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46Y1 -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46Y1
KR200237246Y1 KR2020010010430U KR20010010430U KR200237246Y1 KR 200237246 Y1 KR200237246 Y1 KR 200237246Y1 KR 2020010010430 U KR2020010010430 U KR 2020010010430U KR 20010010430 U KR20010010430 U KR 20010010430U KR 200237246 Y1 KR200237246 Y1 KR 200237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container
tub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엔 팡 츄
Original Assignee
리엔 팡 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 팡 츄 filed Critical 리엔 팡 츄
Priority to KR202001001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4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컨테이너 어셈블리는 컨테이너의 개구(opening)에 장착된 제 1캡이 구비된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제 1캡은 제 1 구멍과 돌출부를 갖는다. 제 2 캡은 제 1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안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돌출부용 슬롯을 갖는다. 제 2 구멍은 상기 제 2캡을 통해 정의되고 상기 제 1 구멍과 연결되기 위해 움직여질 수 있다. 튜브는 상기 제 2구멍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제 1 개구단(open end)을 가지며, 말단부재(end member)가 상기 튜브의 제 2 개구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속의 내용물들은 적당량 말단부재 안으로 쏟아 부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DEVICE FOR OBTAINING CONTENTS IN A CONTAINER AT DESIRED QUANTITY}
본 고안은 병이나 컨테이너에 연결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를 열지 않고 컨테이너에서 적당량의 내용물들을 얻어낼 수 있다.
종래의 병들이나 컨테이너들은 일반적으로 개구를 포함하며 개구를 통해 내용물들이 취해지거나 얻어진다. 캡은 먼지가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컨테이너의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내용물들을 꺼낼 때, 사용자는 캡을 컨테이너로부터 제거하고 내용물들을 밖으로 쏟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기울이거나 내용물들을 얻기 위해 스푼을 사용한다. 그러나, 습기로부터 차단되어야 하는 분말들이나 작은 입자들과 같은 어떤 내용물들에 있어서는, 캡이 자주 제거되면 될수록, 내용물들이 오염될 가능성이 더 많다.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컨테이너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컨테이너 어셈블리는 제 1 캡이 장착되는 개구를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제 1 캡은 제 1 구멍을 가지고 있고, 돌출부가 제 1 캡 상부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2 캡은 제 1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 돌출슬롯을 갖는다. 제 2 구멍은 제 2 캡을 통하여 정의된다. 튜브는 제 2 구멍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제 1 개구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튜브의 제 2 개구단에는 말단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컨테이너 안의 내용물들을 캡을 열지 않고서도 적당량 얻을 수 있는 컨테이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컨테이너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제 2 캡을 회전시켰을 때,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제 2 캡에 연결된 튜브를 밀음으로써, 제 2 캡이 회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우유 분말 컨테이너와 연결된 본 고안의 컨테이너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 2와 4에 의하면, 본 고안의 컨테이너 어셈블리는 개구(30)를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3)를 포함하고, 제 1 캡(11)은 개구(30)에 장착된다. 제 1 캡(11)은제 1 구멍(16)을 가지고 있고, 제 1 캡(1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부(15)가 연장된다. 복수의 릿지(ridges) (14)가 제 1 캡(11)의 바깥 주변으로부터 연장되고 나사부(threads)와 같은 역할을 한다.
제 2 캡(13)은 제 2 캡(13)의 내측에 정의된 홈(grooves) (17)의 제 1 캡(11) 상에 릿지(14)를 수용함으로써, 제 1 캡(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캡(13)은 슬롯(slot) (18)을 가지고 있고, 슬롯(18)에는 돌출부(15)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 2 캡 (13)을 통해 제 2 구멍(aperture)(19)이 정의되고 제 1 구멍 (16)과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판(Plate)(12)은 제 1 캡(11)과 제 2 캡(13) 사이에 수용되고, 제 2 캡(13)이 제 1 캡(11)에 대해 회전 가능할 때, 제 1 캡(11)과 제 2 캡(13) 사이의 갭(gaps)을 최소화하는 밀봉재(seal)로서 역할을 한다. 판(12)은 구멍을 통해 연
장되는 돌출부(15)용 제 1 홀(hole)(120)과, 상기 제 1 구멍(16)과 정렬되어 위치되는 제 2 홀(121)을 가지고 있다. 네크(neck)(190)는 상기 제 2 캡 (13)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구멍(19)을 둘러싼다. 네크 (neck)(190)는 상기 네크 (190)의 상부 엣지(edge)로 개방되는 두 개의 L 모양 슬롯들(191)을 갖는다.
L 모양 튜브(21)는 상기 네크(190)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제 1 개구단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L 모양 슬롯들(191)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두 개의 핀들(23)이 상기 튜브(21)의 그 제 1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보스(Boss)(192)는 상기 핀(23)이 상기 보스(192)위로 이동할 때, 상기 핀(23)이 도 4에서처럼 안정된 위치를 갖게 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L 모양 슬롯들(191) 각각의 수평단면의 내부 주변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튜브(21)는 상기 튜브(21)에 표시된 눈금(scales)(26)과 외주변에 정의된 제 1 나사부(25)를 가진다. 말단부재(22)는 튜브(21)의 제 2 개구단(24)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개구단(24)은 상기 말단부재(22)가 상기 제 2 개구단(24)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확장되어 있다. 상기 말단부재(22)는 상기 제 1 나사부(25)에 나사 결합된 나사부(27)를 가진다. 다각형 부분(polygonal piece)(28)은 상기 말단부재(22)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각형 부분 (28)을 회전시킬 때, 상기 말단부재 (22)가 상기 튜브(21)의 제 2 개구단(24)쪽을 향하거나 제 2개구단(24)으로부터 떨어져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된 제 1 캡(11)에 대해 상기 제 2 캡(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튜브(21)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선회시킬 때, 상기 슬롯(18)의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15)는 도 3에서와 같이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변경된다.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제 2 구멍(19)은 상기 제 1 구멍(16)과 연통되도록 회전하게 되고, 분말과 같은 내용물들은 상기 튜브(21)와 말단부재(22)안으로 쏟아질 수 있다. 상기 말단부재(22)와 튜브(21)에 가득 찬 분말의 양은 도 4에서처럼 상기 말단부재(22)를 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2구멍(19)을 상기 제 1 구멍(16)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캡(1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구멍(16)이 상기 제 2 캡(13)에 의해서 닫혀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튜브(21)와 말단부재(22)안에 있는 분말은 적당한 양이 된다.
도 5는 컨테이너 어셈블리가 우유분말 컨테이너(31)와 같은 다른 종류의 컨테이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상기 내용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5)

