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876Y1 -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876Y1
KR200237876Y1 KR2020010010359U KR20010010359U KR200237876Y1 KR 200237876 Y1 KR200237876 Y1 KR 200237876Y1 KR 2020010010359 U KR2020010010359 U KR 2020010010359U KR 20010010359 U KR20010010359 U KR 20010010359U KR 200237876 Y1 KR200237876 Y1 KR 200237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air
outsid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정
임경란
Original Assignee
박경정
임경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정, 임경란 filed Critical 박경정
Priority to KR2020010010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876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 기름, 부동액과 같은 액체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에어건을 이용하여 공기의 흡배기를 조절함에 따라서 흡배기 통에 액체류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된 액체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6)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9)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흡배기 조절레버(10)로 작동되는 볼(10')과 하측으로 흡배기 구멍(11)을 설치한 조절부재(21)와,
상기 몸체(6)의 하측으로 뚜껑(2')의 중앙에 연결구(12)를 연결하고 하측으로 역류방지기(14)가 형성된 공기 흡배기구(13)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흡배기구(15)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흡배기 통(2)이 연결되고 외측에 흡입호스(17)가 연결된 흡배기 연결구(16)를 설치하여 외부의 내용물을 흡배기 통(2)에 흡입하거나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a}
본 고안은 오일, 기름, 부동액과 같은 액체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에어건을 이용하여 공기의 흡배기를 조절함에 따라서 흡배기 통에 액체류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된 액체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오일이나 부동액과 같은 액체류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배출공간을 이용하여 저장된 오일이나 부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저장된 액체류를 외부로 모두 배출시킬 수 없게 되므로 잔여물이 남은 상태로 새로운 오일이나 부동액과 같은 액체류를 충진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새로운 액체류와 잔여물이 혼합되어 있어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오일, 기름, 부동액과 같은 액체류를 에어건을 이용하여 흡배기 통에 흡입하여 저장한 후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액체류가 저장된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더욱 미세한 부분의 액체류를 흡입하기 위하여 플랙시블관이나 동파이프관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흡배기 조절레버로 작동되는 볼과 하측으로 흡배기 구멍을 설치한 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측으로 뚜껑의 중앙에 연결구를 연결하고 하측으로 역류방지기가 형성된 공기 흡배기구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흡배기구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흡배기 통이 연결되고 외측에 흡입호스가 연결된 흡배기 연결구를 설치하여 외부의 내용물을 흡배기 통에 흡입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건 2 : 흡배기 통
5 : 에어조절기 6 : 몸체
7 : 에어스위치 8 : 작동대
9 : 노즐 10 : 흡배기 조절레버
10' : 볼 11 : 흡배기 구멍
12 : 연결구 13 : 공기 흡배기구
14 : 역류방지기 15 : 흡배기구
16, 16' : 흡배기 연결구
본 고안은 외부의 콤프레샤를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공급호스(3)가 에어커플러(4)에 연결되며, 에어커플러(4)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에어조절기(5)가 에어건(1)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건(1)을 이루는 몸체(6)의 중앙 상측에는 에어스위치(7)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스위치(7)의 하측으로 작동대(8)가 직립되게 설치되어 에어스위치(7)가 하강하면 하강되면서 공급되는 에어를 전방으로 공급하며, 에어스위치(7)가 평상시의 위치에 있으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몸체(6)의 내부에는 노즐(9)이 설치되어 있어서 작동대(8)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공급하며, 연결부재(20)를 통하여 조절부재(21)와 연결된다.
조절부재(21)의 내부에는 볼(10')이 설치되어 상측의 흡배기 조절레버(10)로 회전되도록 하며, 볼(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흡배기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6)의 하측에는 연결구(12)를 통하여 뚜껑(2')의 중앙에 연결되고 연결구(12)의 하측으로 내부에 역류방지기(14)가 삽입되어 공기를 외부로 공급하고 외부에서 흡입되는 작용을 방지하는 공기 흡배기구(13)가 돌출된다.
공기 흡배기구(13)의 일측으로 뚜껑(2')에 고정되며 하측의 흡배기 통(2) 저면부분에까지 돌출된 흡배기구(15)가 설치된다.
흡배기구(15)의 상측에는 뚜껑(2')의 일측으로 흡배기 연결구(16)를 연결하여 흡입호스(17)가 연결되어 액체류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흡입호스(17)의 선단에는 흡배기 연결구(16')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플랙시블관(18) 또는 동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에어건(1)의 몸체(6)를 한 손으로 잡고 흡배기 조절레버(10)를 회전시켜 볼(10')이 조절부재(21)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에어스위치(7)를 눌러 작동대(8)를 하강시키면 몸체(6)로 공급되는 공기가 노즐(9)을 통하여 전방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노즐(9)을 통하여 공기가 전방으로 공급되면서 조절부재(21)의 전방으로 분사되므로 공기의 이송압력으로 연결구(12)와 공기 흡배기구(13)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배기 연결구(16')를 흡입하려는 액체류에 대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호스(17)와 흡배기구(15)를 통하여 흡배기 통(2)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흡배기 통(2)에 저장되는 액체는 공기 흡배기구(13)를 통하여 역류되려고 하는 현상이 발생되나 역류방지기(14)에 의하여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흡배기 연결구(16')를 통하여 미세한 부분까지 액체를 흡입할 수 없으므로 플랙시블관(18)이나 동파이프를 흡배기 연결구(16')에 연결시키어 선단의 조그만 부분을 통하여 액체를 미세한 부분까지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흡입된 액체가 흡배기 통(2)에 채워지면 흡배기 조절레버(10)를 회전시켜 볼(10)이 조절부재(21)의 내부를 막고 있도록 한다.
조절부재(21)의 내부가 막혀 있도록 하여 에어스위치(7)를 눌러 작동대(8)를 하강시키면 에어공급호스(3)로 공급되는 에어는 노즐(9)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조절부재(21) 하측의 흡배기 구멍(11)으로 배출된다.
노즐(9)을 통하여 분사되는 에어가 흡배기 구멍(11)으로 모두 배출될 수 없으므로 공기가 역류되어 연결구(12)와 공기 흡배기구(13)를 통하여 흡배기 통(2)에 공급하게 된다.
흡배기 통(2)에 공기가 공급되는 압력으로 흡배기 통(2)에 저장된 액체는 흡배기구(15)를 통하여 흡배기 연결구(16) 및 흡입호스(17)와 흡배기 연결구(16')에서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흡배기 통(2)에 저장된 액체류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외부에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흡배기 통(2)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뚜껑(2')은 간편하게 해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나사식으로 연결하였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부재의 외부로 분사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로 흡배기 연결구 또는 플랙시블관을 통하여 외부에서 액체류를 흡배기 통에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의 액체류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흡배기 통에 흡입한 액체류는 외부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조절부재를 막아 일부만 흡배기 구멍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일부가 공기 흡배기구를 통하여 흡배기 통에 공급되면서 압력으로 흡배기구와 흡입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액체류를 흡입 및 배출하는 작용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으며, 역류방지기를 통하여 흡배기 통에 흡입된 액체류가 공기 흡배기구에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3)

