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680Y1 -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680Y1
KR200239680Y1 KR2020010009529U KR20010009529U KR200239680Y1 KR 200239680 Y1 KR200239680 Y1 KR 200239680Y1 KR 2020010009529 U KR2020010009529 U KR 2020010009529U KR 20010009529 U KR20010009529 U KR 20010009529U KR 200239680 Y1 KR200239680 Y1 KR 200239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furnace
incinerator
heat
furn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곤
Original Assignee
김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곤 filed Critical 김상곤
Priority to KR2020010009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68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는 상기 소각로(1)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금속, 비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용해 및 가열하는 것으로서, 상기 소각로(1)와 열교환기(3) 사이의 연소가스통로(4) 상에 설치되는 메인가스량조정기(11), 상기 메인가스량조정기(1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통로(12)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복합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다수의 노(13,13a,13aa,13b,13bb,13n,13nn), 폐가스열교환기(14)가 상기 노 중에서 최종의 노(13nn)로부터 출력되는 연소가스의 열로 다른 난방라인(2a)을 가열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노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가스량조정기(11a,11b,11aa,11bb)를 포함하며, 소각로(1)에서 나오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하여 가열되는 최초의 노(13a)에 1400℃이하에서 용융되는 금속을 녹이게 되고, 차례로 용융점이 낮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노(13b,13n)에 넣어서 용융 또는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각로에서 출력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금속, 비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용해하는 가열로, 용해로, 소결로 등의 노를 포함하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이용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연소가스의 효율을 증대하여 자원을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FURNACE SYSTEM USED IN FIRE FROM INCINERATOR}
본 고안은 가연성 폐기물 소각로에서 출력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한 노(爐)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각로에서 출력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금속, 비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용해 및 가열함으로써 자원을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폐기물이나 산업 폐기물 중에는 가연성 물질이 많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연성 폐기물은 지역의 난방시스템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여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소각로(101), 상기 소각로(101)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난방라인(102)을 가열하는 열교환기(103), 상기 열교환기(103)를 경유한 연소가스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분리하는 건식 또는 습식 집진기(104)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기(104)를 경유한 연소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는 난방라인(102) 내부에서 흐르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난방라인(102)을 지역의 아파트 등으로 공급하여 난방이나 온수로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을 용이하게 재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물을 가열하는 데 소요되는 열량이 매우 작아서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량 손실이 많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소가스의 활용도가 매우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각로에서 출력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금속, 비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용해, 가열하는 시스템을 포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효율을 증대하여 자원을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여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소각로, 상기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난방라인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연소가스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분리하는 집진기로 이루어지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에 있어서, 소각로와 열교환기 사이의 연소가스통로 상에 설치되고 연소가스의 양을 조정하여 연소가스를 분기통로로 분리 유통하는 메인가스량조정기, 상기 메인가스량조정기와 연결된 분기통로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하나이상의 다수의 노, 상기 노 중의 최종의 노로부터 출력되는 연소가스의 열로 난방라인을 가열하는 폐 가스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종래에 관련하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각로 4 : 연소가스통로
11 : 메인가스량조정기 11a,11b,11ab,11bb : 보조가스량조정기
12 : 분기통로 13,13a,13ab,13b,13bb,13n,13nn : 노
14 : 폐가스열교환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노가열장치는 소각장치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1400℃이하에서 용융되는 금속, 비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용해, 가열하는 것이다.
상기 소각장치는 소각로(1)에서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여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하게 되고, 가정이나 산업 현장에 공급되는 고온의 온수 또는 증기를 공급하는 난방라인(2)을 가열하는 열교환기(3)가 상기 소각로(1)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받아서 난방라인(2)을 가열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기(3)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건식 또는 습식 집진기(4)에서 먼지 등이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노가열장치는 상기 소각로(1)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용해하는 것으로서, 상기 소각로(1)와 열교환기(3) 사이의 연소가스통로(5) 상에 설치되는 메인가스량조정기(11), 상기 메인가스량조정기(1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통로(12)와 직렬로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다수의 노(13a,13b,13n), 폐가스열교환기(14)가 상기 노 중에서 최종의 노(13n)로부터 출력되는 연소가스의 열로 다른 난방라인(2a)을 가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가스량조정기(11)는 상기 소각로(1)와 열교환기(2) 사이의 연소가스통로(5) 상에 설치되고, 소각로(1)로부터 유출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조정하여 분기통로(12)로 분리하여 흐르게 하고, 상기 분기통로(12)의 연소가스의 열로 상기 노(13a,13b,13n)를 가열하게 한다.
상기 노(13a,13b,13n)는 용해로, 가열로, 소결로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일 예로써 다수 개로 구성되어 직렬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메인가스량조정기(11)와 연결된 분기통로(12)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차례로 가열하게 된다.
즉 상기 연소가스는 최초로 노(13a)를 가열하게 되고, 그 다음 노(13b)를 가열하며, 최종적으로 노(13n)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폐가스열교환기(14)는 상기 노 중의 최종의 노(13n)로부터 출력되는 연소가스의 열로 난방라인(2a)을 가열하게 되며, 폐가스열교환기(14)를 경유한 연소가스는 공지의 집진기(4)에 유입되어 먼지 등이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 가열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노(13a)에 1400℃ 근처에서 용해되는 금속을 내장하고, 노(13b)에 용융점이 보다 낮은 금속을 내장하게 되며, 노(13n)에 합성수지를 내장하여 메인가스량조정기(11)를 조정하여 소각로(1)로부터 유출되는 연소가스량을 조정한다.
