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909Y1 -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909Y1
KR200238909Y1 KR2020000034995U KR20000034995U KR200238909Y1 KR 200238909 Y1 KR200238909 Y1 KR 200238909Y1 KR 2020000034995 U KR2020000034995 U KR 2020000034995U KR 20000034995 U KR20000034995 U KR 20000034995U KR 200238909 Y1 KR200238909 Y1 KR 200238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a
air conditioner
prefil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to KR2020000034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909Y1/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건축물에서 외부 공기를 적정 온도의 공기로 전환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프리필터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내로 실외 공기가 공급됨에 있어서, 최초로 프리필터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나 분진이 여과되므로 송풍압을 가장 많이 받게 되어 필터의 여재가 송풍압의 저항에 의해 함몰되거나 찢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필터 여재 일측면에 스틸 재질의 알루미늄 메쉬를 일체로 접착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필터 여재가 송풍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별도의 보강재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프레임의 제조가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운 순수 펄프로 제작 가능하게 한 프리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PRE-FILTER FOR AIR HANDLING UNI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로 유입될 때 가장 먼저 공기의 먼지나 분진 등을 여과하는 프리필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 내의 프리필터는 설치 위치가 외부 공기를 가장 먼저 받고 있으므로 송풍압을 가장 많이 받게 되어 필터 여재의 강도가내구성에 중요하게 작용되고, 먼지나 분진의 여과를 가장 많이 포집하게 되므로 필터 자체의 교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필터의 교체 및 폐기 처리가 용이해야 한다.
종래의 프리필터의 필터 여재는 공기중의 분진 등의 포집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직포 등으로 필터 여재의 면적을 최대화하고, 프레임에 조립되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정의 폭으로 다중 절곡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갖도록 하고, 프레임을 스틸 재질로 하고 프레임과 일체로 보강대 등을 설치하여 여재가 송풍압으로 변형되거나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부직포 등의 재료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조된 필터 여재 자체로서는 송풍압에 의한 유동이 심하고 송풍압에 의해 겹쳐지거나 변형, 또는 찢어지는 경우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지그재그로 형성된 여재의 확실한 변형 방지책이 요구된다.
또한, 설치 위치의 특성상 필터의 교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스틸 재질로 된 필터는 교환후 폐기 처리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환경을 해치는 문제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프리필터의 지그재그로 형성된 필터 여재가 강한 송풍압에 대한 변형 및 찢어짐을 최소화하고 필터의 교체 후에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여재의 일측면 전체에 알루미늄 메쉬를 접착한 후 공기중의 먼지나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일체로 절곡하여서 필터 여재를 형성하여 송풍압에 의한 여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프레임의 재질을 천연 펄프로 하여 완전 연소로 소각이 가능하게 하여 환경 친화적인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터의 필터 여재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여재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여재가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터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필터 여재 2 : 알루미늄 메쉬
4 : 프레임 5 : 프레임 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중의 먼지나 분진을 여과하기 위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통상 2μ(MICRON)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여재(1)가 공기 조화기 내에서 흐르는 송풍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하기 전(前) 과정의 전개된 상태에서, 필터 여재(1)의 일측면에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철사와 같이 가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격자로 된 알루미늄 메쉬(2)를 접착제(3)에 의한 본딩 처리를 통하여 접착 고정시킨다. 알루미늄 메쉬(2)는 탄성이 없고 인장력이 강한 재질의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급격한 굴곡이 발생하여도 절단되거나 원형으로의 복귀가 되지 않는 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필터 여재(1)에 알루미늄 메쉬(2)를 접착 고정시킨 후에는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필터 여재(1) 조립체를 소정의 일정 간격으로 지그재그하여 절곡하게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 여재(1)를 형성할 수 있다.
