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391Y1 - 온돌 배관용 블록 - Google Patents

온돌 배관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391Y1
KR200238391Y1 KR2020010007451U KR20010007451U KR200238391Y1 KR 200238391 Y1 KR200238391 Y1 KR 200238391Y1 KR 2020010007451 U KR2020010007451 U KR 2020010007451U KR 20010007451 U KR20010007451 U KR 20010007451U KR 200238391 Y1 KR200238391 Y1 KR 200238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ondol
partitions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조
Original Assignee
고려바이오 온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바이오 온돌(주) filed Critical 고려바이오 온돌(주)
Priority to KR2020010007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391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의 단위 온돌 배관용 블록 상호간의 연결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난방 온수 공급용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개보수용 온돌 배관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온돌 배관용 블록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1/4원형 주 격벽과, 대각선 상에 배치된 적어도 4개의 제1 보조 격벽과, 상기 제1 보조 격벽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격벽과 모서리의 주 격벽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2 보조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주 격벽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가 배치되며, 중앙의 두 주 격벽은 반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며, 4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주 격벽은 인접한 주 격벽과 반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온돌 배관용 블록{BLOCK FOR HYPOCAUST}
본 고안은 온돌 배관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단위 온돌 배관용 블록 상호간의 연결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난방 온수 공급용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개보수용 온돌 배관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바닥에 난방용 배관이 설치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습식 온돌 시스템과 건식 온돌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습식 온돌 시스템은 시멘트와 자갈, 그리고 모래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축비가 증가하고, 하자 보수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특히, 바닥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열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건식 온돌 시스템이다. 건식 온돌 시스템은 고밀도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된 블록과, 상기 블록 상면에 배치되어 난방용 배관의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 확산판을 사용한다.
건식 온돌 시스템은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반사 단열재와 공기층을 이용하여 단열과 보온을 행하므로, 온수 공급이 없을 때나 우기시의 바닥 냉기, 습기, 공팜이 등의 문제가 전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온돌 배관용 블록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블록의 한 표면에 배관의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격벽은 배관을 유도하도록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온돌 배관용 블록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있으며, 예로 들면 국내 특허 공개 제94-7453호 및 실용신안 제20-0195523호에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 제20-0195523호에 개시된 온돌 배관용 블록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를 구획하는 격판(2)과 상기 격판(2)의 상면에 원형 또는 호형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배관 유도용 상측 격벽(3)과, 상기 격판(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사각의 하측 격벽(5)을 포함한다.
블록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측 격벽(3)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다른 블록과 맞닿아 원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블록의 각 모서리에는 접속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에는 수직으로 접속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9)에는 다른 블록들과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별도의 접속구(11)가 삽입되어, 블록들이 상호 연결 및 고정된다.
전술한 종래 온돌 배관용 블록은 배관을 직선 형태로 안내하는 블록과 라운딩 형태로 안내하는 블록으로 구별하여 제조 및 시공되어야 한다. 배관의 라운딩은 도 7에 도시된 원형 격벽의 직경보다 적어도 두배 이상의 반경으로 처리되어야 온수의 유동이 원할하게 된다.
게다가, 도 7에 도시된 온돌 배관용 블록은 단순한 형태의 격벽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배관의 배치 자유도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온돌 배관용 블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하나의 블록에서 배관을 직선 형태로 또는 라운딩 형태로 선택하여 안내할 수 있는 온돌 배관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관의 배치 자유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온돌 배관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개보수시에 기존 습식 온돌 시스템에 그대로 건식 온돌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온돌 배관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돌 배관용 블록 4개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접한 블록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보조 격벽의 측벽에 형성된 돌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종래 온돌 배관용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주 격벽
104 : 제1 보조 격벽
106 : 제2 보조 격벽
상기 및 기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난방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건식 온돌 시스템에 사용되는 온돌 배관용 블록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1/4원형 주 격벽과, 대각선 상에 배치된 적어도 4개의 제1 보조 격벽과, 상기 제1 보조 격벽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격벽과 모서리의 주 격벽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2 보조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주 격벽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가 배치되며, 중앙의 두 주 격벽은 반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며, 4 모서리에 배치된 주 격벽은 인접한 주 격벽과 반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 격벽은 각각 내부에 3개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된 측벽과, 상기 측벽 내부에서 원통부와 연결된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주 격벽은 난방용 배관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보조 격벽은 평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며, 좌우 한 쌍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변을 연결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과 원통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보조 격벽 사이에는 제2 보조 격벽이 평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보조 격벽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단경부의 측벽이 보강부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제2 보조 격벽은 4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보조 격벽은 장경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들 사이에 끼워지는 열 확산판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주 격벽의 측벽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에 끼워지는 캡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 안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의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1/4원형 주 격벽(102)과, 블록의 평면 상에서 볼 때 대각선 상에 배치된 적어도 4개의 제1 보조 격벽(104)과, 상기 제1 보조 격벽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격벽과 모서리의 주 격벽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2 보조 격벽(106)을 포함한다.
상기 주 격벽(102)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가 배치되며, 중앙의 두 주 격벽은 반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블록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4 모서리에 배치된 주 격벽은 인접한 주 격벽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 격벽(102)은 각각 내부에 3개의 원통부(102a)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된 측벽(102b)과, 상기 측벽 내부에서 원통부와 연결된 보강 리브(102c)를 구비한다.
주 격벽(102)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데, 이 간격은 난방용배관이 배치될 수 있도록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보조 격벽(104)은 평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제2 보조 격벽(106)이 반경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보조 격벽은(104)은 좌우 한 쌍의 원통부(104a)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변을 연결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과 원통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104b)를 구비한다.
제2 보조 격벽(106)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단경부의 측벽이 보강부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보조 격벽(106)은 4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격벽의 장경 측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7)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107)는 제2 보조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열 확산판(비도시)의 배관 수납부를 압착하여 열 확산판이 블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100)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참조부호 100A, 100B, 100C, 100D로 지시된 본 고안의 온돌 배관용 블록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면, 각 블록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 격벽(102A, 102B, 102C, 102D)은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그리고, 블록과 블록을 고정하기 위하여, 주 격벽의 측벽에는 절결부(10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에는 도 4와 같이 캡(110)(파선으로 도시)이 끼워진다. 캡(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 안쪽에는 돌출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08)는 캡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112)에 끼워진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이 갖는 배관 설치 자유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돌 배관용 블록은 난방용 배관이 도 1에서 참조 부호 A, B, 및 C로 지시된 일점 쇄선과 같이 직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 어떠한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난방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멘트와 모래 등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건물의 무게가 감소하며, 뿐만 아니라 건축비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블록에서 배관을 직선 형태로 또는 라운딩 형태로 선택하여 안내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배치 자유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난방용 배관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열 확산판과 긴밀히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연전도율이 일반 습식 온돌 시스템보다 월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온돌 배관용 블록은 건물의 개보수시에 기존 습식 온돌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자재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다.

