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23Y1 -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23Y1
KR200237023Y1 KR2020010010393U KR20010010393U KR200237023Y1 KR 200237023 Y1 KR200237023 Y1 KR 200237023Y1 KR 2020010010393 U KR2020010010393 U KR 2020010010393U KR 20010010393 U KR20010010393 U KR 20010010393U KR 200237023 Y1 KR200237023 Y1 KR 200237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late
fixing
clip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근
Original Assignee
박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근 filed Critical 박한근
Priority to KR2020010010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2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작물이나 화초 또는 꽃 등을 재배할 수 있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하우스를 설치하고 자 하는 크기의 지면을 다진 다음 지면에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라인에 받침판을 놓고 그 받침판을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지면에 설치된 지주에 물받이를 체결한 수직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각 수직지주에 곡선지주를 연결하는 단계: 각각의 지주에 수평지주를 설치하여 연결하는 단계: 각각의 수직지주와 수평지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각 고정구에 호형으로 절곡된 판체을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투명으로 된 판체를 재사용 할 수 있음으로 원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으며, 또한 비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파손된 부분만을 간단하게 수리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비닐대신 쿠명판체를 사용함으로서 강풍이나 우박등의 자연 재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할 수가 있기 때문에 농민의 근심을 덜고 안전하게 고소득을 올릴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THE FRAM DEVICE FOR CROPS CULFIVATING HOUSE}
본 고안은 작물이나 화초 또는 꽃 등을 재배할 수 있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하우스를 이루는 골격인 지주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지주의 외부에는 비닐 대신에 투명 또는 불투명의 수지로 된 판체를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닐 대신에 수지종류를 이용함으로서 수명을 최대로 하여 매년마다 비닐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고강도의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제조함으로서 강풍이나 폭설로부터 비닐하우스와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형상의 하우스를 설치하여 시각적인 디자인의 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현대적인 감각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고수입을 얻기 위하여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비닐하우스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종과 횡으로 수개의 골조를 설치하여 종방향의 골조와 횡방향의 골조가 교차되는 지점을 고정한 다음 그 외부에 비닐을 덮어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단순히 원형의 파이프로 된 지주의 외부에 비닐을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폭설이 내릴 경우 단순히 지면에 세워둔 골조에 의하여 하중을 견뎌야 함으로서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강풍이 불 경우에는 비닐 자체가 연질이고, 비닐이 골조에 고정되는 간격이 넓기 때문에 쉽게 찢기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우박이 내릴 경우에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됨으로서 비닐하우스를 다시 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파손이 될 경우 파손된 골격을 분리한 다음 골격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이 불편하고 힘들며, 불표요한 원자재의 낭비를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우박이나 폭풍 등의 자연 재해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비닐의 파손이 잦아 자주 비닐을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비닐을 교체할 경우 폐비닐을 수거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비닐이 바람에 날려 흩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연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흩어진 비닐이 땅속에 묻힌 경우 빨리 부패가 되지 않음으로 토양까지 오염시키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비닐하우스는 강도가 약하여 작업자가 부주의 할경우 비닐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비닐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겹을 겹칠 경우 햇빛을 차단하게 됨으로서, 농작물의 성장에 피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수개의 골조를 교차되게 설치하여 골조가 교차되는 지점을 고정하되 그 외부에는 투명이나 불투명으로 된 수지를 체결하여 비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판체를 재사용 할 수 있음으로 원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으며, 또한 비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의 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 지주고정부와 수직고정부의 분리 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 물받이 고정부의 개략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 물받이 고정부의 분리 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 곡선 연결부의 개략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 수평지주연결부의 개략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 수평지주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8 는 본 고안 판체고정부를 보인 개략 정면도
