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915Y1 - 방충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방충장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915Y1
KR200237915Y1 KR2020010011318U KR20010011318U KR200237915Y1 KR 200237915 Y1 KR200237915 Y1 KR 200237915Y1 KR 2020010011318 U KR2020010011318 U KR 2020010011318U KR 20010011318 U KR20010011318 U KR 20010011318U KR 200237915 Y1 KR200237915 Y1 KR 200237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repellent
barrel
fixing
closing device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출
Original Assignee
이기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출 filed Critical 이기출
Priority to KR2020010011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915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충장 개폐장치는 하부살통(1)에는 연결살대(7)와 연결되고, 상부통(2)에는 지지살대(8)를 연결한 뒤 하부살통(1) 본체의 상단에 걸편(1a)이 형성되며 걸편 상단의 구멍(1b)에는 견인근(3)을 부착하여서 된 방충장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부살통(2)상단에는 돌출관(2a)을 돌출시켜 그 둘레에 나사부(2b)를 형성시켜 그 상부에 고정관(4)을 나착시키고 고정관 내부에 걸편 수장실(5)을 형성하여 하부살통(1)의 돌출봉이 관통되게 하고 걸편 수장실(5)을 통해 압지관(6)을 투입하여 압지관(6)의 외주에 걸림턱(6a)을 걸편 수장실(5) 상단턱(5a)에 접리되게 하고 하단은 걸편 외주로 접촉되게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지닌 방충장 개폐장치는 압지관에 힘을 가하여 탄성체인 걸편을 수축시키면서 방충장을 접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압지관의 압압작동하여야 하므로 손에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또한 작동시에 손에 통증을 유발되는 폐단이 있을 뿐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탄성체인 걸편의 마모로 인하여 작동상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하부살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형식의 록커를 록킹캡의 삽입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형성하고, 또한 고정캡이 결합된 상부살통의 저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상부살통이 잡고 하부로 밀게되면 상부살통의 경사면이 록커를 록킹캡의 내부로 밀어주면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록커를 지나 하부살통에 걸려 방충장이 펼쳐지게 되며, 탄성력을 지닌 록커를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되고, 다시 버튼형식의 록커를 눌러 방충장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방충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작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장 개폐장치 { DEVICE OF OPENING SHUTTING A INSECT COVER }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살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형식의 록커에 록킹캡을 결합한 후 상부살통이 록킹캡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방충장을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방충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작동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충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장은 주로 아기나 어린이들이 잠자는 동안 모기나 파리 등이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방충장 개폐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살통(1)에는 연결살대(7)와 연결되고, 상부통(2)에는 지지살대(8)를 연결한 뒤 하부살통(1) 본체의 상단에 걸편(1a)이 형성되며 걸편 상단의 구멍(1b)에는 견인끈(3)을 부착하여서 된 방충장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부살통(2)상단에는 돌출관(2a)을 돌출시켜 그 둘레에 나사부(2b)를 형성시켜 그 상부에 고정관(4)을 나착시키고 고정관 내부에 걸편 수장실(5)을 형성하여 하부살통(1)의 돌출봉이 관통되게 하고 걸편 수장실(5)을 통해 압지관(6)을 투입하여 압지관(6)의 외주에 걸림턱(6a)을 걸편 수장실(5) 상단턱(5a)에 접리되게 하고 하단은 걸편 외주로 접촉되게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지닌 방충장 개폐장치는 압지관에 힘을 가하여 탄성체인 걸편을 수축시키면서 방충장을 접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압지관의 압압작동하여야 하므로 손에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또한 작동시에 손에 통증을 유발되는 폐단이 있을 뿐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탄성체인 걸편의 마모로 인하여 작동상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히 하부살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형식의 록커를 록킹캡의 삽입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형성하고, 또한 고정캡이 결합된 상부살통의 저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상부살통이 잡고 하부로 밀게되면 상부살통의 경사면이 록커를 록킹캡의 내부로 밀어주면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록커를 지나 하부살통에 걸려 방충장이 펼쳐지게 되며, 탄성력을 지닌 록커를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되고, 다시 버튼형식의 록커를 눌러 방충장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방충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작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은 도 2의 결합측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중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중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방충장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은 도 2의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중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은 방충장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중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a),(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살통(1)에는 연결살대(7)가 연결되고 상부살통(2)에는 지지살대(8)를 연결하여 상부살통(2)이 승강되어 방충장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방충장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살통(1)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홈(1a)을 형성하여 록킹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편(10a)에 결합 고정하고,
상기 록킹부(10)는 중앙에 견인끈(3)을 연결하도록 연결공(11a)을 형성한 지지편(11)과 양측으로 탄성력을 지닌 버튼형식의 록커(12)를 형성하되, 후술하는 록킹캡(20)에 형성된 고정편(20a)을 연결하도록 고정홈(10b)을 형성하며,
상기 록킹캡(20)은 상부에 견인끈(3)이 관통하는 관통공(21)을 형성하되, 양측으로 삽입부(22)를 형성하여 상기 록킹부(10)를 삽입하여 고정부(30)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30)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부살통(2)의 내부 저면에 경사면(2b)을 형성하되, 상부 나사부(2a)에 고정캡(4)을 연결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하부살통(1)에는 연결살대(7)가 연결되고 상부살통(2)에는 지지살대(8)를 연결하는데, 하부살통(1)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홈(1a)을 형성하여 록킹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편(10a)에 결합 고정한다.
