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824Y1 -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824Y1
KR200238824Y1 KR2020010011603U KR20010011603U KR200238824Y1 KR 200238824 Y1 KR200238824 Y1 KR 200238824Y1 KR 2020010011603 U KR2020010011603 U KR 2020010011603U KR 20010011603 U KR20010011603 U KR 20010011603U KR 200238824 Y1 KR200238824 Y1 KR 200238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module
acoustic transducer
soldering
elect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훈
Original Assignee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filed Critical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Priority to KR2020010011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82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회사의 설계에 따른 주문에 의해 제작된 접속 단자를 갖는 접속 단자 모듈을 제작하여 제공하므로써, 제조 회사 마다 서로 다른 휴대폰 내부 회로 기판의 설계에 적합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는 경사진 판체로 되어 일측 단부에 만곡진 텐션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음향 변환기의 보이스 코일이 납땜 연결되도록 하는 면상의 납땜부가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접속 단자의 납땜부 상부면을 제외한 납땜부를 수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저면에 고정핀이 다수개 형성된 소켓으로 구성된 접속 단자 모듈이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케이스 일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고 일체로 돌출 형성하되, 상부면에 접속 단자 모듈의 고정핀을 삽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Connecting terminal module of a speaker and receiver}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회사의 설계에 따른 주문에 의해 제작된 접속 단자를 갖는 접속 단자 모듈을 제작하여 제공하므로써, 제조 회사 마다 서로 다른 휴대폰 내부 회로 기판의 설계에 적합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단말기에는 자기 회로를 가지는 스피커나 리시버 등과 같은 전자 음향 변환기가 내장되어 진동기 능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자 음향 변환기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텐션 절곡부(2)를 갖는 접속 단자(3)가 전자 음향 변환기(1)의 외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전자 음향 변환기(1)는 휴대폰 케이스(4)의 음 발생 구멍(5) 일측 내부에 설치하되, 휴대폰 본체 케이스(4) 내측면에 스페이서(4')를 통해 고정시키며, 전자 음향 변환기(1)의 접속 단자(3)가 휴대폰 내부의 회로 기판(6)의 터미널(7)과 면 접촉하므로써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전자 음향 변환기(1)의 접속 구조는 각 휴대폰 제조 회사 마다 규격이 서로 다른 회로 기판(6)을 사용하게 되므로 휴대폰 내의 일정한 위치 (예컨데, 수화기에 해당되는 음 발생 구멍 부분)에 설치되는 전자 음향 변환기(1)와 회로 기판(6)과는 유격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어느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 음향 발생기(1)의 접속 단자(3)와 회로 기판(6)의 터미널(7)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여 별도의 접속 부재 및 콘넥터 등을 사용하여 접속하거나 아예 다른 전자 음향 발생기를 접속 사용해야하는 등 호환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 부품의 특성상 규격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구조는 휴대폰 제조 회사의 제품 설계가 제한될 수밖에 없으므로 다양한 제품 설계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회로 기판(6)에 적합한 접속 단자(3)를 갖는 전자 음향 변환기(1)의 제작은 주문 시 접속 단자(3)를 갖는 전자 음향 변환기를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회사의 설계에 따른 주문에 의해 제작된 접속 단자를 갖는 접속 단자 모듈을 제작하여 제공하므로써, 제조 회사 마다 서로 다른 휴대폰 내부 회로 기판의 설계에 적합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는 경사진 판체로 되어 일측 단부에 만곡진 텐션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음향 변환기의 보이스 코일이 납땜 연결되도록 하는 면상의 납땜부가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접속 단자의 납땜부 상부면을 제외한 납땜부를 수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저면에 고정핀이 다수개 형성된 소켓으로 구성된 접속 단자 모듈이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케이스 일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고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상부면에 접속 단자 모듈의 고정핀을 삽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향 변환기에 구비된 접속 단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접속 단자로 인해 발생되는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착탈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a,b는 본 고안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접속 단자 모듈 11 : 텐션 절곡부 12 : 납땜부
13 : 접속 단자 14 : 고정핀 15 : 소켓
20 : 전자 음향 변환기 21 : 케이스 22 : 요홈
23 : 고정부 24 : 스피커부 25 : 리시버부
26 : 보이스 코일 26': 보이스 코일 단말
