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95Y1 -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595Y1
KR200238595Y1 KR2020010006593U KR20010006593U KR200238595Y1 KR 200238595 Y1 KR200238595 Y1 KR 200238595Y1 KR 2020010006593 U KR2020010006593 U KR 2020010006593U KR 20010006593 U KR20010006593 U KR 20010006593U KR 200238595 Y1 KR200238595 Y1 KR 200238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gear
unit
moto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최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규 filed Critical 최현규
Priority to KR2020010006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595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창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의 안팎에서 1쌍의 청소장치가 동시에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세척수 등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청소를 하는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모터와, 외부전원을 모터로 인입하는 전선과, 모터의 선단에 삽입된 스플라인으로 되는 동력부; 동력부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좌우 각 한 쌍의 스프라켓과, 좌우 각 쌍의 스프라켓간을 연결하는 작동벨트와, 스프라켓들의 축심에 회전자재로 삽착되는 브러시와, 동력부와 동력전달부를 둘러씌우는 케이스의 양옆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케이스의 저면에 장설되는 자석으로 되는 작동부; 케이스의 양측에서 각 브러시 측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노즐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호스로 되는 세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장치들이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적용되는 유리창은 넓이나 형상(곡면이나 특이형태 등)에 관계없이 청소가 가능하며, 특히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효율(속도)을 향상시켜서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설치 및 조작이 손쉽도록 하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Automatic cleaning device on the windowpane}
본 고안은 유리창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의 안팎에서 1쌍의 청소장치가 동시에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세척수 등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청소를 하는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에는 아파트나 비교적 높은 건물에서는 추락 등의 사고 위험성으로 인하여 특히 유리창의 외면을 닦기가 매우 곤란했으므로, 전문가에게 용역을 주어 건물 외부에서 로우프 또는 곤돌라 등에 매달려 유리창을 닦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 역시 안전사고 등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서 그로 인한 비용의 상승은 사용자에게 인건비 등의 경제적인 부담이 되었고, 게다가 물 청소시 지상의 통행인에게 피해를 주어 수시로 청소를 할 수 없게 되어 유리창이 늘 지저분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는 실내에서도 유리창의 외면을 닦을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로서는 본인의 등록특허 제203553호의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및 역시 본인의 특허출원인 제99-15374호의 '상하좌우 자동이동 유리창 청소장치' 등의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우스감개(510), 실외기(530) 및 실내기(550)로 유리창 내외면 청소장치를 구성하되, 호우스감개(510)는 고정구(511) 중앙에 호우스(51) 연결구(512)을 형성하여 이 연결구(512)를 축으로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 회전자재되게 회전구(514)를 축설하고, 고정구(511) 상부에 지지로울러(515)를 축착하고 그 하부에 유동공을 형성하여 상하이동대(517) 상부의 유동봉을 상하 유동되게 끼우고 이에 구동로울러(519)를 정역모터(520)에 의해 구동되게 축설하고, 상하이동대(517)를 스프링(521)(521')에 의해 항상 위로 당겨주게 구성하며, 실외기(530)는 세척포(52)를 내입되게 구성한 함체(531) 외부에 'ㄷ'자형 작동봉(532)을 축설하여 그 상부에 물방울제거용 고무(533)를 