  1. 에어공급호스(3)를 통하여 공급받는 에어를 에어스위치(7)와 작동대(8)로 몸체(6) 내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건(1)에 있어서,
    몸체(6)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9)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흡배기 조절레버(10)로 작동되는 볼(10')과 하측으로 흡배기 구멍(11)을 설치한 조절부재(21)와,
    상기 몸체(6)의 하측으로 뚜껑(2')의 중앙에 연결구(12)를 연결하고 하측으로 역류방지기(14)가 형성된 공기 흡배기구(13)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흡배기구(15)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흡배기 통(2)이 연결되고 외측에 흡입호스(17)가 연결된 흡배기 연결구(16)를 설치하여 외부의 내용물을 흡배기 통(2)에 흡입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볼(10')을 개방시키면 흡배기 통(2)에 액체류를 흡입하고, 볼(10')을 닫으면 흡배기 통(2)에 공기를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흡입호스(17)의 선단에 형성된 흡배기 연결구(16')에 플랙시블관(18)을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KR2020010010359U 2001-04-13 2001-04-13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KR200237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59U KR200237876Y1 (ko) 2001-04-13 2001-04-13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59U KR200237876Y1 (ko) 2001-04-13 2001-04-13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876Y1 true KR200237876Y1 (ko) 2001-10-11

Family

ID=7305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59U KR200237876Y1 (ko) 2001-04-13 2001-04-13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764B2 (en) 2014-04-23 2022-06-07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hydrogen in fuel c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764B2 (en) 2014-04-23 2022-06-07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hydrogen in fuel c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2802A1 (en) Pull-out faucet
US7641133B2 (en) Cleaning lance
CA2351596A1 (en) A gear pump and replaceable reservoir for a fluid sprayer
JP4139920B2 (ja) 内視鏡の管路構造
KR200237876Y1 (ko) 에어건을 이용한 액체의 흡배기장치
JP4121804B2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JP2612539B2 (ja) 蛇口装置の中の飲料導管を清掃及び空にするための装置
BR0316936A (pt) Dispositivo de tubeira com ação de recalque, atuador de gatilho, e, recipiente
JP4328872B2 (ja) 洗浄兼エアブロー装置
KR200390972Y1 (ko) 에어건용 에어량 조절장치
KR102506062B1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JP2006007183A (ja) 流体ブローガン
CN115930083A (zh) 加压式油雾润滑系统
JPH0320242B2 (ko)
JPH0715521Y2 (ja) 内視鏡の流体供給用バルブ
KR101207900B1 (ko) 광역살포기의 약액 혼합 분사장치
KR101719959B1 (ko) 자동차 엔진의 연소실 크리닝장치
CN201116523Y (zh) 钻井泵缸套内外表面冷却装置
JP3696350B2 (ja) エアポンプ装置
JPS6241013B2 (ko)
CN219168825U (zh) 一种手持不饱和树脂注胶枪
CN218078741U (zh) 出胶阀
CN209519928U (zh) 一种电动泡沫喷雾器
KR200269814Y1 (ko)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송출구의 자동개폐장치
CN220444253U (zh) 一种大流量的螺杆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