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302Y1 - 자동차용연료부스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연료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302Y1
KR200237302Y1 KR2019980002536U KR19980002536U KR200237302Y1 KR 200237302 Y1 KR200237302 Y1 KR 200237302Y1 KR 2019980002536 U KR2019980002536 U KR 2019980002536U KR 19980002536 U KR19980002536 U KR 19980002536U KR 200237302 Y1 KR200237302 Y1 KR 200237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main body
supply pipe
fuel supply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980U (ko
Inventor
현 양
Original Assignee
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 filed Critical 양현
Priority to KR2019980002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3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30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가 부분 절개되고, 절개부의 중앙부 상하단에 반원형의 결합홈(12)이 형성된 원판형의 본체(11)를 포함하며 연료공급관 내부를 이동하는 연료 분자를 분해하는 부스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상하단에 각각 2개의 결합요홈(2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요홈(20)에 N극이 중심을 향하도록 마그네트(21)를 삽입하며, 절개부의 내측으로 ‘Y’자 형태의 여유공간부(14)와 탄성리브(15)를 형성하고 절개부의 외측 상하단에 각각 홈(16)을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결합요홈(20)은 약 90°를 이루도록함과 동시에 탄성리브(15)의 외측으로 탄성홈(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마그네트의 자력이 연료공급관 내부에 골고루 가해지도록 연료공급관 내부를 이동하는 연료 분자의 분해율이 보다 향상되어 엔진의 연소율증가, 출력증가, 소비연료절감 및 배기가스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공급관에 대해 4개의 마그네트가 상호 대각선모양으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중앙 절개부 양측에 탄성홈과 탄성리브를 설치하여 본체가 연료공급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므로서, 마그네트의 자력이 연료공급관 내부에 골고루 가해지도록 연료공급관 내부를 이동하는 연료 분자의 분해율이 보다 향상되어 엔진의 연소율증가, 출력증가, 소비연료절감 및 배기가스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연료(가솔린, 디젤, LPG가스)가 엔진에서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폭발력을 구동력으로 전환시켜 일정속도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는 엔진의 연료 연소효율에 따라 엔진출력이 좌우될 뿐만 아니라 연료소비량 및 유해가스 배기량 등이 좌우된다.
엔진의 연소효율은 엔진 내부로 분사되는 연료가 공기와 잘 혼합되는 정도에 따라 연소효율에 결정되며 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제5도와 제6도는 엔진의 연소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종래의 연료용 부스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앙부가 부분 절개된 원판형의 본체(1)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직사각형의 삽입홈(3)에 마그네트(2)를 삽입하고, 본체(1)의 절개부 중앙 상하단에는 원형의 연료공급관(4)이 결합되기 위한 반원 형상의 결합홈(5)(6)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5)(6)에는 연료공급관(4)을 보다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보강편(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외주면에는 결합용 밴드(8)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용 부스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연료용 부스터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필터(10)와 엔진(11)을 연결하는 연료공급관(4)의 일정위치에 본체(1)의 결합홈(5)(6) 사이에 연료공급관(4)이 위치하도록 한 후 본체(1)의 결합부(9)상에 강한 탄력의 결합용 밴드(8)를 결합하여 본체(1)가 연료공급관(4)에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할다.
상기 설명과 같이 연료공급관(4)에 부스터를 설치하게 되면 연료필터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마그네트(2)가 설치된 부분을 지나갈 때, 제6도와 같이 마그네트(2)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연료 분자가 분해되고, 연료 분자가 분해된 상태로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와같이 연료분자가 분해된 상태의 연료가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실 내에서 연료와 공기가 잘 혼합되면서 엔진의 연소율이 향상되고, 출력특성 및 배기가스 배출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용 부스터는 마그네트가 연료공급관의 상하단에 수평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연료공급관의 내부공간중 마그네트의 자력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연료 분자의 분해효율이 감소하게되고, 이에따라 엔진의 연소율을 월등히 향상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는 그 중앙부에서 자계의 세기가 가장 강하기 마련인데,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에는 마그네트가 연료공급관의 상하단에 평행하게 설치되므로 상하단 마그네트의 N극에서 S극으로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자기장의 가장자리에 들게되는 연료공급관의 양측면부(A)로는 강한 자력이 가해지지 않게되어 이곳을 통과하는 연료는 분자 분해효율이 감소하게 되고, 이런 이유에 의해 엔진의 연소율이 월등히 향상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연료소비율 감소, 배기가스 감소율 및 출력특성 향상의 정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료용 부스터는 결합홈에 연료공급관이 결합될 경우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의 절개부 사이에 간극(T)이 생기게 되어 연료 분자의 분해효율이 더욱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공급관에 대해 4개의 마그네트가 상호 대각선모양으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중앙 절개부 양측에 탄성홈과 탄성리브를 설치하여 본체가 연료공급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므로서, 마그네트의 자력이 연료공급관 내부에 골고루 가해지도록 연료공급관 내부를 이동하는 연료 분자의 분해율이 보다 향상되어 엔진의 연소율증가, 출력증가, 소비연료절감 및 배기가스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부스터가 연료공급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마그네트의 작용을 보인 개략도.