그러면 고온의 연소가스가 노(13a)를 가열하고, 노(13a)의 경유한 연소가스의 온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노(13b)를 가열하며, 연소가스의 온도가 더욱 떨어진 상태에서 노(13n)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노(13a,13b,13n)에 내장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다.
상기 연소가스는 최후의 노(13n)를 가열하게 되면 온도의 저하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열교환기(14)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온도는 매우 떨어진 상태가 되고, 열교환기(14)를 다른 경로로 통과하는 난방라인(2a)을 다시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는 고온의 연소가스의 활용도를 용이하게 향상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다수의 노를 직렬, 병렬, 직병렬복합과 유기적복합 중의 하나로 상호 연결한 수 있는 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노(13,13a,13aa,13b,13bb,13n,13nn)를 직렬과 병렬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의 쇄선과 같이 다수의 노(13,13a,13aa,13b,13bb,13n,13nn)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예는 각각의 노에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조정하면서 연소가스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보조가스량조정기(11a,11b,11aa,11bb)가 상기 노(13,13a,13aa,13b,13bb,13n,13nn)의 입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게 되면 많은 숫자의 노(13,13a,13aa,13b,13bb,13n,13nn)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소가스의 열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고안에 사용되는 폐가스열교환기(14)를 삭제하고, 최종의 노(13n)를 통과한 연소가스를 공지의 열교환기(3)로 리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렇게 본 고안은 소각로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용융되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어 자원을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는 소각로에서 출력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금속, 비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별도로 각각 용해 및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가스의 열을 효율적으로 활용도를 증대하여 자원을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에서 고온으로 소각하기 때문에, 유독성의 가스자체도 완전 연소를 할 수 있어 외기로 유출되는 유해 가스의 유해성을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여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소각로, 상기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난방라인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연소가스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분리하는 집진기로 이루어지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에 있어서,
    소각로와 열교환기 사이의 연소가스통로 상에 설치되고 연소가스의 양을 조정하여 연소가스를 분기통로로 분리 유통하는 메인가스량조정기,
    상기 메인가스량조정기와 연결된 분기통로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하나이상의 다수의 노,
    상기 노 중의 최종의 노로부터 출력되는 연소가스의 열로 난방라인을 가열하는 폐가스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는 직렬, 병렬과 직병렬복합 중의 하나로 상호 연결되며, 각각의 노에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조정하면서 연소가스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보조가스량조정기가 상기 노의 입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KR2020010009529U 2001-03-31 2001-03-31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KR200239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29U KR200239680Y1 (ko) 2001-03-31 2001-03-31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29U KR200239680Y1 (ko) 2001-03-31 2001-03-31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680Y1 true KR200239680Y1 (ko) 2001-10-11

Family

ID=7309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529U KR200239680Y1 (ko) 2001-03-31 2001-03-31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6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02B1 (ko) * 2001-03-31 2004-04-27 김상곤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02B1 (ko) * 2001-03-31 2004-04-27 김상곤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5467B2 (ja) 廃棄物処理設備の操炉方法及び廃棄物処理設備
CN110220204A (zh) 一种垃圾焚烧协同处理污泥的系统及方法
KR200239680Y1 (ko)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KR100428202B1 (ko)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시스템
RU210650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в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газопаро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е и газопаросиловая установка
JP2001317715A (ja) 固形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4343931B2 (ja) 燃焼溶融炉及び燃焼溶融炉の運転方法
KR100886190B1 (ko) 탈질공정을 갖는 엔진 열병합발전소 배기가스 환원분위기조성용 버너
CN206918999U (zh) 一种基于烟气再循环的二次风系统
KR101842772B1 (ko)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JP2007002825A (ja) 廃棄物発電方法
CN204325274U (zh) 一种带水冷壁的一体式垃圾等离子体气化炉
CN106482333A (zh) 燃烧沼气的垃圾锅炉热风系统
JP6947608B2 (ja) 廃棄物処理設備及び廃棄物処理設備の運転方法
KR200263257Y1 (ko) 가연성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한 노가열장치
CN101413668B (zh) 全自动废气热力焚烧装置
CN211526720U (zh) 一种具有辅热装置的热风炉
KR200269704Y1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측방향 표면 용융시스템
Kropáč et al. Industrial and hazardous waste combustion and energy production
KR200239782Y1 (ko) 가연성 폐기물 소각시스템을 이용한 발생가스 재활용장치
KR20060017963A (ko) 폐기물 소각장치의 제2가스 환류시스템
CN100578087C (zh) 化工装置放空尾气处理余热回收系统
KR101855115B1 (ko) 연소산화장치를 구비한 폐연료 처리 및 에너지 생성 시스템
JP2000266324A (ja) 廃棄物熱分解処理装置
JP3027330B2 (ja) 廃棄物の焼却・溶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