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214Y1 -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214Y1
KR200239214Y1 KR2020010010587U KR20010010587U KR200239214Y1 KR 200239214 Y1 KR200239214 Y1 KR 200239214Y1 KR 2020010010587 U KR2020010010587 U KR 2020010010587U KR 20010010587 U KR20010010587 U KR 20010010587U KR 200239214 Y1 KR200239214 Y1 KR 200239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opening
switchgear
power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2020010010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214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 삽입에 따른 전원 공급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에 포함되어 있는 전원 또는 키 삽입에 의해 회로적으로 연결된 전원을 공급 받아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도록 한,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에 있어서, 키가 삽입되며 상기 키의 전기 회로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키 삽입수단; 및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Power Source}
본 고안은 키 삽입에 따른 전원 공급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는 개폐 장치는 금속 키를 사용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 외에도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버튼식 개폐 장치, 각종 전자 카드 키를 사용한 개폐 장치 및 지문, 홍채 등의 인식을 이용한 개폐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중, 금속 키를 사용하는 개폐 장치는 그 사용상의 간편성으로 현재 가장널리 이용되고 있는 개폐 장치이지만, 상기 금속 키를 쉽게 모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 철저하게 요구되는 장치나 시설물에는 그 사용이 제한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금속 키를 이용한 개폐 장치는 구지 금속 키를 모조하지 않더라도 누구든지 키 삽입부에 키 외의 금속 이물질들을 삽입한 후 적절한 회전과 압력을 가하게 되면 쉽게 개폐 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에 포함되어 있는 전원 또는 키 삽입에 의해 회로적으로 연결된 전원을 공급 받아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도록 한,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중 키의 또 다른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중 개폐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에 있어서, 키가 삽입되며 상기 키의 전기 회로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키 삽입 수단; 및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개폐 장치는 출입구에 있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 뿐만 아니라, 금고, 자동차 문, 차고 문, 잠금 장치 등 각종 개폐가 요구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출입구에 있는 도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개폐 장치를 예로하여 설명하겠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장치는, 전원을 구비한 키(10), 키가 삽입되는 경우 개폐 장치내의 전기 회로와 키의 전원을 회로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키 삽입부(20), 및 키 입력에 따라 공급된 전원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을 구비한 키(10)(이하, 간단히 “키”라 함)는 단순히 개폐 장치를 기계적으로 개폐 시키기 위한 용도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개폐 장치 내의 전원 공급 수단으로 이용되어 개폐부(30)를 전기적으로 개폐 시키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즉, 상기 키(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내에 전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도 1 에 도시된 키의 경우에는 상기 키를 키 삽입부(20)에 삽입시킨 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리느냐에 따라 전원의 양극과 음극이 변화하게 되어, 개폐부(30)의 구동기(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개폐기(32)를 열림 상태 또는 잠김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 장치를 개폐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키 삽입부(20)와 기계적으로 일치하는 보조키(10)를 사용해야 하며, 동시에 상기 보조키(1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 시켰을 때 보조키(10) 내의 회로와 보조키 삽입부(20) 내의 회로가 연결되어 키 삽입에 따라 공급된 전원이 구동기(3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키(10)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키 내의 전원과 회로의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또다른 예가 도 2 에 도시 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30)의 구동을 위하여 특정 볼트(V)의 전원만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볼트(V)에 대한 정보가 없는 부정 사용자가 지정된 볼트(V) 이외의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정 사용자로 인식하여 침입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키(10)에 포함되는 전원으로는 건전지 뿐만 아니라 각종 전원 공급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장치는 상기한 특정 볼트(V)의 전원을 초과하는 비정상적인 키가 사용된 경우를 감지하여 인입 전원을 차단하는 한편 각종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감지 및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장치는 상기 키(10)에 전원을 구비함으로써 구동기(31)를 구동 시킬 수도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키(10)가 아닌 개폐 장치내의 보조 전원부(40)에 보조 전원을 둘 수도 있다.
