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397Y1 -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397Y1
KR200239397Y1 KR2020010010413U KR20010010413U KR200239397Y1 KR 200239397 Y1 KR200239397 Y1 KR 200239397Y1 KR 2020010010413 U KR2020010010413 U KR 2020010010413U KR 20010010413 U KR20010010413 U KR 20010010413U KR 200239397 Y1 KR200239397 Y1 KR 200239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fan
coupled
gear
rot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윤
Original Assignee
신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윤 filed Critical 신상윤
Priority to KR2020010010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39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선풍기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 모터의 주축이 선풍기의 하중, 즉 외력(P)에 의해 발생되는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출된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용 모터를 구비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되는 통상의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모터는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모터 몸체와; 상기 회전모터 몸체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1단부, 양면이 절단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제 2,3,4단부 및 외력이 작용되는 제 5단부로 이루어지는 주축과; 상하면에 각각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축의 제 4단부에 결합되는 주축기어와; 중앙에 양측면이 절단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기어의 상하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상부 와셔 및 하부 와셔와; 상기 주축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보스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모터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축에 작용된 외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처짐을 플랜지와 보스가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 구조는 각종 가전제품(선풍기, 에어콘, 회전난로 등)의 회전용 모터에 설치된 주축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고, 상기 주축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선풍기의 하중에 의해 상대적으로 주축기어에 발생하는 힘을 방지하여 회전모터 내부에 설치된 주축기어의 이가 부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주축기어가 보호됨으로써 가전제품의 회전기능이 보존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AFT OF AN ELECTRIC FAN MOTOR}
본 고안은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선풍기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 모터의 주축이 선풍기의 하중, 즉 외력(P)에 의해 발생되는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출된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에는 선풍기, 에어콘, 회전난로 등이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전제품들은 대체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가전제품을 구동하는 주모터 이외에 일정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용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회전용 모터는 주모터와 연결된 전원 또는 별도의 전원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도록 다수의 기어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기어유닛과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주축유닛을 설치하며, 상기 기어유닛의 물림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축유닛의 주축에 각종 가전제품(본 고안에서는 선풍기를 그 실시예로 한다.)을 연결 설치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전제품-일실시예로서 선풍기-이 회전하는 경우, 직접적으로 외력(P)(선풍기의 무게)이 작용되는 주축에는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이 외력(P)에 의해 처짐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용 모터(100)는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축(22)은 회전용 모터(100)의 중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편심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용 모터(100)에 설치된 주축(22)은 일측에 설치된 커버(32) 일면에 끼워져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축(22)에는 일정한 힘, 즉 선풍기의 무게가 외력(P)로서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외력(P)은 그 하중에 따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작용되는데, 역학적으로는 외팔보의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주축(22)에 처짐량(A)이 발생한다.
상기 처짐량(A)은 그 반대편에 설치된 주축기어(16)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이때에는 상기 커버(32)를 지점으로 하는 단순보의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반대방향의 힘(상승력)이 작용되어 기어유닛과 서로 맞물려 있는 주축기어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 주축유닛의 주축기어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기어를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주축의 처짐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은 주축기어의 회전력을 저해하고, 심한 경우에는 기어의 이빨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부러지게 되어 이후에는 선풍기의 좌우 또는 상하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주축과 연결되는 별도의 보조기어를 사용하는 타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기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구성도 일부에서는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역시 주축기어와 주축을 결합시켜야 하는 바, 상기 주축을 주축기어에 끼울 때, 주축기어가 부러지거나 이탈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은 