교체가능하게 구성된 물방울 제거대(534)를 축착하며, 함체(531)내측 상부에 모터(535)에 의해 회전되는 세척로울러(536)를 형성하고 중앙에 자석매착홈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을 매착하며, 함체(531) 상부에 급수구(539)를 형성하고 하부에 오수조(540)와 배수구(541)를 형성하며, 실내기(550)는 전기 실외기(530)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세척포(52)를 내입되게 한 함체(551) 중앙에 자석 매착홈(557)(557')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을 매착하고, 함체(551) 상부에 급수구(559)를 하부에 오수조(560)와 배수구를 형성하며, 함체(551) 중앙에 손잡이봉(562)을 유동가능하게 축착하여 호우스감개(510)의 호우스(51) 끝단을 실외기(530)의 급수구(539)에 연결하여 실외기(530)와 실내기(550)가 유리면을 사이에 두고 자석에 의해 흡착되게 하는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이다. 따라서, 이는 고층건물 등의 유리창 내외면을 전문가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가 직접 안전하면서도 매우 용이하게 수시로 닦을 수 있게 하고 실외기나 세척수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도 높으며, 장치전체의 무게가 무거워 작동에 무리가 있으며, 특히 동력을 부여하는 모터가 2개로되어 양측에 동일한 속도를 허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후자는 도 6에 구성상태로 도시하고 도 7에 분해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이동구(610), 유리창 청소구(640) 및 세척수 공급탱크로 유리창 자동 청소장치를 구성하되, 레일 이동구(610)는 전면 이동구(611)와 후면 이동구(621)로 분리 구성하여 전면 이동구(611) 상부에 모터(612)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 로울러(613)를 구성하여 스프링(614)에 의해 창문틀에 당접되게 하고, 전면 이동구(611) 내측면 일측에 레크봉과 가이드봉을 구성하며 그 옆에 보조 로울러를 형성하고, 후면 이동구(621)는 내측면 일측에 돌출부(622)를 형성하여 이에 가이드봉입공(626)(626')과 레크봉 삽입공(625) 및 고정구(624)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622) 내측에 측면보조로울러(631)(631')를 후면이동구(621) 내측 일측에 보조로울러(627)(627')를 구성하며, 전면 이동구(611)와 후면 이동구(621) 외측으로 측면보조로울러(618)(618')(628)(628')와 폭조정공(619')(629')이 형성된 조정대(619)(629)를 창문틀의 폭에 따라 조정할수 있게 조정나사(620)(630)로 결합하며, 후면이동구(621)의 조정대(629)에 레일고정간(623)을 구성하고, 전면이동구(611)와 후면이동구(621)를 창문틀을 사이에 두고 레크봉과 고정구(624)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하며, 유리창 청소구(640)는 측면 중앙에 레일 삽입공(641)(641')을 형성하며 내측 중앙부에 좌우이동로울러(642)를 모터(643)와 기어(644)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하고 좌우이동로울러(642) 하부에 스프링(645)을 형성하여 좌우이동로울러(642)와 레일(62)이 밀착되게 구성하고, 그 하부에 좌우전환스위치(646)를 구성하여 작동간(647)에 의해 좌우전환스위치(646)를 작동되게 구성하며 유리창 청소구(640) 상부에 세척수 공급노즐(648)을 하부에 오수조(649)와 배수구(650)를 형성하고 측면에 와이퍼(651)(651')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며, 세척수 공급탱크는 세재용수 탱크와 세척수 탱크, 급수펌프로 구성하여, 상기 레일 이동구(610) 레일 고정간(623)에 레일(62)을 고정시키고 이 레일(62)에 유리창 청소구(640)의 레일삽입홈(641)(641')을 통해 끼우고, 세척수공급노즐(648)과 세척수공급탱크를 호우스로 연결 구성하는 상하좌우 자동이동 유리창 청소장치인데, 유리창을 닦는 다는 목적 달성에는 이상이 없으나, 별개의 레일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장치를 조정하므로서 설치에 어려움이 많으며, 특히 유리창이 넓거나 곡면을 이루는 곳은 청소가 불가능하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아파트나 빌딩 등 고층건물의 유리창을 닦음에 있어서, 종래의 장치들이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즉 닦기 어려운 유리외면을 간단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면서, 유리창 청소구나 세척수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적용되는 유리창은 넓이나 형상(곡면이나 특이형태 등)에 관계없이 청소가 가능하며, 특히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효율(속도)을 향상시켜서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설치 및 조작이 손쉽도록 하는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 일부 개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제거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설치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안 구성상태도,
