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703Y1 -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 Google Patents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703Y1
KR200239703Y1 KR2020010010405U KR20010010405U KR200239703Y1 KR 200239703 Y1 KR200239703 Y1 KR 200239703Y1 KR 2020010010405 U KR2020010010405 U KR 2020010010405U KR 20010010405 U KR20010010405 U KR 20010010405U KR 200239703 Y1 KR200239703 Y1 KR 200239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cover plate
gas
outl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이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석 filed Critical 이준석
Priority to KR2020010010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703Y1/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배관에 장착되는 안전밸브용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10)의 출구(12)에 커버를 설치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상기 배기관(10)의 상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2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24)로 이루어진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부(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배기관(10)의 출구(12)를 덮는 커버플레이트(30)와, 상기 지지부(24)에 고정되어 커버플레이트(30)의 개방시 예정된 위치에서 커버플레이트(30)와 간섭하여 회전력을 완충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진 배기관의 커버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물질 등의 유입을 제한하게 되고, 충격흡수수단이 커버플레이트의 회전력을 완충하여 압력에 의해 커버플레이트가 날아가거나 또는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 것은 물론, 스페이서에 의해 출구의 상단주연에 틈새가 형성되므로 폭발후 배기관내의 가스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가스가 잔류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Out-let cover for relief pipes}
본 고안은 가스배기관의 커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배관에 장착되는 안전밸브에 연결되어 가스배관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의 출구를 커버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배관에는 배관의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여 폭발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배관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안전밸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안전밸브는 가스배관내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개방되어 배기관을 통해 가스를 배출하여 가스배관내의 압력을 떨어트리게 된다.
그 일례를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일정한 방향으로 가스가 흐르게 되는 가스배관(1)상에 가스의 흐름을 단속하는 메인밸브(2)가 설치되고, 이 메인밸브 일측(상세하게는, 메인밸브로 가스가 들어가기 이전의 위치)에 가스배관(1)내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셋팅되어 있는 안전밸브(3)가 장착된다. 이 안전밸브(3)에는 일측상부로 연장되는 배기관(10)이 설치되어 있다. 안전밸브(3)는 가스배관(1)내의 압력이 설정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배기관(10)을 통해 가스배관(1)내의 가스를 배출하여 가스배관(1)내의 압력을 떨어트리게 된다.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상당히 높은 압력에 의해 큰 힘을 갖고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폭발하는 형태로 배출되어진다.
그런데 상기 배기관(1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대기중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은 물론, 이물질의 누적에 의해 배기관로가 막히게되어 배출성능이 저하될 우려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배기관의 상단을 측방 즉, 횡방향으로 절곡하여 출구가 상부를 향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기관의 출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가스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므로 인접하는 타 시설에 피해를 주게 될 우려를 갖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배기관 내에 가스가 잔류하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순간적으로 고압분사된후 가스배관내의 압력이 설정압 이하로 떨어지면 배출이 정지되므로 배기관 내에 가스가 잔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출구부분이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잔류가스의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다른 예로는 상기 배기관의 출구에 뚜껑을 설치한 것이 구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뚜껑이 단순하게 출구를 막고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가스 배출시 고압에 의해 뚜껑이 날아가 버리게 되므로 관리자는 가스배출시에 매번 다시 뚜껑을 설치해야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배기관의 출구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기관상에 반영구적으로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배기관의 커버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잔류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가스 폭발후 배기관 내에 가스가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기관의 커버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기관이 설치된 가스배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스배관 2: 메인밸브
3: 안전밸브 10: 배기관
20: 지지수단 22: 고정부
24: 지지부 30: 커버플레이트
32: 경첩 32a: 볼트
34: 회전축 36: 스페이서
40: 충격흡수수단 42: 실린더
44: 피스톤 46: 완충고무
S: 틈새
이러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고압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의 출구에 커버를 설치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상기 배기관의 상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배기관의 출구를 덮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커버플레이트의 개방시 예정된 위치에서 커버플레이트와 간섭하여 회전력을 완충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으로 이루어진 배기관의 커버구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배기관의 출구와 틈새를 형성하도록 이격설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와 커버플레이트사이에 틈새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 출구의 주연과 대응하는 위치에 스페이서를 간헐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커버플레이트가 출구에 안착되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기관 커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배기관(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수단(20)과, 이 지지수단(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배기관(10)의 출구를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30)와, 상기 지지수단(20)에 고정되어 커버플레이트(30)의 회전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수단(20)과 커버플레이트(30)는 대기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에 페인팅을 실시하여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열거되는 결합용 각종 볼트 및 너트등도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20)은 하부에 상기 배기관(10)의 상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2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24)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22)는 용접 또는 나사결합등에 의해 배기관(10)에 고정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배기관(10)에 예정된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고, 볼트(26a)와 너트(26b)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정부(22)의 내면 즉, 배기관(10)과 접하는 면에는 탄성고무(28)를 전체적으로 접착하여 배기관의 결합성 및 조립시의 배기관(10) 및 고정부(22)의 페인팅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0)는 원형으로 구성되는 금속판으로서, 적어도 배기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이 커버플레이트(10)는 경첩(32)에 의해 지지부(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경첩(32)은 일단이 회전축(34) 및 너트(34a)에 의해 지지부(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볼트(32a)와 너트(32b)에 의해 커버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이때 경첩(32)과 커버플레이트(30)사이에는 탄성고무(38)를 개재하여 결합성 및 조립시의 페인팅손상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수단(40)은 지지부(24)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부(24)에 고정되는 실린더(42)와, 이 실린더(42)에 대해 진퇴 작동하는 피스톤(44)그리고, 피스톤(44)의 선단에 고정되는 완충고무(46)로 구성된다. 