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32Y1 -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32Y1
KR200237232Y1 KR2020010009835U KR20010009835U KR200237232Y1 KR 200237232 Y1 KR200237232 Y1 KR 200237232Y1 KR 2020010009835 U KR2020010009835 U KR 2020010009835U KR 20010009835 U KR20010009835 U KR 20010009835U KR 200237232 Y1 KR200237232 Y1 KR 200237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bolt
guide rod
eye
bolt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김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완 filed Critical 김도완
Priority to KR202001000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32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이볼트의 나사부를 형성하는 전조장치에 아이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수용된 아이볼트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나선형 안내면을 갖는 수용본체와, 상기 안내면으로 안내되는 아이볼트가 소정위치에서 낙하되도록 하는 'V'자 낙하턱과, 상기 낙하턱에서 낙하되는 아이볼트의 고리부가 삽입되도록 낙하턱으로부터 일단이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타단을 향하여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소정의 진동을 전달하도록 된 제2바이브레이터와, 상기 가이드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이송된 아이볼트가 공급밀대의 전진에 따라 나사전조장치로 순차공급하기 위한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무작위로 수용본체에 수용된 아이볼트가 제1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하여 안내면을 따라 순차이동되면서 가이드봉에 정열되어 순차적으로 나사전조장치로 공급되도록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나사전조장치에 아이볼트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소요되었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위시간당 작업량이 정확하게 산출되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이이볼트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An automatic supply device of eye bolt}
본 고안은 아이볼트의 나사부를 형성하는 전조장치에 아이볼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볼트의 나사가공 시 수 많은 아이볼트를 수용본체에 수용시킨 후, 나사전조장치에 하나씩 자동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볼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원형으로 절곡된 고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나사전조장치에 의하여 태핑됨으로써, 나사가 형성되어 소정의 물건에 체결되거나, 콘크리트와 같은 곳에 매설되며, 그 상부의 고리부는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에는 끈을 결속시키거나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지지대나 거치대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나 기구를 부착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아이볼트를 종래에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리부를 절곡성형한 후, 상기 아이볼트에 나사를 전조가공하는 나사전조장치에 작업자가 일일이 하나씩 공급하여 나사성형작업을 수행하였다.
즉, 각각의 아이볼트에 나사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아이볼트가 작업자의 손을 거쳐 나사전조장치에 공급되어짐으로써, 나사전조장치가 가동되어 아이볼트에 나사를 형성하게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대량의 생산이 어려웠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나사전조장치로 공급되는 아이볼트가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한 개씩 공급될 수 있도록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1-제1바이브레이터 102-아이볼트 103-안내면
104-수용본체 105-낙하턱 106-고리부
107-가이드봉 108-제2바이브레이터 109-공급밀대
110-첨예부 111-제1결합공 112-제2출몰부
113-제1탄성부재 114-전조다이 115-제2결합공
116-제2탄성부재 117-제2출몰구 118-힌지축
119-제3탄성부재 120-반전구 121-스프링부재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바이브레이터(101)와, 상기 제1바이브레이터(101)에 의해 수용된 아이볼트(102)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나선형 안내면(103)을 갖는 수용본체(104)와, 상기 안내면(103)으로 안내되는 아이볼트(102)가 소정위치에서 낙하되도록 하는 'V'자 낙하턱(105)과, 상기 낙하턱(105)에서 낙하되는 아이볼트(102)의 고리부(106)가 삽입되도록 낙하턱(105)으로부터 일단이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타단을 향하여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가이드봉(107)과, 상기 가이드봉(107)에 결합되어 소정의 진동을 전달하도록 된 제2바이브레이터(108)와,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결합되어 이송된 아이볼트(102)가 공급밀대(109)의 전진에 따라 나사전조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순차공급하기 위한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볼트 자동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07)의 일단은 뾰족한 첨예부(110)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제2바이브레이터(101)(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이볼트(102)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은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형성된 제1결합공(111)과, 상기 제1결합공(111)에 출몰가능토록 결합되며 소정 곡률의 외주면을 갖는 제1출몰구(112)와, 상기 제1출몰구(112)를 제1결합공(111)에서 탄지하도록 된 제1탄성부재(113)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한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은 상기 제1출몰구(112)와 대응접촉되도록 전조다이(114)의 제2결합공(115)에 삽결되어 제2탄성부재(116)에 탄지되는 소정곡률의 외주면을 갖는 제2출몰구(11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실시예 상기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은,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힌지축(118)에 결합된 제3탄성부재(119)에 의하여 일측회동방향으로 탄지되는 소정곡률의 외주면을 갖는 반전구(12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121)에 아이볼트(102)가 이송되어 공급밀대(109)의 전진에 따라 스프링부재(121)가 절곡되었다가 탄성복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1내지 도5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바이브레이터(101)의 상부에는 아이볼트(102)를 수용하도록 된 수용본체(104)를 설치하는 바, 상기 수용본체(104)의 내측의 안내면(103)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수용된 아이볼트(102)가 제1바이브레이터(101)의 진동과 동시에 안내면(103)을 따라 상부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103)의 끝단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의 