첨부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착탈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a,b는 본 고안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는 경사진 판체로 되어 일측 단부에 만곡진 텐션 절곡부(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음향 변환기(20)의 스피커부(24)와 리시버부(25)의 보이스 코일(26)의 단말(26')이 납땜 연결되도록 하는 면상의 납땜부(12)가 형성된 한쌍의 접속 단자(13)와, 접속 단자(13)의 납땜부 상부면(12')을 제외한 납땜부(12)를 수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저면에 고정핀(14)이 다수개 형성된 소켓(15)으로 구성된 접속 단자 모듈(10)의 고정핀(14)을 전자 음향 변환기의 케이스(21) 일측에 돌출 시킨 다수개의 요홈(22)이 형성된 고정부(23)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부(24)는 요크(24-1), 마그네트(24-2), 보이스 코일(24-3), 진동판(24-4), 더스트 커버(24-5) 및 받침 스프링(24-6)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시버부(25)는 스피커부(24)의 요크(24-1)와 마그네트(24-2)를 병용하고 있으며 보이스 코일(25-3), 진동판(25-4) 및 더스트 커버(2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접속 단자(13)는 어떠한 형태에 관계없이 주문에 의해 텐션력 등을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접속 단자 모듈(10)의 소켓(15)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핀(14)이 전자 음향 변환기 케이스(21)의 고정부(23)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홈(22)에 삽지, 이탈되도록 하므로써 전자 음향 변환기(20)의 케이스(21)로부터 접속 단자 모듈(10)을 분리시켜 교체가 가능하여 첨부 도면 도 6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5) 내의 회로 기판(6)과 전자 음향 변환기 케이스(21)와 유격의 차이가 있을 경우 전자 음향 변환기(20)로부터 접속 단자 모듈(10)을 분리하여 적정한 규격의 접속 단자 모듈(10)로 교체하여 회로 기판(6)의 터미널(7)에 정확히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전에 휴대폰 케이스(5) 내의 회로 기판(6)과 전자 음향 변환기(20)와의 유격 거리를 판단하여 이에 맞는 접속 단자(13)를 갖는 접속 단자 모듈(10)을 전자 음향 변환기(20)의 고정부(23)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예컨데, 서로 다른 휴대폰 제조 회사에서 설계한 회로 기판(6)이 회로 구성에 의해 상이한 경우에 회로 기판(6)의 넓이, 길이 및 모양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대부분 따라 휴대폰 케이스(5) 내의 음 발생 구멍(4) 부분에 고정되는 전자 음향 변환기(20)와 휴대폰 케이스(5)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회로기판(6)과의 유격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으므로 넓이, 길이 및 모양을 달리하는 접속 단자(13)를 갖는 접속 단자 모듈(1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별도로 전자 음향 변환기를 제작하지 않더라도 어떠한 휴대폰 제조 회사의 제품과도 호환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리시버와 스피커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를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리시버, 스피커 및 버저 등 각각의 음성 변환기에도 적용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전자 음향 변환기와 접속 단자 모듈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각각의 휴대폰 제조 회사의 제품에 따라, 즉, 휴대폰 케이스 내의 회로 기판과 전자 음향 발생기 케이스와의 유격 차이에 따라 별도의 전자 음향 변환기를 제작하지 않고 접속 단자 모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휴대폰 제조 회사가 제품을 설계 후 전자 음향 변환기를 주문할 경우 전자 음향 변환기는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면서도 접속 단자 모듈만을 제작하여 접속이 가능하므로써 전자 음향 변환기를 제작하는 제작 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폰 제조 회사의 제품 설계의 범위를 확대시킴과 동시에 설계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체적으로는 경사진 판체로 되어 일측 단부에 만곡진 텐션 절곡부(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음향 변환기의 보이스 코일(26)의 단말(26')이 납땜 연결되도록 하는 면상의 납땜부(12)가 형성된 한쌍의 접속 단자(13)와, 접속 단자(13)의 납땜부 상부면(12')을 제외한 납땜부(12)를 수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저면에 고정핀(14)이 다수개 형성된 소켓(15)으로 구성된 접속 단자 모듈(10)의 고정핀(14)을 전자 음향 변환기의 케이스(21) 일측에 돌출 시킨 다수개의 요홈(22)이 형성된 고정부(23)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KR2020010011603U 2001-04-23 2001-04-23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KR200238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603U KR200238824Y1 (ko) 2001-04-23 2001-04-23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603U KR200238824Y1 (ko) 2001-04-23 2001-04-23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824Y1 true KR200238824Y1 (ko) 2001-10-12

Family

ID=7306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603U KR200238824Y1 (ko) 2001-04-23 2001-04-23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8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386B1 (ko) 인쇄회로 기판용 접촉 단자
US10827242B2 (en) Speaker assembly
US10848843B2 (en) Speaker box
EP1003317B1 (en) An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ing body
CN108810767B (zh) 扬声器及扬声器的制作方法
EP1699258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JP2006129038A (ja) 携帯端末
KR100417015B1 (ko) 전자 장치용 스피커
US6814623B2 (en) Connector for speaker
US20060166561A1 (en) Audio jack connector
KR200238824Y1 (ko) 착탈 가능한 전자 음향 변환기의 접속 단자 모듈
CN108024183B (zh) 弹片引脚装置及发声器件
JP3179408U (ja) 直立型コネクター及びその取付構造
JP3556592B2 (ja) 振動部品用コネクタ
JP4274564B2 (ja) 多極コネクタ
US20070036387A1 (en) Speaker with reduced height
KR200236189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휴대폰 설치구조
KR200256710Y1 (ko) 마이크로폰의 접속핀
JP4094535B2 (ja) 部品実装用コネクタ
JP3856433B2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KR100518116B1 (ko) 마이크로폰 홀더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2468912A (zh) 扬声器箱
KR200478506Y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피커 또는 리시버의 조립 구조
KR200225443Y1 (ko) 전자 음향 변환기의 터미널 접속 구조
KR100511218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