도 9 는 본 고안 고정구와 고정편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0 은 본 고안 고정클립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1 는 본 고안 고정클립의 실시예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2 는 본 고안 고정클립 실시예의 측면도
도 13 은 본 고안 클립판체의 개략 사시도
도 14 는 본 고안 모서리 연결구의 개략 사시도
도 15 는 판체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6 은 본 고안 판체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7 은 본 고안 판체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18 은 본 고안 판체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받침대 2. 고정지구 3. 지주고정부
4. 7. 연결구 5. 수직지주 6. 수직연결부
8. 곡선지주 9. 곡선연결부 10. 고정클립
11. 연결클립 12. 수평지주 13. 수평지주 연결부
14. 20. 24.고정구 15. 고정편 16. 판체
17. 판체고정부 18. 물받이 고정부
19. 21. 34. 34′. 34″. 관통공 22. 물받이
23. 체결구 25. 27. 39. 44. 46. 돌출부
26. 삽입부 28. 연결구본체 29. 32′. 32″. 클립
30. 33. 33′. 33″개폐구 31. 체결부 32. 모서리연결구
35. 35′. 35″. 37. 41. 체결돌기 38. 45. 체결홈
40. 42. 43. 체결공 47. 절곡부 48. 클립판체
하우스를 설치하고 자 하는 크기의 지면을 다진 다음 지면에 비닐하우스가설치되는 라인에 받침판을 놓고 그 받침판을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지면에 설치된 지주에 물받이를 체결한 수직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각 수직지주에 곡선지주를 연결하는 단계: 각각의 지주에 수평지주를 설치하여 연결하는 단계: 각각의 수직지주와 수평지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구를 설치하는 단계: 각 고정구에 호형으로 절곡된 판체을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지면에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라인에 ''형의 받침대(1)를 놓고, 그 받침대(1)의 중간부에 양측이 대응되도록 고정지주(2)를 지면에 박아 고정하는 지주고정부(3)와, 고정지주(2)의 상부에 연결구(4)를 이용하여 수직지주(5)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6)를 설치하고, 수직지주(5)의 상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구(7)를 체결한 다음 곡선지주(8)를 연결하는 곡선연결부(9)를 설치하여 아치형상의 골격을 이루게 하고, 이와 같이 된 수개의 골격의 내측에 고정클립(10)과 연결클립(11)을 설치하여 수평지주(12)를 설치하는 수평지주 연결부(13)를 설치하고, 각 모서리 부에는 모서리연결구(32)를 설치하여 연결하며, 각각의 골격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고정구(14)와 고정판(15)을 설치하여 판체(16)를 고정하는 판체고정부(17)를 설치하고 판체(16)의 하단에는 물받이고정부(1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지주 고정부(3)는 받침대(1)를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19)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19)에 상부에서 끝부분이 날카롭게 원뿔형으로 되어 있는 고정구(20)를 체결하며, 고정구(20)의 상측에는 수직 지주(5)를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물받이 고정부(18)는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된 ''형상의 물받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의 상단에서 체결구(23)를 체결하여 체결구(23)가 물받이(22)의 하단으로 돌출 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체결구(23)에 끝부분이 날카롭게 원뿔형으로 되어 있는 고정구(24)를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수직 연결부(6)는 수직지주(5)에 연결구(4)의 일측을 체결하되 연결구(4)는 중앙부에 돌출부(25)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삽입부(26)가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부의 타측에는 연결용 수직지주를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곡선 연결부(9)는 연결구(7)를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27)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부의 간격이 약 118°, 125°경사지게 형성하여 반원형이나 양측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천장용 지주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지 수평지주 연결구(13)는 각각의 수직지주 중간 중간에 다단식으로 수개의 고정클립(10)을 체결하여 고정하되, 고정클립(10)에는 수평지주(12)를 고정하는 연결클립(11)을 고정클립(10)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모서리 연결구(32)는 V형으로 형성된 연결구본체(28)의 상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클립(29)을 형성하고, 클립의 상측에는 