낙하턱(105)이 형성되는 바, 상기 낙하턱(105)으로 낙하되는 아이볼트(102)의 고리부(106)가 가이드봉(107)의 첨예부(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예부(110)를 낙하턱(105)에 근접배치하는 바, 상기 첨예부(110)의 끝단은 아이볼트(102)의 고리부(106) 두께보다 비교적 얇게(좁게)이격되도록 배치되어야 아이볼트(102)가 첨예부(1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107)의 소정위치에는 제2바이브레이터(108)가 결합되어 가이드봉(107)에 삽입되는 아이볼트(102)가 가이드봉(107)의 진동과 더불어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본체(104)에서 안내면(103)을 따라 이동되는 아이볼트(102)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면(103)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격설치된 선별구(122)가 겹쳐서 이동되는 아이볼트(102)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한개씩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으로 이송되는 아이볼트(102)는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마련된 나사전조장치로 공급되어야 하는 바,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에느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공(111)에는 제1탄성부재(113)를 삽결한 후, 제1출몰구(112)를 도3과 같이 결합하여 제1탄성부재(113)에 의하여 일측으로 탄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출몰구(112)는 전조다이(114)에 직접 접촉되어도 무방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조다이(114)에 제2결합공(115)과 제2탄성부재(116)를 삽설하고, 여기에 제2출몰구(117)를 결합시켜 제1출몰구(112)측을 향하여 탄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이드봉의 타단에 반전구(120)를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힌지에는 제3탄성부재(119)를 도4와 같이 결합시켜, 상기 제3탄성부재(119)가 반전구(120)를 회전방향을 향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반전구(120)가 회전되었다가 원상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스프링부재(121)를 결합시키고, 이송되는 아이볼트(102)가 스프링부재(121)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곡작업에 의해 고리부(106)가 형성된 아이볼트(102)를 수용본체(104)에 수용시킨 후, 제1바이브레이터(101)와 제2바이브레이터(108)를 가동시키면 수용본체(104)에 수용된 아이볼트(102)가 수용본체(104)와 안내면(103)의 진동에 따라 나선형 안내면(103)을 따라 상부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때, 상기 선별구에 의하여 겹쳐진 아이볼트(102)는 다시 수용본체(104)의 중심측으로 떨어져 재 공급되며, 한개씩 공급된 아이볼트(102)는 낙하턱(105)지점에 도달하여 낙하되기 전에 첨예부(110)에 먼저 걸쳐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계속적인 진동과 후속되는 아이볼트(102)의 이송에 따라 아이볼트(102)는 첨예부(110)와 낙하턱(105)상에 걸쳐진 상태로 이동되다가 낙하턱(105)에 걸쳐지는 부위가 점차 줄어듬에 따라 고리부(106)의 후미측이 먼저 낙하되어진다.
따라서, 전반부는 첨예부(110)에 걸쳐진 상태이고, 후미는 낙하되는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아이볼트(102)의 고리부(106)가 첨예부(110)에 삽입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첨예부(110)에 고리부(106)가 삽결되면, 아이볼트(102)에 나사가 형성되어야 할 나사부는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향하게 되어 도2와 같이 일률적으로 나사부가 하향되어 가이등봉을 따라 이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봉(107)의 하단(타측)으로 이동된 아이볼트(102)는 나사전조장치로 낱개로 공급되어야 하는 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몰구(112)와 제2출몰구(117)는 상호 접촉되어 아이볼트(102)가 그 위에 걸쳐지도록 된 구성이나, 도3b와 같이 공급밀대(109)가 하부(도면상-실제 도3은 평면에소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를 향하여 밀어주면 제1출몰구(112)와 제2출몰구(117)는 라운드형상으로 되어 사실상 되로 소정길이만큼 후퇴되며, 이때, 제1탄성부재(113)와 제2탄성부재(116)를 각각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볼트(102)는 하부를 향하여 이동되어 나사전조장치에 공급되어지고, 공급밀대(109)가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1,제2탄성부재(1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1,제2출몰구(117)는 서로 마주보고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07)의 타단으로 이송되어지는 아이볼트(102)는 각각 낱개로 전조장치에 공급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반전구(120)를 도4와 같이 힌지결합시키는 바, 상기 힌지에는 제3탄성부재(119)를 도4와 같이 삽입시켜, 상기 제3탄성부재(119)에 의하여 반전구(120)가 회동방향으로 탄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반전구(120)은 전조다이(114)에 접촉되어 아이볼트(102)가 가이드봉(107)의 타단을 통과하여 낙하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송된 아이볼트(1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밀대(109)가 낱개로 하나씩 나사전조장치로 공급하는 바, 이때, 상기 반전구(120)에 걸쳐져 있던 아이볼트(102)는 도4b와 같이 하부(도면상)로 이동되어짐과 동시에 반전구(120)가 힌지축(118)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반전구(120)가 회전하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가이드봉(107)의 길이를 도4b와 같이, 반전구(120)의 회동변위 만큼 짧게 만들어 아이볼트(102)가 간섭없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밀대(109)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제3탄성부재(1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반전구(120)는 원위치로 회동하게 되고, 다시 가이드봉(107)의 전체길이가 반전구(120)의 회동 변위에 따라 길어지게 되어 전조다이(114)에 접촉됨으로써, 아이볼트(102)가 가이드볼으로부터 낙하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다음 차례의 아이볼트(102)가 나사전조장치로의 공급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봉(107)의 타단에 스프링부재(121)를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부재(121)가 전조다이(114)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아이볼트(102)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급밀대(109)의 이송에 따라, 스프링부재(121)는 소정형상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아이볼트(102)에 무리한 간섭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아이볼트를 무작위로 수용본체에 수용시킨 후, 제1,제2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키면, 가이드봉에 순차적으로 아이볼트의 고리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봉의 타단으로 이송되어지고, 이송된 아이볼트는 공급밀대가 낱개로 하나씩 나사전조장치측으로 소정의 싸이클로 이송시켜줌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아이볼트를 공급하는 번거로움이 완전해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인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생산원가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매우 훌륭한 고안이다.