제5도는 종래의 부스터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종래 부스터에 적용된 마그네트의 작용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연료공급관 11 : 본체
12 : 결합홈 13 : 보강편
14 : 여유공간부 15 : 탄성리브
17 : 탄성홈 20 : 결합요홈
21 : 마그네트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중앙부가 부분 절개되고, 절개부의 중앙부 상하단에 반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된 원판형의 본체를 포함하며 연료공급관 내부를 이동하는 연료 분자를 분해하는 부스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단에 각각 2개의 결합요홈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요홈에 N극이 중심을 향하도록 마그네트를 삽입하며, 절개부의 내측으로 ‘Y’자 형태의 여유공간부와 탄성리브를 형성하고 절개부의 외측 상하단에 각각 홈을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결합홈은 약 90°를 이루도록하고 탄성리브의 외측으로 탄성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부스터가 연료공급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마그네트의 작용을 보인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원판형으로 형성된 본체(11)의 중심부를 부분 절개하여 본체(11)의 상하부가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절개부의 중앙부 상하단에 반원형의 결합홈(12)을 형성하며, 각각의 결합홈(12) 상하단에는 연료공급관(4)과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기위한 보강편(13)을 형성하였다.
상기 본체(11)의 상하단에는 각각 2개의 결합요홈(20)을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요홈(20)에는 N극이 본체(11)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마그네트(21)를 삽입하여 본체(11)가 연료공급관(4)에 결합될 경우 연료공급관(4) 내부를 통과하는 연료의 분자가 상기 마그네트(21)의 자력에 의해 미세하게 분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21)는 약 1400∼1600 Gaus(가우스) 정도의 강한 자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결합요홈(20)은 상호간에 약 90°의 간격을 갖도록 하여 마그네트(21)의 자력이 본제(11)의 중앙부에 존재하게되는 연료공급관(4)의 내부 전체에 골고루 가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본체(11)가 연료공급관(4)에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수단은 절개부의 내측으로 ‘Y’자 형태의 여유공간부(14)와 탄성리브(15)를 형성하여 조임밴드(22)에 의해 본체(11)가 조여질 때 상기 탄성리브(15)가 여유공간부(14)측으로 이동하면서 본체(11)의 상하단이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고, 절개부의 외측 상하단에도 각각 홈(16)을 형성하여 본체(11)가 조여질 때 각 홈(16)의 외측이 홈(16) 쪽으로 눌리면서 본체(11)의 상하단이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리브(15)의 외측에도 탄성홈(17)을 형성하여 탄성리브(15)의 유동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였다.
상기 미설명된 도면부호 23은 본체(11)의 결합요홈(20)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이고, 18은 조임밴드(22)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본체(1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홈이며, 종래와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처리하여 중복설명을 피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결합요홈(20)에 마그네트(21)가 삽입되어진 본체(11)를 벌여 본체(11)의 상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2) 사이에 연료공급관(14)이 위치되도록 한 후 본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8)에 조임밴드(22)를 결합하여 강하게 조여준다.
상기 설명과 같이 조임밴드(22)를 계속해서 조여주게 되면, 고무재질의 본체(11)가 압축되면서 탄성리브(15)가 여유공간부(14)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탄성홈(17)의 상하벽이 제3도와 같이 맞대어지게 되므로서 본체(11)의 상단과 하단이 완벽하게 밀착된다.
