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15Y1 - 다용도 야외용 자리 - Google Patents

다용도 야외용 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15Y1
KR200237015Y1 KR2020010009930U KR20010009930U KR200237015Y1 KR 200237015 Y1 KR200237015 Y1 KR 200237015Y1 KR 2020010009930 U KR2020010009930 U KR 2020010009930U KR 20010009930 U KR20010009930 U KR 20010009930U KR 200237015 Y1 KR200237015 Y1 KR 200237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ttached
center
fastening butt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범
Original Assignee
송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범 filed Critical 송창범
Priority to KR2020010009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15Y1/ko

Link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야외용 자리는 자리(100)의 중앙을 절개하되 절개부분에 포켓(111)을 형성시킨 중앙절개부(110)와, 상기 자리(100)의 테두리에 구멍(121)을 형성시키되 구멍(121)에 매듭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끈(122)을 구비한 차양부(120)와, 상기 자리(100)의 이면에 접철되어 대응되는 체결단추(131)를 부착한 우비부(131)와, 상기 중앙절개부(110)의 경합하되 포켓(111)에 보관하는 모자(141)를 구비한 모자부(140)로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나 필요에 따라 우의와 그늘막 또는 자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방한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야외용 자리 {outdoor mat with multiple use}
본 고안은 다용도 야외용 자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자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그늘막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상시 우의나 방한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리는 야외에서 깔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은박필름의 저면을 가지고, 그 위에 쿠션을 갖는 발포된 폴리에틸렌폼 발포시트가 부착되어지며,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보호필름 등으로 구성된 복합필름재를 자리로 사용하거나, 쿠션을 갖는 폴리에틸렌폼 발포시트의 상하면에 은박필름이나 폴리에틸렌 필름을 코팅하여 자리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리는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맑은 날 햇빛을 차단하는 별도의 그늘막을 구비하여야 하고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로 인한 비등이 내릴 때 신속하게 대피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우의 또는 방한복으로 간편하게 변형시켜 사용자가 편의나 필요에 따라 의상 형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늘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우비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그늘막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 자리 110 : 중앙절개부
111 : 포켓 112 : 지퍼
113 : 체결단추 114 : 차단편
115 : 작동구 120 : 차양부
121 : 구멍 122 : 연결끈
130 : 우비부 131 : 체결단추
132 : 내장실 133 : 신축밴드
134 : 체결수단 140 : 모자부
141 : 모자 142 : 신축밴드
143 : 체결단추 144 : 마감편
145 : 체결수단 146 : 차단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야외용 자리는 자리의 중앙을 절개하되 절개부분에 포켓을 형성시킨 중앙절개부와, 상기 자리의 가장자리에 구멍을 형성시키되 구멍에 매듭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끈을 구비한 차양부와, 상기 자리의 이면에 접철되어 대응되는 체결단추를 부착한 우비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우비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야외용 자리의 그늘막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야외용 자리는 자리(100)의 중앙을 절개하되 절개부분에 포켓(111)을 형성시킨 중앙절개부(110)와, 상기 자리(100)의 테두리에 구멍(121)을 형성시키되 구멍(121)에 매듭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끈(122)을 구비한 차양부(120)와, 상기 자리(100)의 이면에 접철되어대응되는 체결단추(131)를 부착한 우비부(131)와, 상기 중앙절개부(110)에 결합시키되 포켓(111)에 보관하는 모자(141)를 구비한 모자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중앙절개부(110)는 자리(100)의 중앙을 좌우로 어느 정도 절개하여 전후에 지퍼(112)를 각각 부착하여 전후의 지퍼(112)를 모두 오픈 하는 경우에 중앙절개부(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각각 지퍼(112)에는 두 개의 작동구(115)를 형성하여 설치된 지퍼(112)를 좌우에서 선택으로 오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중앙절개부(110)는 좌우 폭방향으로 절개하여 우비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중앙절개부(110)에는 지퍼(112)를 덮는 차단편(114)을 형성하여 자리(100)로 사용시에 지퍼(11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절개부(110)의 포켓(111) 내부에는 체결단추(113)를 부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차양부(120)는 자리(110)의 테두리에 구멍(121)을 형성시키되 구멍(121)에 링 등을 끼워 연결끈(122)의 매듭이 원활하고 이로 인한 자리(100)의 손상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비부(130)는 중앙절개부(110)를 중심으로 접는 경우 상호 대응되어 체결하도록 체결단추(131)를 부착하되, 체결단추(131)는 통상의 우의 재봉선 위치에 위치되게 부착한다.
