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568Y1 -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568Y1
KR200219568Y1 KR2020000032547U KR20000032547U KR200219568Y1 KR 200219568 Y1 KR200219568 Y1 KR 200219568Y1 KR 2020000032547 U KR2020000032547 U KR 2020000032547U KR 20000032547 U KR20000032547 U KR 20000032547U KR 200219568 Y1 KR200219568 Y1 KR 200219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key
output
power suppl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박익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장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장건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장건택
Priority to KR2020000032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568Y1/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전기 시스템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도통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키를 이용하여 전자키로부터 판독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전원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기 위한 입력단, 목적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출력단, 전자키를 감지하여 당해 전자키의 권한 정보를 독출하는 전자키 판독 수단,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수단, 상기 전자키 판독 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전자키의 권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출력 전원 통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본 고안은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전기 시스템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도통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키를 이용하여 전자키로부터 판독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시스템의 사용이 허락되지 않은 자에 의한 전기 시스템의 구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보안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의 하나가 전통적인 접점식 물리적 잠금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잠금 장치는 물리적인 작용에 의해 그 해제가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통적인 전원 공급 장치의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받는 시스템의 사용자의 인증을 통한 전원 통제 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자도 얼마든지 전원 공급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전자키를 이용한 통제 장치의 경우에는 전원 통제 장치가 시스템과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이 동작한 이후에야 비로소 사용자 인증 기능이 작동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시스템에의 전원 공급 자체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스템 자체에 통제 장치가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는 응용의 제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로써, 고안의 명칭이 컴퓨터 보안 장치이고 1999년 11월 30일 등록 공고된 대한민국 특허 제245595호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거의 모든 일반적인 전기 시스템에 필수적인 전원 공급을 사용자 식별용 전자키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통제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자키에 설정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전원 공급의 대상이 되는 전기 시스템에의 전원 공급을 차등화함으로써 시스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 통제, 케이스 개폐 통제 및 사용자 접근 통제 기능이 일체화된 전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수의 보안 키 또는 암증 수단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더불어 시스템에 사용자의 접근 히스토리를 기록함으로써, 사용자 통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기 위한 입력단,
목적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출력단,
전자키를 감지하여 당해 전자키의 권한 정보를 독출하는 전자키 판독 수단,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수단,
상기 전자키 판독 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전자키의 권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출력 전원 통제 수단
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입력단
105: 출력단
107: 전자키 판독기
109: 전원 변환 수단
111: 출력 전원 통제기
113: 제어부
200: 외부 전원
300: 목적 장치
400: 전자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200)을 입력받아 외부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되는 장치(300)로 필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이 때, 외부 장치(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키를 판독하여, 전자키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한다.
외부 전원(200)은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류 전원이다.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되는 외부 장치(300)는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전기 장치를 말하며, 개인용 컴퓨터, 산업용 장비, 그 밖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원 공급의 대상이 되는 외부 장치(300)를 목적 장치라 칭한다.
사용자의 권한이 기록되어 있는 전자키는 비접촉식 ID 카드, 비접촉식 IC 카드, 메모리 카드, 접촉식 메모리 카드, 자기 카드, 및 접촉식 메모리키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권한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이를 전자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키 또는 카드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키에 기록되는 권한은 관리자 등급, 마스터 등급, 일반 사용자 등급, 임시 등급 등으로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다. 관리자 등급은 마스터 등급이 기록된 전자키의 권한 및 등급을 관리할 수 있다. 마스터 등급은 일반 사용자 등급 및 임시 등급이 기록된 전자키의 권한 및 등급을 관리할 수 있고,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전원 장치(100) 또는 목적 장치(300)의 케이스의 개폐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일반 사용자 등급은 목적 장치(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 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의 공급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일반 사용자 등급은 목적 장치(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따라서 목적 장치(300)의 접근 범위 및 기능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다수의 소등급으로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임시 등급은 목적 장치(300)를 임시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써, 목적 장치(300)의 접근 범위 및 기능이 제한적으로 설정되는 등급을 말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의 한 실시예는, 외부 전원(200)과 접속되기 위한 입력단(103), 목적 장치(300)와 접속되기 위한 출력단(105), 전자키(400)를 감지하여 당해 전자키의 권한 정보를 독출하는 전자키 판독기(107), 입력단(103)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수단(109), 출력단(105)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출력 전원 통제기(111), 및 상기 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전자키 판독기(107)로부터 전자키에 기록된 권한 정보를 입력 받아,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 전원 통제기(111)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변환기(109)로부터 목적 장치(300)로 공급되는 전원은 목적 장치(300)의 작동 레벨에 따라 두 종류 이상의 공급 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목적 장치(300)와 접속되는 출력단(105) 역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 수 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출력단(105)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두 종류 이상 마련된 실시 형태는, 특히 전자키에 기록된 등급에 따라서 목적 장치(300)의 전원 공급 대상 범위를 구분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키에 기록되는 권한이 관리자 등급, 마스터 등급, 일반 사용자 등급, 임시 등급 등으로 구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전원의 공급 제어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자키의 권한 등급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 등급 및 마스터 등급인 경우에는 목적 장치(300)의 전 부분에 접근할 수 있고 전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출력 전원이 통제된다. 