  1. 개구를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와,
    상기 개구에 장착되고, 제 1 구멍과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제 1 캡과,
    상기한 제 1 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롯, 상기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돌출부, 제 2 구멍을 가지는 제 2 캡과,
    상기한 제 2 구멍과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제 1 개구단을 가지는 튜브와, 그리고
    상기 튜브의 제 2 개구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말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캡과 제 2 캡 사이에 수용되어 제 1 홀(hole)과 제 2 홀을 가지는 판 (plat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멍과 정렬 위치한 상기 제 1 홀과 제 2 홀을 통해 상기 돌출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캡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구멍을 둘러싸는 네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크는 그 상부 엣지로 개방되는 두 개의 L 모양 슬롯들을 가지며,
    두 개의 핀들이 상기 튜브의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바깥으로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L 모양 슬롯들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재는 그 말단에 연결된 다각형의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주면에 정의된 상기 제 1 나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말단부재는 상기 제 1 나사부와 나사 결합 되어 있는 제 2 나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어셈블리.
KR2020010010430U 2001-04-13 2001-04-13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KR200237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30U KR200237246Y1 (ko) 2001-04-13 2001-04-13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30U KR200237246Y1 (ko) 2001-04-13 2001-04-13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46Y1 true KR200237246Y1 (ko) 2001-10-11

Family

ID=7309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30U KR200237246Y1 (ko) 2001-04-13 2001-04-13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735B1 (en) Device for obtaining contents in a container at desired quantity
EP1086903B1 (en) Dispenser package for fluent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70187406A1 (en) Lid assembly
CA1277965C (en) Pill dispenser
US3850350A (en) Shaker cap
US11932459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such a closure
US20160244215A1 (en) Dispensing closure, container with a dispensing clos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ensing closure
JP652936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220038429A (ko) 용기용 뚜껑
KR20210055053A (ko) 용기용 뚜껑
WO2020054632A1 (ja) 包装用容器及び包装容器用蓋体
KR200253673Y1 (ko) 파우더 용기
KR200237246Y1 (ko) 컨테이너에서 내용물들을 적당량 얻어내는 장치
GB2454926A (en) A flip-top dispensing closure with latch
JP3140724B2 (ja) 容 器
JP6684196B2 (ja) 注出キャップ
AU734595B3 (en) Device for obtaining contents in a container at desired quantity
JP2004512234A (ja) 蓋部および容器のための確実位置決めシステム
JPH0224770Y2 (ko)
JP5180389B1 (ja) 液体収容容器
JP2003081319A (ja) 蓋付き容器
JP4330394B2 (ja) 自動閉栓機能付キャップ
JPH0616568Y2 (ja) 液体容器の栓
KR200174978Y1 (ko) 액체 식품 용기의 뚜껑 (cap of container for a liquid food)
JPH1159708A (ja) 容 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