즉, 상기 키 삽입부(20)는 키 삽입부와 일치되는 키가 삽입되는 경우에 개폐 장치 내의 회로와 키(10) 내의 보조 전원을 회로적으로 연결시켜 개폐부의 구동기(31)를 구동 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키 내가 아닌 개폐 장치 내의 보조 전원부(40)에 별도의 보조 전원을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보조 전원과 개폐 장치 내의 전원을 회로적으로 연결시켜 개폐부의 구동기(31)를 구동 시킬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키 외의 비정상적인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회로를 연결시킬 수 없어 구동기(31)를 구동 시킬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키 삽입부(20)는 상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 및 통지부(50)에 통지하기 위한 진단기(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기는 각종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30)는 키(10)에 의한 전원(또는 보조 전원부(40)의 보조전원)에 의해 도어를 개폐 시키는 장치로서,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장치가 구비된 도어와 셋트로 구성된 문틀내의 삽입구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태로부터 방출되는 기능을 수행하여 개폐 장치의 잠금 또는 열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폐기(32) 및 개폐기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중 키의 또 다른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키(10)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키(10)에는 전윈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과 키 삽입부(20) 내 회로와의 연결을 위해 키(10) 내에도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키(10)는 단순히 키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느냐 아니면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느냐에 따라 전원의 극성을 달리하여 개폐부(30)에 전달함으로써 도어가 열림 또는 잠김 상태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 2 에 도시된 키(10)의 경우에는 키(10) 내에서 전원의 극성을 조절하여 도어의 열림 상태 또는 잠김 상태를 제어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키(10)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1)를 위쪽(또는 아래쪽) 회로에 접하도록 한 후 키 삽입부(20)에 삽입시켜도어를 열 수 있으며, 도어를 잠그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1)를 아래쪽(또는 위쪽) 회로에 접하도록 한 후 키 삽입부(20)에 삽입시킴으로써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도 2 와 같은 구성을 갖는 키(10)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스위치(11)조작에 따라 구동기(31)를 열림 또는 잠김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키 삽입 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키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11)의 위치 및 회로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1)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 시킨 후에는 상기 스위치(11)가 어떠한 회로적 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은 중간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복구부)((예를 들어 스프링 등과 같은 탄력이 있는 장치들)(12)를 키(10)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키(10)의 미사용시에 회로가 연결되어 전원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중 개폐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개폐부(30) 내의 개폐기(32)와 구동기(31)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구동기(31)에 의해 개폐기(32)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문틀 등에 있는 삽입구(70)로 들어 가거나 빠져 나옴으로써 도어가 잠기거나 열리게 되는데, 이때 구동기(31)에서 개폐기(32)로 일정한 힘을 전달해 주어 개폐기(32)가 이동할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특히 도 3 에 도시된 방법과 같이 구동기(31)와 개폐기(32)를 일정길이의 스크루(screw)로 연결함으로써 구동기(31)에 의해 스크루가 회전하면서 개폐기(32)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무단 침입자가 개폐기(32)를 강제로 밀어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개폐부(30)의 구성에 있어서는 개폐기(32)가 구동기(31)에 의한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만 잠금 상태로 가거나 열림 상태로 갈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개폐기(32)를 열림 상태로 밀더라도 밀리지 않는 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3 에 도시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기(31)와 개폐기(3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개폐 장치내의 구동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을 키 내부에 포함시킴으로써 키를 사용한 개폐 장치의 보안을 이중으로 보장해 줄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개폐 장치를 무단으로 침입하고자 하는 침입자는 단순히 키만을 복제해서는 안되며, 그 안에 포함된 전원의 용량까지도 정확히 일치시켜 주어야 하므로 그 보안이 철저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키의 복제 없이 이물질들을 키 삽입부에 삽입시켜 강제 개폐를 유도한다고 하더라도 전원의 공급이 없이는 개폐부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에 있어서,
    키가 삽입되며 상기 키의 전기 회로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키 삽입 수단;및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개폐 수단을 구동 시킬 수 있는 상기 전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개폐 수단을 열림 상태 또는 잠김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의 극성을 바꿀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스위치가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전원을 구비한 회로와 접속된 후 상기 힘이 소멸되었을 때, 상기 스위치를 상기 접속 상태로부터 해제하여 중립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 수단은,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키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진단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외부의 삽입구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삽입구로부터 방출되어 잠금기능과 열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폐기; 및
    상기 개폐기를 전기적 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포함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구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잠김 상태 또는 열림 상태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내에 상기 전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키 입력에 따른 회로 구동을 위한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에 따른 과부하 여부를 감지하여 인입 전원을 차단하고 각종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한 감지 및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일반적인 출입구의 도어, 자동차 도어, 금고, 잠금 장치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KR2020010010587U 2001-04-14 2001-04-14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KR200239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87U KR200239214Y1 (ko) 2001-04-14 2001-04-14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87U KR200239214Y1 (ko) 2001-04-14 2001-04-14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214Y1 true KR200239214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587U KR200239214Y1 (ko) 2001-04-14 2001-04-14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835B1 (ko) 2008-09-11 2010-11-2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서랍형 금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835B1 (ko) 2008-09-11 2010-11-2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서랍형 금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1912B2 (ja) 施錠装置
EP1450312A3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JPH11505000A (ja) スイッチ内蔵キャビネットの扉、機械装置ハウジング等を施錠するための保安装置
CN105089371A (zh) 一种电子锁的控制方法及该类型电子锁
EP1647942B1 (en) Biometric security assembly
CA2240560C (en) Control circuit for selectively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an electrically controlled lock actuator
GB2278394A (en)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KR200239214Y1 (ko) 전원을 이용한 개폐 장치
CN104481310B (zh) 一种五防闭锁装置及闭锁方法
KR20140142397A (ko) 보안 도어로크
CN112950831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安防用弱电门禁装置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102396909B1 (ko) 개폐 방향이 하나인 불투명한 전자식 문
KR100418212B1 (ko)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JP2021525339A (ja) 機械または産業プラント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安全ハンドル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US20020047312A1 (en) Locking device for lock
CN103790444A (zh) 钥匙微动开锁自动记录电子锁机构
EP4093934B1 (de) Betätigungshandhabe und vorrichtung zur einbruchsicherung
KR200477808Y1 (ko) 보안 도어로크
KR101958314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출입문 제어 장치
GB2380224A (en) A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two independent locking mechanisms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0300160Y1 (ko) 지문인식형 도어록 장치
KR200219568Y1 (ko) 전원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