즉, 체결단추(131)는 소매의 하단부분과 겨드랑이 하단부에 위치되게 부착하고 하부 외측에 바람 등에 의하여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우비부(130)에는 신체의 허리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신축밴드(133)를 좌우에 부착하되 신축밴드(133)에 체결수단(134)을 부착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신축밴드(133)의 부착위치에는 신축밴드(133)의 자유상태에서 신축밴드(133)와 체결수단(134)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내장실(13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자부(140)의 모자(141)에는 후측 중앙에 하향으로 신축밴드(142)를 부착하고, 신축밴드(142)에는 중앙절개부(110)의 체결단추(113)에 결합 분리시키는 체결단추(143)를 한 개 이상 부착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모자(1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모자(141)의 전면 좌우에는 체결수단(145)이 결합된 마감편(144)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턱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감편(144)의 대용으로 모자(141)의 전면 테두리에 끈 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더불어, 모자(141)의 후측과 좌우를 길게 늘어뜨려 차단편(146)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리(100)의 재질은 부직포의 전면과 이면에 은박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어느 정도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야외 등에서 자리(100)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은 상태의 자리를 펼쳐 잔디 등에 깔고 사용한다.
또, 햇빛 등의 차단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리(100)의 테두리에 형성된 구멍(121)을 통하여 연결끈(122)으로 주변의 나무 등에 연결하여 자리(100)가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상 변화 등으로 갑작스럽게 비가 오는 경우에는 중앙절개부(110)의 지퍼(112)를 오픈하고 포켓(111)에 보관된 모자(141)를 체결단추(113,143)로 결합한 다음 사용자가 자리(100)를 뒤집어 중앙절개부(110)를 통하여 머리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모자(141)를 착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비부(130)의 체결단추(131)를 체결하여 자리(100)를 우의 형상의 변형시킨 다음 신축밴드(133)로 자리(100)의 좌우 부분을 감싸면서 허리에 감아 상호 체결한다.
한편, 상기 우비부(130)는 눈과 비를 차단하는 우의로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보온력이 우수하여 동절기에 방한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취급 물질의 내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군사용 자리(100)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야영지에서 텐트의 자리(100)로 사용할 때 쿠션으로 인하여 양질의 자리(100)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의 방한용으로 사용할 때 탁월한 보온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기후 변화에 따라 자리(100)를 신속하게 우의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야외용 자리는 자리(100)의 중앙을 절개하되 절개부분에 포켓(111)을 형성시킨 중앙절개부(110)와, 상기 자리(100)의 테두리에 구멍(121)을 형성시키되 구멍(121)에 매듭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끈(122)을 구비한 차양부(120)와, 상기 자리(100)의 이면에 접철되어 대응되는 체결단추(131)를 부착한 우비부(131)와, 상기 중앙절개부(110)의 경합하되 포켓(111)에 보관하는 모자(141)를 구비한 모자부(140)로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나 필요에 따라 우의와 그늘막 또는 자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방한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리(100)의 중앙을 절개하되 절개부분에 포켓(111)을 형성시킨 중앙절개부(110)와,
    상기 자리(100)의 테두리에 구멍(121)을 형성시키되 구멍(121)에 매듭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끈(122)을 구비한 차양부(120)와,
    상기 자리(100)의 이면에 접철되어 대응되는 체결단추(131)를 부착한 우비부(131)와,
