11), 대형우측블록(12)는 상기 끼움블록(2,3,4,5,6)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블록들의 설치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치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본블록(1)과 기본블록(1)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부위에 있어서, 아래쪽에 제1지지블록(7)과 제2지지블록(8)을 상기 제1끼움블록(2)의 상측 폭으로 이격 배치하고, 상기 제1,제2지지블록(7,8) 사이의 상측에 제4끼움블록(5), 제3끼움블록(4), 제2끼움블록(3), 제5끼움블록(6), 제4끼움블록, 제3끼움블록, 제2끼움블록, 제5끼움블록, 제4끼움블록, 제3끼움블록, 제2끼움블록, 제1끼움블록을 차례로 배치하고, 상기 제1지지블록(7)의 상측에 세 개의 대형좌측블록(11)과 세 개의 소형좌측블록(9)을 경사지게 차례로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지지블록(8)의 상측에 세 개의 대형우측블록(12)과 세 개의 소형우측블록(10)을 경사지게 차례로 배치하는 구조이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끼움블록들(2,3,4,5,6), 지지블록들(7,8), 좌측, 우측블록들(9,10,11,12)에 의하여 형성되는 형상은 개략적으로 뾰족한 이등변 삼각형이 되며, 이러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상하로 반복 형성하며, 채우지 못한 나머지 부분에 기본블록(1)을 배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블록은 잔디블록의 일종으로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측면에 걸이수단과 이격수단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음은 자명하며, 도 8 내지 도 10은 비록 다른 형상의 블록이나 본 고안의 설치구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고, 도 11 내지 도 12는 또다른 형상의 블록으로 본 고안의 설치구조를 실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 다른 형상의 블록을 이용한 설치구조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넓은 면적에서 다수의 블록이 배치되므로 외력이 측면에 가해지더라도 블록의 이동이나 배열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으나, 하나의 블록에 수직 하중이 작용하면 해당 블록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에, 수직 하중에 대항할 수 있도록 다수의 블록을 상하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의 한쪽면 아래쪽에 홈부(a)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a)와 대향하는 블록(1)의 다른쪽 아래쪽에 돌출부(b)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블록의 홈부(a)와 돌출부에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도 6에서는 기본블록(1)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밖의 다른 블록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다른 한편 강변 등과 같은 호안에는 경사면이 굽게 되므로 이러한 경사면에 대응할 수 있는 블록의 설치구조가 필요한 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3)의 측면에 경사면(c)을 형성하여 바닥에 밀착되는 블록(1,3)의 바닥부의 면적이 블록(1,3)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지면의 만곡 형상에 맞추어서 다수의 블록을 배열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물론 도면에서는 기본블록(1)과 제2끼움블록(3)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밖의 다른 블록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렇게 본 고안에서는 최소한의 끼움블록들, 지지블록들, 측면블록들을 이용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보유한 굽은 바닥면이나 경사면이 다른 구조의 블록을 추가할 필요없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는 끼움블록들, 지지블록들, 측면블록들을 이용하여 뽀족한 형상의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고 이들을 반복 배치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의 굽은 바닥면이나 경사면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록이 상하로 결합되기 때문에 하나의 블록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다수의 블록이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특정한 하나의 블록의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의 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만곡 형상의 경사면 등에 다수의 블록을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발췌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발췌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를 일 예의 블록으로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췌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 적용되는 블록 셋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를 다른 예의 블록으로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췌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부의 확대도,
도 10은 도 8과 도 9에 적용되는 블록 셋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설치구조를 또다른 예의 블록으로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췌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D부의 확대도,
도 13은 도 11과 도 12에 적용되는 블록 셋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본블록 2,3,4,5,6 : 제1,제2,제3,제4,제5끼움블록
7,8 : 제1,제2지지블록 9 : 소형좌측블록
10 : 소형우측블록 11 : 대형좌측블록
12 : 대형우측블록