이와같이 연료공급관(4)이 결합홈(1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연료공급관(4)을 중심으로 4개의 마그네트(21)가 90°간격으로 위치하게 되며, 각각의 마그네트(21)는 N극이 연료공급관(4)을 향하게 된다.
상기 마크네트(21)는 제4도와 같이 N극에서 S극으로 향하는 자기장을 갖게되므로, 4개의 마그네트(21)의 N극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강한 자력이 연료공급관(4) 내부에 골고루 가해져 연료공급관(4) 내부를 통과하는 연료의 분자가 완전히 미세하게 분해되어 엔진으로 공급된다.
이와같이 엔진으로 분자가 미세하게 분해된 연료가 공급되면, 엔진 내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도가 월등히 향상되어 완전연소가 구현되며, 완전연소에 의해 배기가스의 감소 및 출력향상 그리고, 연료의 소비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연료 부스터를 자동차에 장착하여 시험해본 결과 엔진의 출력이 약 10%∼20% 향상되고, 소비연료 감소율이 약 17%∼27% 향상되며, 유해 배기가스의 감소율은 약 30%∼45% 정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번 고안은 연료공급관에 대해 4개의 마그네트가 상호 대각선모양으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의 중앙 절개부 양측에 탄성홈과 탄성리브를 설치하여 본체가 연료공급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므로서, 마그네트의 자력이 연료공급관 내부에 골고루 가해지도록 연료공급관 내부를 이동하는 연료분자의 분해율이 보다 향상되어 엔진의 연소율증가, 출력증가, 소비연료절감 및 배기가스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이다.

Claims (1)

  1. 중앙부를 기준하여 일측은 개구되게 절개되고 타측은 폐구된 상태로 부분 절개되며, 절개된 중앙부의 상하단에 반원형의 결합홈(12)와 상기 결합홈의 양단을 잇는 보강편(13)이 일체로 형성된 원판형의 본체(11)의 상하단 각각에 복수개의 결합홈(20)을 형성한 다음 그 결합홈 각각에 마그네트(2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1)의 외주면을 조임밴드(22)로 조여서 된 연료 부스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절개된 중앙부의 폐구측에는 ‘Y’자형의 여유공간부(14)와 상기 여유공간부의 탄성리브(15) 외측에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탄성홈(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부스터.
KR2019980002536U 1998-02-25 1998-02-25 자동차용연료부스터 KR200237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536U KR200237302Y1 (ko) 1998-02-25 1998-02-25 자동차용연료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536U KR200237302Y1 (ko) 1998-02-25 1998-02-25 자동차용연료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80U KR19980031980U (ko) 1998-08-17
KR200237302Y1 true KR200237302Y1 (ko) 2001-12-17

Family

ID=6971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536U KR200237302Y1 (ko) 1998-02-25 1998-02-25 자동차용연료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3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80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8901A (en) Magnetic fuel ion modifier
US5129382A (en) Combust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CA1161707A (en) Fuel treating device
US4572145A (en) Magnetic fuel line device
US5331807A (en) Air fuel magnetizer
US7331336B2 (en) Power air-fuel levitation compression
US6890432B1 (en) Magnetic fuel treatment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fuel line
KR100375268B1 (ko) 자화연료절약장치
KR200237302Y1 (ko) 자동차용연료부스터
SE9803367D0 (sv) Sätt att driva en förbränningsmotor samt förbränningsmotor
GEP20053687B (en) Device for Saving Fuel, System for Saving Fuel and Reduce Emissions
US20140048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Vehicle Performance
US20070137624A1 (en) Energy saving device for generators
KR100326607B1 (ko) 영구자석을이용한내연기관의연소효율증가장치
EP1899188B1 (en) Device for saving fuel and reducing emissions
RU2146015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топливной смес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антитокс" (варианты)
CN201215050Y (zh) 一种新型机动车尾气净化器
CN2451742Y (zh) 机动车交变磁场节油器
CN2323149Y (zh) 磁路开放式净化节油器
KR200304249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증가장치
CN2229975Y (zh) 汽车节油器
KR19980019430A (ko) 자동차용 완전 연소 유도장치(An inductive apparatus for perfect combustion in an automobile)
KR200414013Y1 (ko) 자기장을 이용한 내연기관 연소효율증가장치
KR0134749Y1 (ko) 배기 매니폴드와 촉매 컨버터의 체결구조
KR20090011385A (ko) 자동차의 연료 활성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