Claims (7)

  1.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수용된 아이볼트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나선형 안내면을 갖는 수용본체와,
    상기 안내면으로 안내되는 아이볼트가 소정위치에서 낙하되도록 하는 'V'자 낙하턱과,
    상기 낙하턱에서 낙하되는 아이볼트의 고리부가 삽입되도록 낙하턱으로부터 일단이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타단을 향하여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소정의 진동을 전달하도록 된 제2바이브레이터와,
    상기 가이드봉의 타단에 결합되어 이송된 아이볼트가 공급밀대의 전진에 따라 나사전조장치로 순차공급하기 위한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볼트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일단은 뾰족한 첨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볼트 자동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바이브레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아이볼트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볼트 자동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은 가이드봉의 타단에 형성된 제1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에 출몰가능토록 결합되며 소정 곡률의 외주면을 갖는 제1출몰구와,
    상기 제1출몰구를 제1결합공에서 탄지하도록 된 제1탄성부재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볼트 자동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몰구와 대응접촉되도록 전조다이의 제2결합공에 삽결되어 제2탄성부재에 탄지되는 소정곡률의 외주면을 갖는 제2출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볼트 자동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은 상기 가이드봉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힌지축에 결합된 제3탄성부재에 의하여 일측회동방향으로 탄지되는 소정곡률의 외주면을 갖는 반전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볼트 자동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볼트의 개별공급수단은 상기 가이드봉의 타단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에 아이볼트가 이송되어 공급밀대의 전진에 따라 스프링부재가 절곡되었다가 탄성복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볼트 자동공급장치.
KR2020010009835U 2001-04-09 2001-04-09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KR200237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35U KR200237232Y1 (ko) 2001-04-09 2001-04-09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35U KR200237232Y1 (ko) 2001-04-09 2001-04-09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28A Division KR100431217B1 (ko) 2001-04-09 2001-04-09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32Y1 true KR20023723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835U KR200237232Y1 (ko) 2001-04-09 2001-04-09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217B1 (ko) * 2001-04-09 2004-05-17 김도완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217B1 (ko) * 2001-04-09 2004-05-17 김도완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5929A (zh) 物品的捆扎方法与捆扎设备
CN106903509A (zh) 一种膨胀螺栓组装设备
EP1900450B1 (en) Method and associated oscillat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transverse insertion of metal bars having any cross-section on a transfer and feeding disk or disks and/or chains for automatic machines
JP2649020B2 (ja) リベット用フィーダ装置
US3733883A (en) Crimping apparatus
KR200237232Y1 (ko)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KR100431217B1 (ko) 아이볼트의 자동공급장치
US1282609A (en) Machine for loading cartridges.
US5758798A (en) Parts orientor and method
CN206662695U (zh) 一种膨胀螺栓组装设备
CN115837577A (zh) 一种螺丝自动锁付机
US4021902A (en) Coiled vibratory feeder
CN206455091U (zh) 一种弹片自动铆合装置
US4549680A (en) Precise intermittent feeding apparatus for edgewise perforated carrier sheet material
JP4866203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391442B1 (ko) 장식 체인 제조기의 장식 체인 이송장치
CN215619864U (zh) 一种自动拉伸吹瓶机上料机构
JPH0797953B2 (ja) ソ−セ−ジ懸吊装置のための竿部材供給装置
JP2011063401A (ja) 部品供給装置
JPS59133114A (ja) 頭付き棒材供給装置
CN105500012A (zh) 一种攻丝缩管加工装置
KR100316970B1 (ko) 낚시바늘의제조방법및그장치
CN111824750A (zh) 用于安全帽顶带的整平装置
CN111731842A (zh) 安全帽顶带的供料方法
SU1055576A1 (ru) Шайбонавивочный автомат прерывистого действ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