이후, 록킹캡(20)의 상부 관통공(21)에 관통한 견인끈(3)을 상기 록킹부(10)에 형성된 지지편(11)의 연결공(11a)에 연결하되, 록킹캡(20)에 형성된 고정편(20a)을 록킹부(10)의 고정홈(10b)에 끼워 결합 고정하여 고정부(30)를 형성하게 한다.
여기서, 록킹캡(20)의 양측으로 형성된 삽입부(22)에 양측의 탄성력을 지닌 버튼형식의 록커(12)가 끼워지게 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고정부(30)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부살통(2)의 내부 저면에 경사면(2b)을 형성하되, 상부 나사부(2a)에 고정캡(4)을 연결하도록 한다.
즉, 방충장(미도시)을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고정캡(4)을 결합한상부살통(2)을 하부살통(1)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부(30)에 끼워 하부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데, 이는 상부살통(2)의 내부 저면에 경사면(2b)이 고정부(30)의 록킹캡(20)의 양측 삽입부(22)에 끼어진 탄성력을 지닌 버튼형식의 록커(12)를 밀어주게 되어 록커(12)가 록킹캡(20)의 내부로 밀어주면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록커(12)를 지나면 탄성력을 지닌 록커(12)는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됨과 동시에 상부살통(2)이 하부로 내려와 하부살통(1)에 걸려 방충장(미도시)이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상부살통(2)의 슬라이딩작업으로 인하여 상부살통(2)에 연결된 지지살대(8)가 펼쳐지게 되어 방충장(미도시)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펼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충장(미도시)을 접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부(30)의 록킹캡(20)의 양측 삽입부(22)에 끼어진 탄성력을 지닌 버튼형식의 록커(12)를 사용자가 가볍게 누르면서 상부살통(2)에 결합된 고정캡(4)을 잡고 상부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부살통(2)에 연결된 지지살대(8)가 절첩되게 되어 방충장(미도시)을 아주 쉽고 간편하게 접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하부살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형식의 록커를 록킹캡의 삽입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형성하고, 또한 고정캡이 결합된 상부살통의 저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상부살통이 잡고 하부로 밀게되면 상부살통의 경사면이 록커를 록킹캡의 내부로 밀어주면서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록커를 지나 하부살통에 걸려 방충장이 펼쳐지게 되며, 탄성력을 지닌 록커를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되고, 다시 버튼형식의 록커를 눌러 방충장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방충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작동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하부살통(1)에는 연결살대(7)가 연결되고 상부살통(2)에는 지지살대(8)를 연결하여 상부살통(2)이 승강되어 방충장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방충장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살통(1)의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홈(1a)을 형성하여 록킹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편(10a)에 결합 고정하고,
    상기 록킹부(10)는 중앙에 견인끈(3)을 연결하도록 연결공(11a)을 형성한 지지편(11)과 양측으로 탄성력을 지닌 버튼형식의 록커(12)를 형성하되, 후술하는 록킹캡(20)에 형성된 고정편(20a)을 연결하도록 고정홈(10b)을 형성하며,
    상기 록킹캡(20)은 상부에 견인끈(3)이 관통하는 관통공(21)을 형성하되, 양측으로 삽입부(22)를 형성하여 상기 록킹부(10)를 삽입하여 고정부(3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30)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부살통(2)의 내부 저면에 경사면(2b)을 형성하되, 상부 나사부(2a)에 고정캡(4)을 연결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방충장 개폐장치.
KR2020010011318U 2001-04-20 2001-04-20 방충장 개폐장치 KR200237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18U KR200237915Y1 (ko) 2001-04-20 2001-04-20 방충장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18U KR200237915Y1 (ko) 2001-04-20 2001-04-20 방충장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915Y1 true KR200237915Y1 (ko) 2001-10-11

Family

ID=7306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18U KR200237915Y1 (ko) 2001-04-20 2001-04-20 방충장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9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994A (en) Hidden safety contoured leaf spring locking device
US6247483B1 (en) Automatic locking and release device for a beach umbrella
KR200237915Y1 (ko) 방충장 개폐장치
US5058613A (en) One hand operated umbrella capable of self-closing
GB2371483A (en) Sunshade device
US20030094189A1 (en) Multi-functional umbrella holder
USD458369S1 (en) Medical device used for opening a glass probe and preparing a medical injection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USD459781S1 (en) Minnow trap
JPS603897Y2 (ja) 上げ落し
JP2586969Y2 (ja) プッシュ式紐調節具
KR200221890Y1 (ko) 신문철
CN212280236U (zh) 方便开收的顺杆式折叠伞
JPH0422815U (ko)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KR200172095Y1 (ko) 상다리
USD392313S (en) Compass
KR930001143Y1 (ko) 휴대용 화장브러쉬
US20070251558A1 (en) Positioning apparatus of a collapsible umbrella
KR900003968Y1 (ko) 휴대용 보온병의 손잡이
JPS5853046Y2 (ja) 係合ピン
KR0134019Y1 (ko) 걸레의 고정 구조체
KR200222648Y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200224143Y1 (ko) 장신용 체인의 연결소자
KR200181131Y1 (ko) 자동 보관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