개폐구(3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체결하며, 연결구본체(28)의 양측에는 하향 졍사지게 체결부(31)를 돌출 형성하되 체결부(31)를 수개의 리브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고정클립(10)은 몸체의 상측에 반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33)를 체결하고, 몸체의 저면에 모서리부에는 관통공(34)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체결돌기(35)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연결클립(11)은 몸체의 상측에 반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33′)를 체결하고, 몸체의 저면에 모서리부에는 관통공(34′)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체결돌기(35′)를 돌출 형성하되, 몸체의 저면 모서리부에 돌출된 체결돌기(35′)를 고정클립(10)의 관통공(34)에 체결될 수 있게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연결클립의 다른 실시예로 몸체의 상측에 반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33″)를 체결하고, 일측면 중앙부에는 돌출부(36)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며, 몸체의 저면에 모서리부에는 관통공(34″)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체결돌기(35″)를 돌출 형성하되, 몸체의 저면 중앙부에 'H'형의 체결돌기(37)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 고정부(17)는 골격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지주(12)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고정구(14)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되 고정구(14)의 양측으로 고정판(15)을 체결한 다음 볼트를 이용하여 구정구(14)와 고정판(15)을 체결하고, 각각의 고정판(15)에는 판체(16)를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고정구(14)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고정구 몸체의 내측으로 반원형의 체결홈(38)을 형성하여 수평지주(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고정구(14)의 외측에는 각지게 형성된 돌출부(39)를 형성하며, 몸체의 상, 하에는 체결공(4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고정판(15)은 상측에 T형의 체결돌기(41)를 돌출 형성하고, 하단에는 각지게 형성된 체결공(42)을 형성하여 고정구(14)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39)에 체결하며, 고정판(15)의 상, 하단 중앙부에는 체결공(43)을 형성하여 고정구(14)의 양측에 각각 체결한 다음 나사로서 고정판(15)과 고정구(14)를 함께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판체(16)는 판체몸체를 호형으로 만곡지게 한 것과 오목하게 한 것 두가지로 구성하되 각 판체(16)의 양측으로 돌출부(44)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고정판(15)의 체결돌기(41)가 체결되는 체결홈(45)을 저면에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판체의 제 1 실시예로 각 판체(16)의 체결돌기(41)가 형성되는 체결홈(45)에 돌출부(46)를 형성하여 두께가 두껍게 한 다음 T형의 체결홈(45)을 형성하여 강도를 강하게 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의 제 2 실시예로 판체(16)의 양측에 ㄷ형으로 절곡된 절곡부(47)를 형성하여 다른 판체의 절곡부를 조립되어 있는 기존판체의 절곡부에 체결하여 연결되게 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의 제 3 실시예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에 ㄷ형으로 절곡된 판체(16)를 연결되게 놓은 다음 절곡부(47)에 별도의 C형으로 된 클립판체(48)를 체결 고정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설치하고 자 하는 지면에 받침대(1)를 놓은 다음 판침대(1)에 형성된 관통공(19)에 각각 원뿔형으로 형성된 고정구(20)를 박아 고정한 다음 고정구(20)의 상측에 고정지주(2)를 체결하며, 고정지주(2)의 상측에는 연결구(4)를 체결한 다음 그 상부에 다시 수직지주(5)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된 수직지주(5)에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구(7)를 체결한 다음 곡선지주(8)를 체결하여 골격을 완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호형으로 형성된 골격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지주(12)를 체결한 다음 하우스 골격을 완성시키고, 그 상부에 고정구(14)와 고정판(15)을 이용하여 판체(16)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수직지주(5)에 고정클립(10)을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이 고정클립(10)에 연결클립(11)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연결클립(11)은 고정클립(10)과 90°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수평지주(12)를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수직지주(5)에 수개의 수평지주(12)를 연결하며 골격을 완성한 다음 각각의 수평지주(12)와 수직지주(5)에 고정구(14)와 고정판(15)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각 고정판(1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체결돌기(41)에 판체(16)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즉 고정판(15)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돌기(41)를 판체(16)의 중앙부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5)에 끼운 다음 밀어 다른 고정판(15)들의 체결돌기(41)를 계속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판체와 판체는 판체(1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가 