Claims (4)

  1. 다수의 블록을 배치하여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경사면이나 굽은 바닥면에 직선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본블록(1)과 기본블록(1)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부위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례로 커지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끼움블록(2), 제2끼움블록(3), 제3끼움블록(4), 반쪽 형상으로 절단된 형상의 제4끼움블록(5), 상기 제1끼움블록(2)의 아래쪽 부분과 동일한 반쪽 형상의 제5끼움블록(6), 상기 기본블록(1)의 아래쪽 부분과 동일한 반쪽 형상의 제1지지블록(7)과 제2지지블록(8), 상기 끼움블록(2,3,4,5,6)의 양측에 배치되는 소형좌측블록(9), 소형우측블록(10), 대형좌측블록(11), 대형우측블록(12)을 상호 배열하고, 이들을 종방향으로 반복하고, 비어있는 나머지부분에 기본블록(1)을 배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기본블록(1)과 기본블록(1)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부위에 있어서, 아래쪽에 제1지지블록(7)과 제2지지블록(8)을 상기 제1끼움블록(2)의 상측 폭으로 이격 배치하고, 상기 제1,제2지지블록(7,8) 사이의 상측에 제4끼움블록(5), 제3끼움블록(4), 제2끼움블록(3), 제5끼움블록(6), 제4끼움블록(5), 제3끼움블록(4), 제2끼움블록(3), 제5끼움블록(6), 제4끼움블록(5), 제3끼움블록(4), 제2끼움블록(3), 제1끼움블록(2)을 차례로 배치하고, 상기 제1지지블록(7)의 상측에 세 개의 대형좌측블록(11)과 세 개의 소형좌측블록(9)을 경사지게 차례로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2지지블록(8)의 상측에 세 개의 대형우측블록(12)과 세 개의 소형우측블록(10)을 경사지게 차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설치구조.
  3. 제1항과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1,2,3,4,5,6,7,8,9,10,11,12)의 한쪽면 아래쪽에 홈부(a)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a)와 대향하는 블록의 다른쪽 아래쪽에 돌출부(b)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블록의 홈부(a)와 돌출부(b)에 상호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의 설치구조.
  4. 제1항과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1,2,3,4,5,6,7,8,9,10,11,12)의 측면에 경사면(c)을 형성하여 바닥에 밀착되는 블록의 바닥부의 면적이 블록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지면의 만곡 형상에 맞추어서 다수의 블록을 배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의 설치구조.
KR20-2005-0022761U 2005-08-05 2005-08-05 블록의 설치구조 KR200400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761U KR200400599Y1 (ko) 2005-08-05 2005-08-05 블록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761U KR200400599Y1 (ko) 2005-08-05 2005-08-05 블록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9Y1 true KR200400599Y1 (ko) 2005-11-08

Family

ID=4370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761U KR200400599Y1 (ko) 2005-08-05 2005-08-05 블록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583A (en) Landscape terracing material
JP2019529747A (ja) 防波堤/突堤構造物のためのコンクリート製被覆エレメント、並びに当該エレメントを複数設けた防波堤/突堤構造物
CN101028164A (zh) 地垫装配件
WO2003062538A2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AU2005337565A1 (en) Supporting member,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200400599Y1 (ko) 블록의 설치구조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0603532B1 (ko) 비탈면의 옹벽구조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970748B2 (ja) 築堤用構造体
KR20070066397A (ko) 천공형 박물 셀형식 강재합성구조
JPH11217812A (ja) 篭シート及びそれにより構築した擁壁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200405425Y1 (ko) 밀림방지 매트리스 돌망태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KR101289850B1 (ko) 친환경 옹벽블록
KR1024943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39994Y1 (ko)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가변형 컨넥터
KR200250242Y1 (ko) 논둑용 블록
KR100591498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KR102124342B1 (ko) 식생이 가능한 절토부 조립형 중력식 녹식생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