    상기 중앙절개부(110)의 결합하되 포켓(111)에 보관하는 모자(141)를 구비한 모자부(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절개부(110)는 자리(100)의 중앙을 좌우로 어느 정도 절개하여 전후에 지퍼(112)를 각각 부착하되 좌우 폭방향으로 절개하고, 중앙절개부(110)의 포켓(111) 내부에는 체결단추(113)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120)는 자리(110)의 테두리에 구멍(121)을 형성시키되 연결끈(122)을 구비하고 구멍(121)에 링 등을 끼워 연결끈(122)의 매듭이 원활하고 자리(10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비부(130)는 중앙절개부(110)를 중심으로 접는 경우 상호 대응되어 체결하도록 체결단추(131)를 부착하되, 체결단추(131)는 통상의 우의 재봉선 위치에 위치되게 부착하고 신체의 허리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신축밴드(133)를 좌우에 부착하되 신축밴드(133)에 체결수단(134)을 부착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부(140)의 모자(141)에는 후측 중앙에 하향으로 신축밴드(142)를 부착하고 신축밴드(142)에 중앙절개부(110)의 체결단추(113)에 결합 분리시키는 체결단추(143)를 한 개 이상 부착하되, 모자(141)의 전면 좌우에는 체결수단(145)이 결합된 마감편(144)을 형성하고, 모자(141)의 후측과 좌우는 길게 늘어뜨린 차단편(146)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야외용 자리.
KR2020010009930U 2001-04-10 2001-04-10 다용도 야외용 자리 KR200237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930U KR200237015Y1 (ko) 2001-04-10 2001-04-10 다용도 야외용 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930U KR200237015Y1 (ko) 2001-04-10 2001-04-10 다용도 야외용 자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837A Division KR100423508B1 (ko) 2001-04-10 2001-04-10 다용도 야외용 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15Y1 true KR200237015Y1 (ko) 2001-10-11

Family

ID=7306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930U KR200237015Y1 (ko) 2001-04-10 2001-04-10 다용도 야외용 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8519A3 (en) * 2017-07-21 2019-04-11 Rundle Hugh J RAIN CLOTHES
KR20190069865A (ko) 2017-12-12 2019-06-20 김태우 야외용 매트겸용 쓰레기 분리수거포
US11051562B2 (en) 2016-10-03 2021-07-06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USD932738S1 (en) 2016-10-03 2021-10-12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1562B2 (en) 2016-10-03 2021-07-06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USD932738S1 (en) 2016-10-03 2021-10-12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WO2019018519A3 (en) * 2017-07-21 2019-04-11 Rundle Hugh J RAIN CLOTHES
KR20190069865A (ko) 2017-12-12 2019-06-20 김태우 야외용 매트겸용 쓰레기 분리수거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846A (en) Headwear with detachable brim
AU2005327531B2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US9072367B2 (en) Fully enclosed four season camp hammock
US20100116305A1 (en) Rain Protection Umbrella
US6112332A (en) Insulated liner for headgear
US20080060691A1 (en) Relief package
US10806202B2 (en) Hat with bendable brim
KR200237015Y1 (ko) 다용도 야외용 자리
US20080172788A1 (en) Beach towel with arm slots
US6305029B1 (en) Protective headwear with decorative and utilitarian attachments
KR100423508B1 (ko) 다용도 야외용 자리
GB2248391A (en) Hair towel
KR200483620Y1 (ko) 우의가 구비된 모자
EP1262113B1 (fr) Veste équipée d'une capuche à visibilité latérale optimum.
JPH0627612Y2 (ja) サンバイザー
JP3721187B2 (ja) 遮光効果を発揮できる帽子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312520Y1 (ko) 다기능 쿠션
JP3187382U (ja) 日除け付き帽子
JP3241049U (ja) 帽子
KR200451660Y1 (ko) 썬캡
KR200342582Y1 (ko) 야외용 다용도 피복
KR200239261Y1 (ko) 보조차양이 구비된 모자
JP3019754U (ja) 二重前ひさしの日除け帽子
KR100680756B1 (ko)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