또한, 일반 사용자 등급 또는 임시 등급인 경우에는 출력단(105)의 출력 전원 중에서도 목적 장치(300)의 각 부분 중 당해 사용자에게 권한이 허용된 부분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출력 전원만을 도통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가 갖는 기능으로써, 입력 전원 감시 및 임시 전원 공급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 전원 감시 및 임시 전원 공급 기능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기능을 위해서, 전원 장치(100)는 외부 전원(200)으로부터의 공급 전원이 목적 장치(300)를 가동시키는데 적절치 못할 경우에 목적 장치(300)에 외부 전원(200) 대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 전원부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원 장치(100)는 입력단으로부터의 입력 전원을 감시하고 이를 제어부로 통지하기 위한 입력단 감시부, 입력단(103)의 전원 입력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입력 전원 통제기, 및 전원 변환기(109)로부터 출력단(105)으로의 전원 공급을 부 전원부로부터 출력단(105)으로 절환하기 위한 전원 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13)는 입력단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전원이 목적 장치(300)를 가동시키기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에는 입력단(103)으로부터 전원 변환 수단으로 전원이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입력 전원 통제기를 제어하고, 부 전원부로부터 출력단(105)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절환부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13)는 입력 전원이 목적 장치(300)를 가동시키기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에, 이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목적 장치(300)로 내보낼 수 있다. 이러한 신호를 입력받은 목적 장치(300)는 자체적으로 작동중인 데이터 또는 프로세스의 보존이나 전원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어부(113)가 입력 전원이 목적 장치(300)를 가동시키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입력 전원의 전력을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고,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턱값은, 예를 들면 목적 장치(300)를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가 갖는 기능으로써, 전자키 판독기(107)에 의해 독출된 전자키(400)의 권한 정보를 목적 장치(300)에 전달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즉, 전자키 판독기(107)에 의해서 독출된 권한 정보 자체가, 또는 권한 정보를 변형한 신호를 목적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목적 장치(300)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로부터 이러한 권한 정보를 입력받아 자체 보안 기능 또는 등급에 따른 작동 통제에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가 갖는 기능으로써, 전자키 판독기(107)에 의해 독출된 전자키(400)의 권한 정보에 따라서 전원 장치(100) 또는 목적 장치(300)의 케이스의 개폐를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전원 장치의 케이스 개폐 통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전원 장치(100)는 모든 구성 요소를 포위하고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케이스는 또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개방을 허용하는 개폐 제어부에 의해 개방이 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13)는 전자키 판독기(107)로부터의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전자키에 기록된 권한이 케이스의 개방을 허용하는 등급인 경우, 케이스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개폐 제어부로 출력한다.
목적 장치(300)의 케이스 개폐 통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목적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 및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개폐 제어부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전자 신호에 따라서 케이스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형태의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전자키 판독기(107)로부터의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 장치(300)의 케이스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개폐 제어부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키에 기록되는 권한이 관리자 등급, 마스터 등급, 일반 사용자 등급, 임시 등급 등으로 구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마스터 등급인 경우에만 케이스 개방을 허용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가 갖는 기능으로써, 목적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목적 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목적 장치(300)에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공급 통제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과, 전원 공급 통제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100)로 출력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전원 장치(이 때, 제어부(113)는 목적 장치(3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어 신호 입력단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 때, 제어부(113)는 목적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 입력단을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신호를 출력 전원 통제기(111)로 출력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개인들이 소지하고 있는 비접촉 ID 카드 또는 자기 카드와 같은 전자키에 기록된 아이디 정보 또는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 통제 및 사용자 통제를 동시에 구현함으로 비인가자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권한 범위에 따라 사용권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키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케이스의 잠금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외부전원을 가지고 동작해야 하는 장비에 있어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외부 전원과 접속되기 위한 입력단,
    목적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출력단,
    전자키를 감지하여 당해 전자키의 권한 정보를 독출하는 전자키 판독 수단,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 수단,
    상기 전자키 판독 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전자키의 권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출력 전원 통제 수단
    을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원 통제 수단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출력 전원 통제기, 및
    상기 전자키의 권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 전원 통제기로 하여금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 전원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부 전원 수단, 및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입력 전원을 감지하고 입력 전원의 전력이 소정의 문턱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전원 변환 수단으로 전원이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부 전원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원 출력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절환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 판독 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전자키의 권한 정보를 상기 목적 장치에 전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수단을 포위할 수 있고 개방이 가능한 케이스 및
    상기 전자키 판독 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전자키의 권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의 출력 전원을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출력 전원 통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KR2020000032547U 2000-11-21 2000-11-21 전원 제어 장치 KR200219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47U KR200219568Y1 (ko) 2000-11-21 2000-11-21 전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47U KR200219568Y1 (ko) 2000-11-21 2000-11-21 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568Y1 true KR200219568Y1 (ko) 2001-04-02

Family

ID=7309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47U KR200219568Y1 (ko) 2000-11-21 2000-11-21 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5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182A (en) Electronic security lock
JP2004528655A (ja) 周波数方式
US20080246583A1 (en) Access Control System
US7889060B2 (en) Active radio tag,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security management method
US20090031397A1 (en) Use management system
CN1908354A (zh) 密码锁
US20080190749A1 (en) Safety switch
KR200219568Y1 (ko) 전원 제어 장치
US20060088192A1 (en) Identification system
US5911080A (en) Computer system whose power supply is controlled by an identification card and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computer system
EP1821264A2 (en) Safety switch
CN208073221U (zh) 功能扩展装置及自动门控制系统
GB2446912A (en) Access control having antipassback
KR100653033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KR200188799Y1 (ko) 출입관리장치
JP200419219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18090213A1 (zh) 一种基于计算机的加解密系统及加解密方法
JP2002373030A (ja) 電子ロック機能付きドアを有する電子計算機
KR200363941Y1 (ko) 비밀번호와 지문입력을 이용하는 도어락 장치
KR100314409B1 (ko) 램 데이타 비상 소거 장치
KR100245595B1 (ko) 컴퓨터 보안장치
JP2005163406A (ja) 入室管理装置
JP2001005875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室管理方法及び退室管理方法
KR20020076986A (ko) 개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20040413A (ko) 지문취득장치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