알루미늄 메쉬(2)가 접착되어 일체로 절곡된 필터 여재(1)는 알루미늄메쉬(2)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의 강한 송풍에도 필터 여재(1) 형상 변형이 없이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필터 여재(1)는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도 겹쳐짐을 방지하게 되어 여과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메쉬(2)가 필터 여재(1)의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필터 여재(1)의 국부적인 변형이 없게 되어 고른 포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알루미늄 메쉬(2)는 필터 여재(1)의 일측면에만 접착되어 있고, 공기조화기의 설치 방향은 알루미늄 메쉬(2)가 송풍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가 됨으로써, 필터 여재의 전체 면적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여과 효율이 증가하고 공기에 의한 저항이 고르게 분포되어 공기중의 먼지나 분진 등을 고르게 포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절곡된 필터 여재(1)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4)은 순수 펄프 재질로 하여 폐기 처리시 완전 연소가 가능하게 소각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빈번하게 교체하는 프리필터(10)의 사용된 폐기품을 재사용 없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완전 연소가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적인 프리필터(10)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4)의 재질이 순수 펄프로 되어 프리필터(10)의 무게가 가벼워져 공기조화기 내에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되는 방향 즉, 알루미늄 메쉬(2)가 접착된 방향으로 프레임(4)과 일체로 하는 프레임 보(5)를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필터 여재(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 여재(1)가 알루미늄 메쉬(2)와 프레임 보(5)에 의해 확실하게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완벽한 먼지나 분진의 포집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는 필터 여재의 변형 방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물이 필요하지 않고 필터 여재 자체에 알루미늄 메쉬를 접착하므로써, 필터 여재의 전체 면에 고르게 분포된 알루미늄 메쉬에 의해 국부적으로 편심된 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필터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순수 펄프 재질의 프레임은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 공기조화기 내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사용된 후 폐기 처리시에도 완전 연소로 소각이 가능하게 하여 소각시 공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게 하고, 별도의 폐기 처리 비용이 필요하지 않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일체로 하는 프레임 보에 의해 필터 여재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된 알루미늄 메쉬(2)와,
    알루미늄 메쉬(4)가 필터 여재(1)의 일측면 전체에 일정하게 분포되어 필터 여재(1)와 일체로 지그재그 현상으로 절곡된 것과,
    상기 필터 여재(1)를 지지하도록 하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프레임 보(5)가 프레임(4)과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4)은 순수 펄프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KR2020000034995U 2000-12-14 2000-12-14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KR200238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95U KR200238909Y1 (ko) 2000-12-14 2000-12-14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95U KR200238909Y1 (ko) 2000-12-14 2000-12-14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909Y1 true KR200238909Y1 (ko) 2001-09-25

Family

ID=7309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95U KR200238909Y1 (ko) 2000-12-14 2000-12-14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6089A (en) Two-stage air filter with multiple-layer stage and post-filter stage
US6409785B1 (en) Cleanable HEPA filter media
US6221122B1 (en) Filter element and methods
US6602328B2 (en) Gas turbine suction air filter, a gas turbin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368621A (en) Filtering air cleaner cov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76998B1 (ko) 유체를 여과하는 필터 장치
US20090151312A1 (en) Flexible size adjustable filter element
JP2007032409A (ja) エアクリーナ
US8828129B2 (en) Two-stage air filter and mask incorporating the same
JP2008114222A (ja) ガスタービンのエアフィルター
KR200238909Y1 (ko) 공기조화기용 프리필터
JP5580515B2 (ja) ポケット形エアフィルター
JPH0527442B2 (ko)
US20030037521A1 (en) Liquid resistant filter assembly
KR20160035929A (ko) 창문설치용 필터
JP4019120B2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H08108015A (ja) 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4929B1 (ko) 중앙공조장치용 리필형 필터와 이를 구비한 중앙공조장치
KR101504112B1 (ko) 자동차의 에어크리너용 필터
JP2011230107A (ja) 袋形エアフィルタ
JP2003181223A (ja) 空調用フィルタ
JP2948694B2 (ja) 排ガスフィルタ
KR100304596B1 (ko) 가스터빈의 흡기 정화용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3024732A (ja) 空調用粗塵フィルタ
CN219186279U (zh) 空气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