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72Y1 -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7172Y1 KR200237172Y1 KR2020010008653U KR20010008653U KR200237172Y1 KR 200237172 Y1 KR200237172 Y1 KR 200237172Y1 KR 2020010008653 U KR2020010008653 U KR 2020010008653U KR 20010008653 U KR20010008653 U KR 20010008653U KR 200237172 Y1 KR200237172 Y1 KR 2002371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coal
- heating element
- ignition device
- electric ignition
- insulat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고기구이기의 전기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숯불구이기 몸체의 내부에 기름받이통과 숯불통 및 재받이통이 내장되고, 상기 재받이통의 하단에서부터 공기가 송풍되어 숯불통을 거친 다음, 기름받이통 위에 걸쳐져 있는 고기구이망쪽으로 올라가게 하여 숯불통의 숯이 연소되는데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한편, 상기 숯불통의 하단에 전기점화장치가 내장된 구조의 숯불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가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통에 수직방향으로 발열체가 돌출 설치되고, 이 발열체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통의 선단에서부터 발열체의 상단까지 발열체 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가 상기 몸통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와 양측면이 개방된 띠형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열체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된 보호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체 보호커버가 발열체를 둘러싸면서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체의 몸통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발열체가 직접 숯불통에 담겨진 숯이나 숯불통 또는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게 할 수가 있으므로, 발열체가 부러지거나 뜨거운 발열체로 인하여 피해를 입지 않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발열체 보호대와 연결된 지지부를 절연체의 몸통에 간단히 끼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발열체 보호커버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당 등에서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불을 점화시키는 점화기가 전기점화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착탈과 취급이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등에서 고기를 구워 먹을 때 사용하는 숯불구이기는 숯을 점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이 있는 바, 가장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숯불통의 숯에 점화를 시켜 실내로 가져오는 타입이 있고, 숯이 담긴 숯불통을 숯불구이기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숯불구이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점화장치를 사용하여 숯불통의 숯을 점화시키는 타입이 있다.
한편, 상기의 후자와 같은 자체 점화식 숯불구이기는 대개 숯을 점화시키는 수단으로서 가스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가스는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숯불구이기 자체에서도 쉽게 숯을 점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도 안고 있다.
예컨대,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스배관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물 내에 가스배관을 하여야 하여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용 가스를 사용하는 숯불구이기가 있기는 하나, 이 휴대용 가스통을 사용하는 기기는 그 취급이 아주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취급에 항상 세심한 주의를 요할 뿐만아니라, 가스를 사용하는 기기는 사전에 반드시 가스안전점검을 필해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 및 제조절차가 번거롭다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숯불구이기에서 숯을 착화시키는데 가스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고안의 출원인이 실용신안으로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20-169830, 169831호의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등이 있는 바, 이들 숯불구이기는 숯불통의 아래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온으로 발열하는 전기발열체를 구비한 전기점화장치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고안의 전기점화장치는 숯불통의 숯을 직접 점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1000℃이상의 고온을 발생하는 세라믹히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세라믹히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취성이 강하여 잘 부러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세라믹히터가 숯불통이나 재받이통과 같은 다른 방해물에 부딪히거나 다른 물질과 잘못 충돌하여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금속커버를 씌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의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에 사용하는 금속커버는 세라믹히터의 한쪽면만을 개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면을 사용할 수가 없어 사용상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라믹히터의 몸통에 금속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숯불구기이용 전기점화장치에서 전기발열체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상의 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게 한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 점화장치는, 숯불구이기 몸체의 내부에 기름받이통과 숯불통 및 재받이통이 내장되고, 상기 재받이통의 하단에서부터 공기가 송풍되어 숯불통을 거친 다음, 기름받이통 위에 걸쳐져 있는 고기구이망쪽으로 올라가게 하여 숯불통의 숯이 연소되는데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한편, 상기 숯불통의 하단에 전기점화장치가 내장된 구조의 숯불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가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통에 수직방향으로 발열체가 돌출 설치되고, 이 발열체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통의 선단에서부터 발열체의 상단까지 발열체 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가 상기 몸통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와 양측면이 개방된 띠형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열체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된 보호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발열체 보호커버가 발열체를 둘러싸면서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체의 몸통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발열체가 직접 숯불통에 담겨진 숯이나 숯불통 또는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게 할 수가 있으므로, 발열체가 부러지거나 뜨거운 발열체로 인하여 피해를 입지 않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발열체 보호대와 연결된 지지부를 절연체의 몸통에 간단히 끼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발열체 보호커버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점화장치가 설치된 숯불구이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A - 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B - 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몸체 2 - 기름받이통
3 - 숯불통 4 - 재받이통
5 - 전기점화장치 6 - 몸통
7 - 발열체 8 - 발열체 보호커버