같이 상, 하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투명으로 된 판체(16)가 비닐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판체를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곡부가 ㄷ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되어 있는 판체에 다른 판체를 연결하게 되면 판체의 절곡부가 ㄷ형상이므로 절곡부가 서로 결합되어 완벽한 밀폐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 3 실시 예에서와 같이 판체(16)를 연결하여 절곡부를 겹치게 한 다음 그 겹친 절곡부(47)에 클립(48)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서, 클립이 절곡부를 강하게 고정하게 됨으로서 흔들림이 없는 견고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상단부를 덮은 판체(16)의 하단에 물받이(22)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물받이(22)에 형성된 관통공(21)에 각각 체결구(23)를 체결하여 체결구(23)가 물받이의 저면으로 돌출 되게 한 다음 이 돌출된 부분에 끝부분이 원뿔형으로 형성된 고정구(24)를 체결하여 지면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수개의 골조롤 교차되게 설치하여 골조가 교차되는 지점을 고정하되 그 외부에는 투명이나 불투명으로 된 수지를 체결하여 비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투명으로 된 판체를 재사용 할 수 있음으로 원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으며, 또한 비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있고 파손된 부분만을 간단하게 수리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비닐대신 쿠명판체를 사용함으로서 강풍이나 우박등의 자연 재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할 수가 있기 때문에 농민의 근심을 덜고 안전하게 고소득을 올릴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있다.

Claims (17)

  1. 지면에 농자물 재배용 하우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라인에 ''형의 받침대(1)를 놓고, 그 받침대(1)의 중간부에 양측이 대응되도록 고정지주(2)를 지면에 박아 고정하는 지주고정부(3)와, 고정지주(2)의 상부에 연결구(4)를 이용하여 수직지주(5)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6)를 설치하고, 수직지주(5)의 상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구(7)를 체결한 다음 곡선지주(8)를 연결하는 곡선연결부(9)를 설치하여 아치형상의 골격을 이루게 하고, 이와 같이 된 수개의 골격의 내측에 고정클립(10)과 연결클립(11)을 설치하여 수평지주(12)를 설치하는 수평지주 연결부(13)를 설치하고, 각 모서리부에는 모서리연결구(32)를 설치하여 연결하며, 각각의 골격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고정구(14)와 고정판(15)을 설치하여 판체(16)를 고정하는 판체고정부(17)를 설치하고 판체(16)의 하단에는 물받이고정부(1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제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주 고정부(3)는 받침대(1)를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공(19)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19)에 상부에서 끝부분이 날카롭게 원뿔형으로 되어 있는 고정구(20)를 체결하며, 고정구(20)의 상측에는 수직 지주(5)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물받이 고정부(18)는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된 ''형상의 물받이(2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의 상단에서 체결구(23)를 체결하여 체결구(23)가 물받이(22)의 하단으로 돌출 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체결구(23)에 끝부분이 날카롭게 원뿔형으로 되어 있는 고정구(24)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연결부(6)는 수직지주(5)에 연결구(4)의 일측을 체결하되 연결구(4)는 중앙부에 돌출부(25)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삽입부(26)가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부의 타측에는 연결용 수직지주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곡선 연결부(9)는 연결구(7)를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27)를 중심으로 하여 삽입부의 간격이 약 118°, 125°경사지게 형성하여 반원형이나 양측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천장용 지주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지주 연결구(13)는 각각의 수직지주 중간 중간에 다단식으로 수개의 고정클립(10)을 체결하여 고정하되, 고정클립(10)에는 수평지주(12)를 고정하는 연결클립(11)을 고정클립(10)에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모서리 연결구(32)는 V형으로 형성된 연결구본체(28)의 상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클립(29)을 형성하고, 클립의 상측에는 개폐구(3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체결하며, 연결구본체(28)의 양측에는 하향 졍사지게 체결부(31)를 돌출 형성하되 체결부(31)를 수개의 리브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클립(10)은 몸체의 상측에 반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33)를 체결하고, 몸체의 저면에 모서리부에는 관통공(34)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체결돌기(35)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연결클립(11)은 몸체의 상측에 반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33′)를 체결하고, 몸체의 저면에 모서리부에는 