우리들의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각종 가전제품(선풍기, 에어콘, 회전난로 등)에 모두 적용되며, 실제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 회전기능이 쉽게 고장나게 되므로서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을 감수하면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회전용 모터에 설치된 주축에 작용되는 외력(P)에 대하여 발생하는 주축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주축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고, 가전제품의 회전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선풍기용 회전모터의 주축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보조기어가 주축기어에 구비되어 일체형 사출물로 제조된 주축유닛의 주축기어를 사용할 수 있고, 주축이 주축기어에 일체로 구비된 사출물로 제조된 주축기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선풍기용 회전모터의 주축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축기어와 결합되는 주축이 길 경우, 보스를 플랜지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풍기용 회전모터의 주축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이 외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주축이 일체로 형성된 주축기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보조기어가 형성된 주축기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모터 몸체 12 : 기어유닛
14 : 하부 와셔 16 : 주축 기어
20 : 상부 와셔 22 : 주축
32 : 회전모터 커버 34 : 플랜지
36 : 보스
100 : 회전용 모터
102 : 주축유닛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회전용 모터를 구비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되는 통상의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모터는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모터 몸체와; 상기 회전모터 몸체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1단부, 양면이 절단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제 2,3,4단부 및 외력이 작용되는 제 5단부로 이루어지는 주축과; 상하면에 각각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축의 제 4단부에 결합되는 주축기어와; 중앙에 양측면이 절단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기어의 상하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상부 와셔 및 하부 와셔와; 상기 주축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보스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모터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축에 작용된 외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처짐을 플랜지와 보스가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축기어는 일측부에 플랜지와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보조기어가 형성된 일체형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축기어는 일측부에 플랜지와 결합되는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5단부가 형성된 일체형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의 커버에 형성된 플랜지에 보스가 더 결합되어 주축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주축이 일체로 형성된 주축기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보조기어가 형성된 주축기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우선, 도 2 내지 도 3을 참고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가전제품(선풍기,에어콘,회전난로 등)에 사용되는 회전용 모터(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 하면에 원형의 홈이 형성된 결합부(11)가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모터 몸체(10)와, 상기 회전모터 몸체(10)의 내부에 서로 맞물려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수용되는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되는 기어유닛(12)과, 상기 결합부(11)에 주축(22)의 하단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유닛(12)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주축유닛(102)과, 일측면으로 플랜지(3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4)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보스(36)를 구비한 커버(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32)에는 다수의 통공(도면부호 도시안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34)에 끼워져서 고정된 보스(36)에는 상기 주축유닛(102)의 주축(22)이 끼워진다.
상기 보스(36)에는 주축(22)이 끼워지게 되는 바, 상기 보스(36)가 주축(22)의 일측부를 잡아줌과 동시에 외력(P)에 대한 처짐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보스(34)의 외주면에 결합된 플랜지(36)가 다시 한번 보스(36)를 잡아줌으로써 상기 보스(34)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 주축유닛(1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스(36)에 삽입되는 주축(22)과, 상기 주축(22)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제 4단부(30)에 결합되는 상부 와셔(20)와, 상기 상부 와셔(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안착부(18)를 양면에 구비한 주축기어(16)와, 상기 상부 와셔(20)가 결합 안착되는 그 반대편에 결합되는 하부 와셔(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와셔(14) 및 상부 와셔(20)의 중앙에는 양측부에 절단면이 형성된 장공(15,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와셔(14)는 일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한 탄력성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축(22)은 제 1단부(24)와, 제 2단부(26), 제 3단부(28) 및 제 4단부(30)와, 제 5단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3,4 단부(26,28,30)는 양면이 절단된 장방형의 축단부로서 상기상부 및 하부 와셔에 형성된 장공(15,21)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단부(24)는 상기 회전모터 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11)의 홈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진다.