9 - 지지부 10 - 보호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점화장치가 설치된 숯불구이기의 단면도이고, 도면 2와 도면 3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기이용 전기점화장치의 1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면 4와 도면 5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기이용 전기점화장치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숯불구이기 몸체(1)의 내부에 기름받이통(2)과 숯불통(3) 및 재받이통(4)이 내장되고, 상기 재받이통(4)의 아래쪽에 전기점화장치(5)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점화장치(5)의 선단이 재받이통(4)을 관통하여 숯불통(3)의 하단 내부에 삽입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기점화장치(5)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통(6)에 수직방향으로 발열체(7)가 돌출 설치되고, 이 발열체(7)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판형상의 세라믹히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6)의 선단에서부터 발열체(7)의 상단까지 발열체 보호커버(8)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8)가 상기 몸통(6)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9)와 상기 발열체(7)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면서 양측면이 개방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보호대(10)로 구성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숯불구이용 점화장치는,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8)의 지지부(9)를 전기점화장치(5)의 몸통(6)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세팅되어질 뿐만 아니라, 발열체 보호커버(8)의 보호대(10)가 발열체(7)의 둘레를 둘러싸게 되므로, 조립라인에서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8)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바와 같이 발열체 보호커버(8)를 전기점화장치(5)의 몸통(6)에 세팅시킬 때, 상기 발열체(7)에 대한 보호대(10)의 각도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세팅시킬 수가 있는 바, 즉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체(7)와 상기 보호대(10)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 5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형형상의 발열체(7)와 이를 둘러싸는 보호대(10)가 서로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대(10)는 그 두께가 발열체(7)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체(7)와 보호대(10)가 평행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열체(7)가 보호대(10)속에 들어 있는 상태로 되어 외부의 다른 물체에 충돌하는 등의 염려로부터 안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대(10)의 양쪽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발열체(7)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두 번째 경우와 같이 발열체(7)와 보호대(10)가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세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열체(7)의 양쪽 측면선단 일부가 보호대(1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도 상기 발열체(7)의 치수와 보호대(10)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열체(7)의 돌출선단부분이 보호대(10)의 개방선단면으로 부터 조금만 돌출 되게 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발열체(7)의 선단이 조금만 돌출 되게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발열체(7)를 안전하게 보호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7)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숯불통(3)에 담겨져 있는 숯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는 절연체의 몸통(6)에 연장 설치되어 있으면서 취성이 강한 발열체(7)를 지지부(9)와 보호대(10)로 이루어진 발열체 보호커버(8)로 보호하게 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8)를 절연체의 몸통(6)에 설치할 때 간단하게 삽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라인에서 전기점화장치를 조립하기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 숯불구이기 몸체의 내부에 기름받이통과 숯불통 및 재받이통이 내장되고, 상기 재받이통의 하단에서부터 공기가 송풍되어 숯불통을 거친 다음, 기름받이통 위에 걸쳐져 있는 고기구이망쪽으로 올라가게 하여 숯불통의 숯이 연소되는데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한편, 상기 숯불통의 하단에 전기점화장치가 내장된 구조의 숯불고기구이기에 있어서,상기 전기점화장치가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통(6)에 수직방향으로 발열체(7)가 돌출 설치되고, 이 발열체(7)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통(6)의 선단에서 부터 발열체(7)의 상단까지 발열체 보호커버(8)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발열체 보호커버(8)는 상기 몸통(6)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부(9)와 양측면이 개방된 띠형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열체(7)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된 보호대(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8653U KR200237172Y1 (ko) | 2001-03-28 | 2001-03-28 |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8653U KR200237172Y1 (ko) | 2001-03-28 | 2001-03-28 |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7172Y1 true KR200237172Y1 (ko) | 2001-10-10 |
Family
ID=7306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8653U KR200237172Y1 (ko) | 2001-03-28 | 2001-03-28 |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717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7680B1 (ko) * | 2001-07-27 | 2004-07-01 | 구자목 | 숯불용 전기난로 |
-
2001
- 2001-03-28 KR KR2020010008653U patent/KR2002371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7680B1 (ko) * | 2001-07-27 | 2004-07-01 | 구자목 | 숯불용 전기난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35939A1 (en) | Heating appliance | |
AU2021224955A1 (en) | Oven | |
KR200237172Y1 (ko) | 숯불구이기용 전기점화장치 | |
KR101647724B1 (ko) | 직화 구이장치 | |
KR200461967Y1 (ko) | 직화 구이기 | |
KR20110060131A (ko) |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 |
JP2022002697A (ja) | ポータブルコンロ | |
KR200419287Y1 (ko) |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열 차단장치 | |
KR20060132527A (ko) | 휴대용 가스렌지 가스 폭발(과열) 방지 장치 | |
KR20160050973A (ko) | 화로대 | |
KR200331681Y1 (ko) | 휴대용 세라믹 가스그릴의 열 유도 판 및 열 차단장치 | |
KR200196839Y1 (ko) | 구이기 | |
CN2926855Y (zh) | 燃气灶热面点火针保护帽 | |
CN203088813U (zh) | 一种应用玻璃材质烤盘的烧烤炉 | |
CN212307608U (zh) | 具有万用口罩盒的万用瓦斯炉结构 | |
KR200267822Y1 (ko) | 원 세라믹 가스버너 | |
KR20100104512A (ko) | 구이용 화덕장치 | |
KR102066811B1 (ko) | 완전연소구조의 밀폐식 구이장치 | |
KR200391046Y1 (ko) | 고기 구이 장치 | |
KR200315632Y1 (ko) | 구이용 화덕 | |
KR20180000206U (ko) | 가정용 숯불 직화 구이기 | |
TWM638235U (zh) | 可一鍵點火之安全型炭焙燒烤爐 | |
KR910009027Y1 (ko) | 구이기 | |
NO851891L (no) | Grilltenner. | |
KR200263707Y1 (ko) | 숯돌케이스가 부착된 삼발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