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959Y1 -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959Y1
KR200239959Y1 KR2019960014634U KR19960014634U KR200239959Y1 KR 200239959 Y1 KR200239959 Y1 KR 200239959Y1 KR 2019960014634 U KR2019960014634 U KR 2019960014634U KR 19960014634 U KR19960014634 U KR 19960014634U KR 200239959 Y1 KR200239959 Y1 KR 200239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isplay device
light
vehicl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686U (ko
Inventor
정순안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60014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959Y1/ko
Publication of KR980001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959Y1/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는 아플리케 부재, 상기 아플리케 부재가 일 측면에 부착되는 패널 부재, 상기 패널 부재의 다른 측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 섬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광 섬유에 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발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광 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표시 장치는 구성이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하므로 고장의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 장치
제1도는 차량 실내 공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차량의 공기 조화기 조작부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좌석 12 : 크래쉬 패드
13 : 계기판 14 : 중앙 크래쉬 패드
21,22,23 : 로터리 스위치 24,25,26 : 표시부
31,41 : 아플리케 32,42 : 패널
34 : 전구 44 : 광섬유
본 고안은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광원으로서 광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속도계 및 연료계등과 같은 계기를 보면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는 차량에 설치된 히터 및 에어 콘디셔너등과 같은 부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며, 차량용 오디오를 조작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는 이러한 계기 및 부가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조작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에는 통상적인 승용 차량의 실내 공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착석하는 좌석(11)의 전면에는 크래쉬 패드(12)가 장착되며, 크래쉬 패드(12)에는 스티어링 휘일(미도시) 및 운전 조작에 필요한 각종 부가 장치 및 계기판(13)등이 설치된다. 크래쉬 패드(12)의 중앙부에는 통풍구(15), 스위치 패널(16) 및 공기 조화기 조작부(17)가 마련된다.
위와 같은 차량의 크래쉬 패드(12)에는 소정 위치에 발광 표시 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발광 표시 장치는 계기판(13) 및 공기 조화기 조작부(17)에 설치된다. 운전자는 발광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발광 표시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발광 표시 장치는 해당 설치 위치에서 발광됨으로써, 특히 야간 운전중에 계기판을 식별할 수 있게 하고, 각종 부가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공기 조화기 조작부(17)에 적용된 차량용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될 것이지만, 이것이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장치들, 예를 들면 계기판에 적용된 표시 장치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공기 조화기 조작부(17)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 조작부(17)에는 3개의 로타리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블로워 스위치(21), 통풍 방향 선택 스위치(22) 및, 온도 조절 스위치(23)들이다. 운전자는 3 개의 로터리 스위치(21,22,23)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내 공기 조화를 실시한다.
각각의 로터리 스위치(21,22,23)를 둘러싸는 원주 표면에는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블로워 스위치(21) 주위에는 송풍 공기의 강약을 표시하도록 크기가 다른 점으로 표시된 송풍 강약 표시부(24)가 제공된다. 또한 통풍 방향 선택 스위치(22)의 원주면에는 송풍 방향 표시부(25)가 제공되며, 온도 조절 스위치(23)의 원주면에는 온도 표시부(26)가 제공된다. 야간에 발광 표시 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의 송풍 강약 표시부(24), 송풍 방향 표시부(25) 및, 온도 표시부(26)는 그 내부에 있는 발광원이 작동함으로써 별도의 조명 없이도 스위치(21,22,23)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3도에는 제2도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0)는 외표면의 아플리케(applique,31)와, 상기 아플리케(31)가 부착되는 패널(32)과, 상기 패널(32)의 저면에 고정되는 광의 확산용 도광판인 렌즈(33)와, 전구(34)를 고정시키는 브래킷(35)을 포함한다. 아플리케(31)에는 제2도에서 각각의 표시부(24,25,26)에 표현된 바와 같은 도형이나 문자(예를 들면 송풍의 강도를 1,2,3,4…등으로 표시하는 것)가 표시된다. 전구(34)는 소켓(36)에 끼워진 채로 브랙킷(35)에 고정된다. 