도 6은 종래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7은 종래 다른 고안의 분해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동력부
11: 모터 12:전선 13: 스플라인 14: 케이스
2: 동력전달부
21: 헬리컬기어 22: 헬리컬축 23: 구동기어 24: 수동기어
25: 변동기어 26: 감속기어셋 27: 스프라켓기어
28: 벨트
3: 작동부
31: 스프라켓 32: 작동벨트 33: 브러시 34: 헝겁브러시
35: 조향구 36: 자석
4: 세정부
41: 노즐 42: 세정호스
G: 창유리
51: 호우스 52: 세척포 510: 호우스감개 511: 고정구
512: 연결구 514: 회전구 515: 지지로울러 517: 상하이동대
519: 구동로울러 520: 정 역모터 521, 521': 스프링 530: 실외기
531: 함체 532: 작동봉 533: 고무 534: 물방울 제거대
535: 모터 536: 세척로울러 539: 급수구 540: 오수조
541: 배수구 550: 실내기 551: 함체 557, 557': 자석매착홈
559: 급수구 560: 오수조 562: 손잡이봉
62: 레일 610: 레일 이동구 611: 전면 이동구 612: 모터
613: 이동 로울러 614: 스프링 618, 618': 측면보조로울러
619: 조정대 619': 폭조정공 620: 조정나사 621: 후면 이동구
622: 돌출부 623: 레일 고정간 624: 고정구 625: 레크봉 삽입공
626, 626': 가이드봉 삽입공 627, 627': 보조로울러
628, 628': 측면보조로울러 629: 조정대 629': 폭조정공 630: 조정나사
631, 631': 측면보조로울러 640: 유리창 청소구 641, 641': 레일 삽입공
642: 좌우이동로울러 643: 모터 644: 기어 645: 스프링
646: 좌우전환스위치 647: 작동간 648: 세척수 공급노즐 649: 오수조
650: 배수구 651, 651': 와이퍼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내부를 알 수 있도록 케이스(14)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일부 개방 상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동력전달부(2)를 알 수 있도록 케이스(14)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와, 외부전원을 모터(11)로 인입하는 전선(12)과, 상기 모터(11)의 선단에 삽입된 스플라인(13)으로 되는 동력부(1); 상기 동력부(1)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 상기 동력전달부(2)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좌우 각 한 쌍의 스프라켓(31)과, 상기 좌우 각 쌍의 스프라켓(31)간을 연결하는 작동벨트(32)와, 상기 스프라켓(31)들의 축심에 회전자재로 삽착되는 브러시(33)와, 상기 동력부(1)와 동력전달부(2)를 둘러씌우는 케이스(14)의 저면에 장설되는 자석(36)과, 장치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조향구(35)로 되는 작동부(3); 상기 케이스(14)의 양측에서 상기 각 브러시(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41)과, 상기 노즐(41)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호스(42)로 되는 세정부(4);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가 상기 스플라인(13)과 치합되는 헬리컬기어(21)와, 상기 헬리컬기어(21)의 축심에 착설된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와 벨트(28)로 연결되어 상기 브러시(33)의 축심에 착설되는 수동기어(24)와, 상기 헬리컬기어(21)의 축심에 착설된 변동기어(25)와, 상기 변동기어(25)에 치합되어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어셋(26)과, 상기 스프라켓(31)의 옆에 착설되어 상기 감속기어셋(26)의 최종기어와 치합되는 스프라켓기어(27)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 설치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는 동일한 구조 1쌍을 창유리(G)의 내외면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하고(배치만 하면 저면의 자석이 서로 잡아당겨서 손쉽게 설치가 되며, 그 상세한 작용은 후술함), 전선{12; 이에는 동력전달선 및 통제선(무선이면 생략됨)이 포함됨}과 세정호스(42)를 적절히 펼쳐 놓음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에는 도 4의 설치 상태도를 참고로 그 작용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대별하여, 동력부(1)와 동력전달부(2)와 작동부(3) 및 세정부(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동력부(1)는 외부의 동력을 받아서 이를 회전력으로 전환하며, 이는 동력전달부(2)에 의하여 작동부(3)를 동작시켜서 장치가 유리창 위에서 전후 좌우 자재로이 이동하면서 청소를 하며, 이때 세정부(4)는 비눗물, 세제를 포함하는 액체 및 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보다 