실린더(42)는 오일을 밀폐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피스톤(44)이 후퇴하면 오일이 압축이동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오일압력에 의해 복원하며 피스톤(44)을 원래의 위치, 즉,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플레이트(30)의 개방시에는 상기 충격흡수수단(40)의 완충고무(46)와 충돌하는 커버플레이트(30)의 상면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커버플레이트(30)의 상면 중에 상기 완충고무(46)와 만나는 위치에 상기 경첩(32)과 커버플레이트(30)의 결합을 위한 볼트(32a)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플레이트(30)의 개방시에는 볼트(32a)의 상면이 완충고무(46)와 접하게 되므로 커버플레이트(30)가 받는 충격이 작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커버플레이트(30)의 저면에 배기관(10)의 출구(12)의주연과 대응하는 위치에 스페이서(36)가 간헐적으로 배치된다. 이 스페이서(36)는 커버플레이트(30)가 출구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도 커버플레이트(30)와 출구사이에 틈새(S)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배기관내의 가스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틈새(S)(도 3참조)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지지수단(20)이 배기관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구현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즉, 고정부(22)의 볼트결합위치를 원하는 틈새만큼 상부로 이동시켜 배기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커버플레이트(30)와 출구(12)사이에 틈새(S)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커버플레이트(30)가 출구를 막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즉, 가스배관(1)내의 압력이 정상을 유지할 경우에는 커버플레이트(30)가 출구(1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스배관(1)내의 압력이 설정압을 초과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밸브(3)가 개방되어 고압가스가 배기관(10)을 통해 순간적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커버플레이트(30)는 회전축(34)을 기준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개방되어진다. 이때 커버플레이트(30)는 대략 수직에 인접한 위치에서 볼트(32a)가 완충고무(46)와 접하게 되므로 피스톤(44)이 후퇴하게 되고, 실린더(42)는 오일 압축과 동시에 피스톤(44)의 이동을 서서히 감속시키며 커버플레이트(30)의 회전력을 완충흡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배기관(10)을 통한 가스의 배출시간은 극히 짧은 순간에 완료되므로 피스톤(44)은 오일압에 의해 복원하며 최초의 위치로 복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플레이트(30)는 수직점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다시 배기관의 출구(12)를 막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 즉, 커버플레이트(30)가 원위치 한 상태에서는 커버플레이트(30)와 출구(12)사이에는 스페이서(36)에 의해 틈새(S)가 유지되므로 배기관(10)내에 잔류하는 가스는 자체적으로 또는 바람의 이동에 편승하여 대기로 방출되어 지므로 배기관 내에는 가스가 잔류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기관 커버구조는 커버플레이트가 항시 배기관의 출구를 막고 있으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제한하게 되고, 가스배출시에는 압력에 의해 커버플레이트가 열리고 동시에 충격흡수수단이 커버플레이트를 완충하여 압력에 의해 커버가 날아가거나 또는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 것은 물론, 스페이서에 의해 출구의 상단주연에 틈새가 형성되므로 폭발후 잔류하는 가스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배기관 내에 가스가 잔류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고압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10)의 출구(12)에 커버를 설치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상기 배기관(10)의 상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고, 고정부(2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24)가 일체로 구성된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부(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배기관(10)의 출구(12)를 덮는 커버플레이트(30)와,
    상기 지지부(24)에 고정되어 커버플레이트(30)의 개방시 예정된 위치에서 커버플레이트(30)와 간섭하여 회전력을 완충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커버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30)는 배기관(10)의 출구(12)와 틈새(S)를 형성하도록 이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커버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30)의 저면에는 배기관(10)의 출구(12)의 주연과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플레이트(30)와 출구사이에 틈새(S)를 형성하도록 스페이서(36)가 간헐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관의 커버구조.
KR2020010010405U 2001-04-13 2001-04-13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KR200239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05U KR200239703Y1 (ko) 2001-04-13 2001-04-13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05U KR200239703Y1 (ko) 2001-04-13 2001-04-13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703Y1 true KR20023970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05U KR200239703Y1 (ko) 2001-04-13 2001-04-13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7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963B1 (ko) 2018-04-25 2018-11-15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963B1 (ko) 2018-04-25 2018-11-15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368A (en) Waterproof pit cover
US6648010B1 (en) Check valve plate with anti-pressure surge device
EP2218885B1 (en) Rain hat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JP4486162B1 (ja) フラップゲート
KR200239703Y1 (ko) 배기관의 출구 커버구조
RU2537478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CN2931978Y (zh) 缓冲止回阀
US6539976B1 (en) Water hammer arrester
CA1297760C (en) Non-return valve
JP4680206B2 (ja) 流量を増大させた圧力逃がし装置
CN217108345U (zh) 一种具有缓闭功能的旋启式止回阀
JP3178608U (ja) フラップゲート
CN215806672U (zh) 一种直动式防爆型电磁阀
KR200231069Y1 (ko) 수격방지용 체크밸브
CN104763047B (zh) 管道旋转封堵装置
CN220770264U (zh) 一种带防冲刷功能的排渣阀
JP3624104B2 (ja) 消火栓用ダストシール
KR200284326Y1 (ko) 체크밸브용디스크암파손방지구조
CN109990121B (zh) 一种旋启式止回阀
KR101036141B1 (ko)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자동차단밸브
CN212616535U (zh) 一种防逆流止回阀
CN211474966U (zh) 一种自动消能侧翻拍门
JP7286332B2 (ja) 逆止弁
CN219639595U (zh) 一种调节阀阀盖
CN118008982A (zh) 一种空气弹簧储气结构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