상기 제 2단부(26) 및 제 3단부(28)는 상기 주축(22)이 주축기어(16)와 결합된 상태에서 코킹(Calking)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 4단부(30)는 상기 상부 와셔(20)와, 주축기어(16)이 결합되어 밀착되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 와셔(20)와 주축기어(16)가 끼워지는 제 4단부(30)는 억지끼워맞춤 또는 중간끼워맞춤의 공차를 주어 '딱'하는 경쾌한 소리와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주축(22)에 하중이 걸리는 경우 상기 상부 와셔(20)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 5단부(23)는 전술된 보스(36)와 결합되어 하중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보스(36)에 삽입 결합된 주축(22)은 보스(36)에 의해 제 5단부(23)가 지지하고, 상기 보스(36)는 다시 플랜지(34)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다시 말하면, 각종 가전제품(선풍기, 에어콘, 회전난로 등)의 사용시 회전용 모터의 주축에 가해지는 선풍기의 무게, 즉 외력(P)에 의해 발생하는 주축(22)의 처짐량(A)을 보스(36)와 플랜지(34)가 지지함으로써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주축기어(1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사출물로 제작 성형된 주축기어(42,44)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일체형 주축기어(42)는 주축기어(16)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축부(38)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38)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22)의 제 5단부(23)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한다. 이때 사용되는 재질은 플라스틱과 각종 합성수지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주축기어(44)는 주축기어(16)의 일측 방향으로 영장되도록 축부(38)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38)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조기어(40)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기어(40)의 일측방향으로 연장시켜서 제 5단부(23)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성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주축기어(42) 및 주축기어(44)는 각각의 가전제품에 따라 호환성있게 사용되어지고, 상기 주축기어(42) 및 주축기어(44)는 상기 회전모터 커버(32)에 끼워질 때, 플랜지(34)에 각각의 주축기어(42,44)의 축부(38)가 결합되어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주축기어(16)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커버(32)를 지점으로 하여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힘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기어유닛(12)과 결합되어 있는 주축기어(16)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소비자는 각종 회전용 가전제품을 잔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축기어(16)와 주축(22)을 조립하여 사용하지 않고, 상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주축(22)을 다양하게 변경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주축(22)에 기어를 제작하여 상기 주축(22)이 상대측 기어유닛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고, 주축기어(16)에 주축(22)을 압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축기어(16)에서 주축(2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보스(3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랜지(36)는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는 호환성이 뛰어나고, 각종 가전제품(선풍기, 에어콘, 회전난로 등)의 회전용 모터에 설치된 주축의 처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고, 상기 주축의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선풍기의 하중에 의해 상대적으로 주축기어에 발생하는 힘을 방지하여 회전모터 내부에 설치된 주축기어의 이가 부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주축기어가 보호됨으로써 가전제품의 회전기능이 보존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회전용 모터를 구비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되는 통상의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모터는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모터 몸체와;
    상기 회전모터 몸체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1단부, 양면이 절단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제 2,3,4단부 및 외력이 작용되는 제 5단부로 이루어지는 주축과;
    상하면에 각각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축의 제 4단부에 결합되는 주축기어와;
    중앙에 양측면이 절단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기어의 상하면 안착부에 결합되는 상부 와셔 및 하부 와셔와;
    상기 주축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보스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모터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축에 작용된 외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처짐을 플랜지와 보스가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기어는 일측부에 플랜지와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보조기어가 형성된 일체형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기어는 일측부에 플랜지와 결합되는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5단부가 형성된 일체형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커버에 형성된 플랜지에 보스가 더 결합되어 주축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KR2020010010413U 2001-04-13 2001-04-13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KR200239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13U KR200239397Y1 (ko) 2001-04-13 2001-04-13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13U KR200239397Y1 (ko) 2001-04-13 2001-04-13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397Y1 true KR200239397Y1 (ko) 2001-10-11

Family

ID=7309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13U KR200239397Y1 (ko) 2001-04-13 2001-04-13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7790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KR20060127737A (ko) 전기 팬
KR200239397Y1 (ko)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보강구조
US20070231163A1 (en) Motor assembly structure
US5619082A (en) Electric motor with sealing structure resisting the entry of sand and dust
KR101563205B1 (ko) 환풍기
JP2008121610A (ja) 送風機の羽根車のボス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送風機の羽根車
KR900006301Y1 (ko) 뮤직 박스의 드럼
JP2011163244A (ja) 送風機
CN208874397U (zh) 马达以及电气设备
EP4005443A1 (en) Multifunctional cooker
US6800975B2 (en) Electric motor shaft access cover
US20080178636A1 (en) Washing machine
KR20010067998A (ko) 선풍기 회전용 모터의 주축유닛구조
CN109854714B (zh) 蜗轮单元、齿轮箱、齿轮马达及包含齿轮马达的电气产品
CN210015812U (zh) 旋钮开关组件和具有其的线控器
JPH08240329A (ja) 空調機の室外ユニット
EP1028514B1 (en) Miniature motor unit
US20220360135A1 (en) Motor support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220254254U (zh) 电机组件和家用电器
US7228794B2 (en) Kitchen appliance
CN210137247U (zh) 驱动装置以及电气产品
CN219035127U (zh) 风机及清洁机器人
JP3788247B2 (ja) プラスチックマグネットロータ、このプラスチックマグネットロータを用いた電動機、及びこの電動機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115628540A (zh) 导风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