깨끗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하에 각부의 상세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력부(1)는 모터(11)와, 외부전원을 모터(11)로 인입하는 전선(12)과, 상기 모터(11)의 선단에 삽입된 스플라인(13)으로 되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모터(11)는 외부 전원의 변동으로 속도조절 및 정/역회전이 가능한 리니어 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전선(12)은 모터(11)에 동력만 공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이라도 가능하나, 청소용 장치에 사용되므로 누전을 방지하도록 피복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장치의 움직임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신수축이되는 형태, 즉 코일스프링상으로 말아진 형태(도 4참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전선(12)의 바람직한 처리를 위해서는 상술한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 제 203553호의 호우스감개(510)와 동일한 구조의 전선감개를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동력전달부(2)는 상기 동력부(1)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후술하는 작동부(3)로 적절히 전달하는 것으로, 이에는 공지의 어떠한 수단이라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는 예컨대 기어들의 연결이라던가 휠과 벨트의 조합 또는 기어와 체인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동력을 필요로 하는 곳은 후술하는 작동부(3)중 스프라켓(31)과 브러시(33)측인데, 이들을 함께 하여 하나의 전달 통로를 통해 동시에 회전시키던가 또는 별개의 전달통로로 하여 각각 회전시키던가 하는 모든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스프라켓(31)은 작동벨트(32)를 회전시켜 장치에 추진력을 주고 브러시(33)는 유리창을 닦아주는 장치이므로 그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작동부(3)는 상기 동력전달부(2)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좌우 각 한 쌍의 스프라켓(31)과, 상기 좌우 각 쌍의 스프라켓(31)간을 연결하는 작동벨트(32)와, 상기 스프라켓(31)들의 축심에 회전자재로 삽착되는 브러시(33)와, 상기 동력부(1)와 동력전달부(2)를 둘러씌우는 케이스(14)의 저면에 장설되는 자석(36)과, 장치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조향구(35)로 되는 것인데, 스프라켓(31)은 전후좌우 각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되고 전후간에는 작동벨트(32)로 연결되는데, 작동벨트(32)의 저면은 유리창과 밀착되어 회전하므로 작동벨트(32)가 유리창을 미는 힘에 의하여 장치는 추진력을 얻게되어 전 후진하게 되며{작동벨트(32)의 내면은 스프라켓(31)의 치에 합치되는 치를 가지는 타임벨트로 하고, 외면은 도면에서는 평활면으로 도시하였으나, 물이 뭍은 창유리(G)에서 이동될때에도 적절한 동작을 하도록 외면에 적절한 요철을 부여함이 바람직함},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2)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이 브러시(33)를 회전시켜서 브러시(33)가 유리창을 문지르면서 청소를 행하게 하며, 장치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조향구(35)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면(작동하는 조정판넬은 실내에 있는 조정자가 헨드링하는 리모콘 또는 조정기 임) 작동되는 조향구(35)측으로 장치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구(35)를 케이스(14)의 양측에 부착되는 솔레노이드로 하고 그 하단에 부착된 스토퍼(고무재)가 유리창에 밀착되어 그 방향의 전 후진을 제한하므로서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동력이 전달되는 어느 기어에 동력의 전달을 끈을 수 있는 장치(예컨대, 원판 마찰 디스크를 설치하는 것)를 추가하거나, 그 외에 기어간의 치합을 끊었다 이었다 하는 기구를 추가함으로서 간단히 이룰 수 있으며, 본 장치는 동일한 한 쌍이 유리창의 내외면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14)의 저면에 장설되는 자석(36)이 대향하는 다른 장치의 자석(36)과 자력에 의한 결합을 하게 되어 장치가 유리창에서 청소 작동시 탈락이 되지 않도록 하는데, 대향하는 자석(36)간에는 서로 반대 자극이 위치하도록 함은 상식이고, 장치 전체는 컴펙트하므로 가벼워서 작은 자석(36)으로도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나, 만약을 위해서는 케이스(14) 저면의 일정넓이를 자석(36)이 점하도록 하거나 2개 이상의 자석(36)을 배치하는 것도 일책이나, 너무 자력이 크면 장치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고{두께 12㎜의 창유리(G)에 설치하는 경우 실험적으로 1500가우스가 적당함}, 