관통공(34′)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체결돌기(35′)를 돌출 형성하되, 몸체의 저면 모서리부에 돌출된 체결돌기(35′)를 고정클립(10)의 관통공(34)에 체결될 수 있게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배재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몸체의 상측에 반원형의 클립(32″)을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33″)를 체결하고, 일측면 중앙부에는 돌출부(36)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며, 몸체의 저면에 모서리부에는 관통공(34″)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체결돌기(35″)를 돌출 형성하되, 몸체의 저면 중앙부에 'H'형의 체결돌기(37)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판체 고정부(17)는 골격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지주(12)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고정구(14)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되 고정구(14)의 양측으로 고정판(15)을 체결한 다음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구(14)와 고정판(15)을 체결하고, 각각의 고정판(15)에는 판체(16)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
  12. 제 11 항에 있어서, 고정구(1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구 몸체의 내측으로 반원형의 체결홈(38)을 형성하여 수평지주(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고정구(14)의 외측에는 각지게 형성된 돌출부(39)를 형성하며, 몸체의 상, 하에는 체결공(4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고정판(15)은 상측에 T형의 체결돌기(41)를 돌출 형성하고, 하단에는 각지게 형성된 체결공(42)을 형성하여 고정구(14)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39)에 체결하며 고정판(15)의 상, 하단 중앙부에는 체결공(43)을 형성하여 고정구(14)의 양측에 각각 체결한 다음 나사로서 고정판(15)과 고정구(14)를 함께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판체(16)는 판체몸체를 호형으로 만곡지게 한 것과 오목하게 한 것 두 가지로 구성하되 각 판체(16)의 양측으로 돌출부(44)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고정판(15)의 체결돌기(41)가 체결되는 체결홈(45)을 저면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판체(16)의 체결돌기(41)가 형성되는 체결홈(45)에 돌출부(46)를 형성하여 두께가 두껍게 한 다음 T형의 체결홈(45)을 형성하여 강도를 강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판체(16)의 양측에 ㄷ형으로 절곡된 절곡부(47)를 형성하여 다른 판체의 절곡부를 조립되어 있는 기존판체의 절곡부에 체결하여 연결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에 ㄷ형으로 절곡된 판체(16)를 연결되게 놓은 다음 절곡부(47)에 별도의 C형으로 된 클립판체(48)를 체결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KR2020010010393U 2001-04-13 2001-04-13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KR200237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93U KR200237023Y1 (ko) 2001-04-13 2001-04-13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93U KR200237023Y1 (ko) 2001-04-13 2001-04-13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787A Division KR20020079116A (ko) 2001-04-13 2001-04-13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제조방법및 그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23Y1 true KR20023702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93U KR200237023Y1 (ko) 2001-04-13 2001-04-13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075B2 (en) Corner assembly for a portable shelter
US3911632A (en) Gutter structure for holding flexible and non-flexible covers
KR100947060B1 (ko)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CN200985646Y (zh) 一种开有天窗的轻型构件棚、房
KR200237023Y1 (ko)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조립장치
KR101333473B1 (ko) 비닐하우스
KR20020079116A (ko)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의 제조방법및 그 조립장치
KR200474866Y1 (ko) 메쉬휀스 설치구조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20160031708A (ko)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JP2011041533A (ja) パネル付栽培容器及び建物の緑化方法
KR102233067B1 (ko) 가변형 조립식 비닐하우스
KR20160031705A (ko) 차양시스템
KR200186455Y1 (ko) 유리 하우스용 골조의 구조
CN214546016U (zh) 一种顶架连接装置及农业大棚框架
KR102626681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JP3215966U (ja) 園芸用トンネル支柱
KR20220040134A (ko)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KR20050121192A (ko) 비닐 하우스를 연결 고정하는 안전 지지대
KR200205374Y1 (ko) 가정용 원예온실
RU17392U1 (ru) Арочная теплица
JP2590251Y2 (ja) 面状構造物の取付構造
JP2022042554A (ja) フレーム付きデッキ
KR20160031704A (ko) 덮개바 및 차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