Claims (8)

  1. 건물의 난방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건식 온돌 시스템에 사용되는 온돌 배관용 블록에 있어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1/4원형 주 격벽과;
    대각선 상에 배치된 적어도 4개의 제1 보조 격벽과;
    상기 제1 보조 격벽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격벽과 모서리의 주 격벽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2 보조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격벽은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가 배치되며, 중앙의 두 주 격벽은 반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며, 4 모서리에 배치된 주 격벽은 인접한 주 격벽과 반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격벽은 각각 내부에 3개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된 측벽과, 상기 측벽 내부에서 원통부와 연결된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격벽은 난방용 배관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격벽은 평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며, 좌우 한 쌍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변을 연결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과 원통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격벽 사이에는 제2 보조 격벽이 평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보조 격벽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단경부의 측벽이 보강부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제2 보조 격벽은 4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격벽은 장경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격벽의 측벽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에 끼워지는 캡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 안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배관용 블록.
KR2020010007451U 2001-03-19 2001-03-19 온돌 배관용 블록 KR200238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451U KR200238391Y1 (ko) 2001-03-19 2001-03-19 온돌 배관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451U KR200238391Y1 (ko) 2001-03-19 2001-03-19 온돌 배관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391Y1 true KR200238391Y1 (ko) 2001-10-08

Family

ID=7309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451U KR200238391Y1 (ko) 2001-03-19 2001-03-19 온돌 배관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WO2010033001A2 (ko) 온수의 이동 경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보온 패널
JP2009047375A (ja) 貯湯タンク
US1804478A (en) Multiple conduit and spacing supports therefor
KR200238391Y1 (ko) 온돌 배관용 블록
KR200238390Y1 (ko) 온돌 배관용 블록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KR20200021696A (ko)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SK3222002A3 (en) Knob plate
KR100917447B1 (ko) 온돌 구조체
KR100765408B1 (ko) 바닥 난방 시스템
RU2315243C2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плавающей структуры, включающая панель отопления, имеющую круглый или эллиптический внутренний канал для жидкости
KR200325331Y1 (ko)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CN108824759B (zh) 室内分体式低温热水地板安装结构
KR20100090183A (ko) 바닥재 어셈블리 및 바닥재의 시공방법
JP2006207863A (ja) 床暖房システム用の曲管敷設用補助部材
KR100226306B1 (ko) 전선 공동홈
KR200360533Y1 (ko) 평탄한 외면을 갖는 히팅 패널
KR101981381B1 (ko) 보온력과 견고성을 겸비한 수지재의 난방배관용 지지판
KR20190008607A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102571935B1 (ko) 바닥 소음 저감용 조립체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KR200231700Y1 (ko) 난방배관용 방음 판넬
JP2002310444A (ja) 床暖房パネル
KR102400313B1 (ko)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