따라서 이에 비례하여 모터(11)도 커지게 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마지막으로, 세정부(4)는 상기 케이스(14)의 양측에서 상기 각 브러시(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41)과, 상기 노즐(41)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호스(42)로 되는 것으로, 이때의 세정호스(42)도 상술한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 제203553호의 호우스감개(510)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하므로서 세정호스(42)와 장치간의 간섭을 적절히 회피할 수 있으며, 브러시(33)는 유리창에 대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구석구석을 닦아주므로 세정수를 적게 사용하여도 깨끗한 청소를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과도한 세정수 사용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세정수의 낙하로 통행인에게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없게 되며, 청소는 예컨대, 처음에는 비눗물 또는 세제가 섞인 물을 소량씩 분출하여 찌든 때까지 탈락이 되도록 한 후 맑은 물을 분사하여 깨끗이 씻어 내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동력전달부(2)가 상기 스플라인(13)과 치합되는 헬리컬기어(21)와, 상기 헬리컬기어(21)의 축심에 착설된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와 벨트(28)로 연결되어 상기 브러시(33)의 축심에 착설되는 수동기어(24)와, 상기 헬리컬기어(21)의 축심에 착설된 변동기어(25)와, 상기 변동기어(25)에 치합되어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어셋(26)과, 상기 스프라켓(31)의 옆에 착설되어 상기 감속기어셋(26)의 최종기어와 치합되는 스프라켓기어(27)로 이루어진 것인데, 스플라인(13)과 헬리컬기어(21)는 서로 직교하는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므로 스플라인(13)측에서 헬리컬기어(21)측으로의 동력전달은 자연스러우나, 그 역은 동력전달이 차단되므로 모터(11)를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동력전달부(2)의 각 구성은 브러시(33)를 회전시키는 수동기어(24)로의 회전력 전달과, 작동벨트(32)를 회전시키는 스프라켓(31)으로의 회전력 전달을 별개의 통로로 하는 것인데, 특히 이는 감속기어셋(26)이 수동기어(24)와 스프라켓(31)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이 되도록 하여, 브러시(33)가 상대적으로 보다 고속의 회전이 되도록 하는 결과로 청소력을 향상시키게 되며, 이때 감속기어셋(26)의 기어를 추가/제거함으로서 회전방향을 상기와는 반대로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추진력 면에서는 도움이 되나 청소력은 축소를 시키는 결과이므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들은 장치에 전후진력(또는 조향력도 조절 가능함)을 주면서 브러시(33)로 유리창을 문지르고, 이때 필요에 따라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유리창을 닦는 것을 주로 언급했지만, 상기 브러시(33)는 착탈이 자재로운 구조이므로 브러시(33)대신에 천이 회전되는 헝겁브러시(34)를 장착하면, 유리창에 묻은 물도 깨끗이 닦아 낼 수 있어서 마무리까지도 완벽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일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딩 등 고층건물의 유리창을 닦음에 있어서, 종래의 장치들이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즉 닦기 어려운 유리외면을 간단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면서, 유리창 청소구나 세척수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적용되는 유리창은 넓이나 형상(곡면이나 특이형태 등)에 관계없이 청소가 가능하며, 특히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효율(속도)을 향상시켜서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설치 및 조작이 손쉽도록 하는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모터(11)와, 외부전원을 모터(11)로 인입하는 전선(12)과, 상기 모터(11)의 선단에 삽입된 스플라인(13)으로 되는 동력부(1);
    상기 동력부(1)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
    상기 동력전달부(2)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좌우 각 한 쌍의 스프라켓(31)과, 상기 좌우 각 쌍의 스프라켓(31)간을 연결하는 작동벨트(32)와, 상기 스프라켓(31)들의 축심에 회전자재로 삽착되는 브러시(33)와, 상기 동력부(1)와 동력전달부(2)를 둘러씌우는 케이스(14)의 저면에 장설되는 자석(36)과, 장치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조향구(35)로 되는 작동부(3);