렌즈(33)는 전구(34)의 발광시에 광을 확대시켜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소켓(36)에는 와이어(37)가 연결됨으로써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서는 도광판 역할을 하는 렌즈를 이용한 광의 전달 방식을 사용하므로 표시 장치 전체의 부피 및 중량이 렌즈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심한 진동 및 기타 원인에 의거하여 소켓에 연결된 와이어(37)가 단락되기 쉬우며, 표시 장치의 조립시에도 소켓 및 전구등 부품의 갯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복잡해지는 경향을 가진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화된 차량의 공기조화기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 섬유를 발광원으로서 사용하는 차량의 공기조화기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는 아플리케 부재, 상기 아플리케 부재가 일 측면에 부착되는 패널 부재, 상기 패널 부재의 다른 측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 섬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광 섬유에 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발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기 표시 장치(40)의 분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제3도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것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의 외표면에는 아플리케(41)가 부착된다.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아플리케(41)에는 공기 조화기의 조작을 위한 도형 즉, 상술한 송풍강약 표시부, 송풍 방향표시부, 온도 표시부등의 도형이나 문자가 표시되며, 도형 또는 문자 표시 부분은 반 투과성으로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 차량 내부에 설치된 발광원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지면, 도형이나 문자가 표시된 부분을 통해 빛이 통과됨으로써 도형과 문자를 식별할 수 있다.
아플리케(41)는 패널(42)에 부착된다. 패널(42)의 저 면에는 광섬유(44)가 배치된다.
광 섬유(44)는 필요한 부분에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표시 장치인 경우에 각각의 표시부(24,25,26)에 해당하는 위치에 광 섬유가 배치됨으로써, 아플리케(41)의 도형이나 문자 부분이 빛을 통과시키도록 할 수 있다. 광섬유(4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원(45)에 연결된다. 도면 번호 43 은 광 섬유(44)를 각각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광 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표시 장치는 구성이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하므로 고장의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시에 빛의 시각적 효과가 기존의 전구 불빛보다 미려하며, 부품의 수가 감소하여 제작이 용이하다는 부수적인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기 표시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송풍강약 표시부, 송풍 방향표시부, 온도 표시부의 공기조화기 표시도형이 마련된 아플리케 부재와, 상기 아플리케 부재가 일 측면에 부착되는 패널 부재, 상기 패널 부재의 다른 측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아플리케 부재의 도형부위로 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섬유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광 섬유들에 광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발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기 표시 장치.
KR2019960014634U 1996-06-01 1996-06-01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KR200239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634U KR200239959Y1 (ko) 1996-06-01 1996-06-01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634U KR200239959Y1 (ko) 1996-06-01 1996-06-01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686U KR980001686U (ko) 1998-03-30
KR200239959Y1 true KR200239959Y1 (ko) 2001-11-22

Family

ID=6087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634U KR200239959Y1 (ko) 1996-06-01 1996-06-01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9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686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758B2 (ja) 自動車制御パネルにおける制御機能のための制御機器およびその制御パネル
JP5451425B2 (ja) 車両室内意匠の発光構造
KR20050030140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JP2009208680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239959Y1 (ko) 차량의 공기 조화기 표시장치
JP4348802B2 (ja) 空調装置用操作装置
US20110063123A1 (en) Vehicle Console Display Buttons and Vehicle Consoles Incorporating the Same
US4996442A (en) Combination hoodscoop and tachometer
JP6996906B2 (ja) 空調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40344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EP1093968A2 (en)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a dashboard illumination unit
JP2007149610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装置
JP2011075764A (ja) 表示装置
JP4179956B2 (ja) 自動車の操作パネル
JP2003146113A (ja) 車両用空調スイッチ
JP2003083775A (ja) 車両用表示装置
KR0115922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조작 표시장치
KR100727867B1 (ko) 조작다이얼의 구조
JP6996905B2 (ja) 空調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9113545A (ja) 車両の空調用操作装置
KR100813760B1 (ko) 차량의 컨트롤모드 조명구조
KR100866621B1 (ko) 차량 콘트롤 스위치의 노브 어셈블리
EP1093967A2 (en) A lighting unit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0145377B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조절노브구조
KR19980030277A (ko) 자동차용 콘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