    상기 케이스(14)의 양측에서 상기 각 브러시(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41)과, 상기 노즐(41)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호스(42)로 되는 세정부(4);
    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가 상기 스플라인(13)과 치합되는 헬리컬기어(21)와, 상기 헬리컬기어(21)의 축심에 착설된 구동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3)와 벨트(28)로 연결되어 상기 브러시(33)의 축심에 착설되는 수동기어(24)와, 상기 헬리컬기어(21)의 축심에 착설된 변동기어(25)와, 상기 변동기어(25)에 치합되어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어셋(26)과, 상기 스프라켓(31)의 옆에 착설되어 상기 감속기어셋(26)의 최종기어와 치합되는 스프라켓기어(27)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KR2020010006593U 2001-03-12 2001-03-12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KR200238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593U KR200238595Y1 (ko) 2001-03-12 2001-03-12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593U KR200238595Y1 (ko) 2001-03-12 2001-03-12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595Y1 true KR200238595Y1 (ko) 2001-10-06

Family

ID=7306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593U KR200238595Y1 (ko) 2001-03-12 2001-03-12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5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098B1 (ko) 2007-02-21 2007-04-24 (주) 우리세차기 승강장 스크린도어 세척 장치
KR100987121B1 (ko) 2010-08-12 2010-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닦기로봇
KR101003486B1 (ko) 2008-06-10 2010-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닦기로봇
WO2015083850A1 (ko) * 2013-12-05 2015-06-11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이동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098B1 (ko) 2007-02-21 2007-04-24 (주) 우리세차기 승강장 스크린도어 세척 장치
KR101003486B1 (ko) 2008-06-10 2010-12-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닦기로봇
KR100987121B1 (ko) 2010-08-12 2010-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닦기로봇
WO2015083850A1 (ko) * 2013-12-05 2015-06-11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이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2722B (zh) 一种室内吊扇擦洗冲洗设备
CA2161293C (en) Automated cleaning method of exterior wall of building
KR100987121B1 (ko) 창문닦기로봇
CN105686747B (zh) 一种基于全电动清洗系统的宽框窗户清洗方法
RU2755731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тья окон
KR20000067506A (ko) 상하좌우 자동이동 유리창 청소장치
KR200238595Y1 (ko)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KR100203553B1 (ko)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KR100881926B1 (ko) 클리닝 로봇
KR20000010460A (ko) 유리창 청소장치
CN217198059U (zh) 一种旅居挂车专用的多功能天窗
CN216617388U (zh) 一种智能多功能门窗
CN216439092U (zh) 一种玻璃门窗用外表面清理装置
CN108478093A (zh) 一种自动擦窗器
KR100257586B1 (ko) 유리창닦이장치
KR20030084308A (ko) 신발 자동 세척기
CN207693531U (zh) 一种舞台大屏幕的自动清洁装置
CN113133633A (zh) 一种建筑物窗台结构
KR101177629B1 (ko) 건물 외벽면 및 유리벽면의 자동 세척장치
JP2006102331A (ja) ワイヤ駆動式嵌め殺し窓清掃装置
KR200349753Y1 (ko) 건물외벽 청소기
KR20110096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CN108889668B (zh) 一种用于油画调色板表面快速清洗设备
KR200349818Y1 (ko) 건축물 외벽 청소기
CN215907731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玻璃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