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27Y1 -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 Google Patents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27Y1
KR200236927Y1 KR2019980011218U KR19980011218U KR200236927Y1 KR 200236927 Y1 KR200236927 Y1 KR 200236927Y1 KR 2019980011218 U KR2019980011218 U KR 2019980011218U KR 19980011218 U KR19980011218 U KR 19980011218U KR 200236927 Y1 KR200236927 Y1 KR 200236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cylinder
valve unit
hydraulic pressure
boom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011U (ko
Inventor
김장주
Original Assignee
김장주
금아유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주, 금아유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장주
Priority to KR2019980011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2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27Y1/ko

Links

Landscapes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카에 관한 것으로서, 붐 파이로트 실린더의 작동성 향상 및 작동 불량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 유니트는 유입구로부터 공급된 유압의 량을 조절하여 배출구를 통해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로 배출시키는 컨트롤 밸브들과,상기 컨트롤 밸브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실린더 내의 유압을 유입구를 통해 유압탱크로 배출시키는 파이로트 체크밸브들과, 상기 유압구와 배출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압을 약 70∼420㎏f/㎠ 정도의 압력으로 유지시켜 주는 릴리프 밸브들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
본 고안은 콘크리트 펌프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체크밸브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Boom Pilot)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체크밸브 유니트가 사용되며, 이는 통상 주물품으로 제작하든지 혹은 다수개의 작은 부품들을 별도로 제작한 다음 이들을 조립하여 제작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주물품으로 제작된 체크밸브 유니트는 충격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불량하여 정밀도가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이는 상기 붐 파이로트의 내구성 저하 및 작동성 불량 현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 유니트의 소형화가 불가능하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원가를 상승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그리고, 상기 작은 부품들을 다수 설치하여 제작한 체크밸브 유니트는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 유니트는 고장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붐 파이로트의 작동성이 불량하고 또한 정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체크밸브 유니트의 구조를 단순화시킨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붐 파이로트의 작동성 향상 및 작동 불량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가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고안은 유입구로부터 공급된 유압의 량을 조절하여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로 배출시키는 컨트롤 밸브들과, 상기 컨트롤 밸브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실린더 내의 유압을 유입구를 통해 오일 탱크로 배출시키는 파이로트 체크밸브들과,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압을 약 70 ∼420㎏f/㎠ 정도의 압력으로 유지시켜 주는 릴리프 밸브들고 구성된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를 제안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체크밸브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체크밸브 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한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유압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릴리프 밸브 12: 제1 컨트롤 밸브
14: 제1 파이로트 체크밸브 16: 제2 파이로트 체크밸브
18 : 제2 컨트롤 밸브 20 : 제2 릴리프 밸브
50 : 제1 유입구 52 : 제2 유입구
54 : 제1 배출구 56 : 제2 배출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를 작동시키는 체크밸브 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50, 52는 외부로부터 메인 유압을 체크밸브 유니트의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이며, 54와 56은 상기 체크밸브 유니트의 내부에 있는 유압을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이다.
참조번호 12는 상기 제1 유입구 50으로부터 공급된 유압의 량(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 배출구 54를 통해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 배출(유입)시키기 위한 제1 컨트롤 밸브이다. 참조번호 14는 제1 파이로트 체크밸브로서 후술하는 제2 컨트롤 밸브 18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붐 파이로트 실린더내의 유압을 제1 유입구 50을 통해 유압탱크(도시하지 않음)로 배출시킨다. 즉, 전술한 제1 파이로트 체크밸브 14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컨트롤 밸브 18과 스위칭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참조번호 20은 제1 유입구 50과 제1 배출구 54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트롤 밸브 12의 작동에 따라 유압이 제1 배출구 54를 통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될때 상기 유압을 약 70 ∼420㎏f/㎠ 정도의 압력으로 항상 유지시켜 주는 제2 릴리프 밸브이다.
참조번호 18은 상기 제2 유입구 52로부터 공급된 유압의 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2 배출구 56을 통해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 배출(유입)시키기 위한 제2 컨트롤 밸브이며, 16은 제2 파이로트 체크밸브로서 제1 컨트롤 밸브 12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붐 파이로트 실린더 내의 유압을 제2 유입구 52를 통해 유압탱크(도시하지 않음)로 배출시킨다. 즉, 전술한 제2 파이로트 체크밸브 16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컨트롤 밸브 12와 스위칭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끝으로, 참조번호 10은 제2 유입구 52와 제2 배출구 56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컨트롤 밸브 18의 작동에 따라 유압이 제2 배출구 56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유압을 약 70 ∼420㎏f/㎠ 정도의 압력으로 항상 유지시켜 주는 제1 릴리프 밸브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제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첫 번째로,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실린더를 펴고자 할 때는 먼저, 체크밸브유니트의 제1 유입구 50을 통해 메인 유압이 공급되며, 이어서 상기 유압은 제1 컨트롤 밸브 12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어 제1 배출구 54를 통해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는 펼쳐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메인 유압이 제1 유입구 50을 통해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컨트롤 밸브 12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며, 제2 파이로트 체크밸브 16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오픈 된다. 그러면 상기 붐 파이로트 실린더 내의 유압은 제2 유입구 52를 통해 유압탱크로 배출된다.(즉, 저장된다). 이때 제2 릴리프 밸브 20은 상기 제1 유입구 50과 제1 배출구 54 사이를 통과하는 유압을 항상 적정압(약 400㎏f/㎠)으로 유지시켜 준다.
두 번째로,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실린더를 접고자 할 때는 우선, 제2 유입구 52를 통해 메인 유압이 체크밸브의 유니트로 공급되며, 이어서 상기 유압은 제2컨트롤 밸브 18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어 제2 배출구 56을 통해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는 펼쳐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 유압이 제2 유입구 52를 통해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컨트롤 밸브 18은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며, 제1 파이로트 체크밸브 14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오픈 된다. 그러면 상기 붐 파이로트 실린더 내의 유압은 제1 유입구 50을 통해 유압탱크로 배출된다.(즉, 저장된다). 여기서 제1 릴리프 밸브 10은 상기 제2 유입구 52와 제2 배출구 56 사이를 통과하는 유압을 항상 적정압(약 400㎏f/㎠)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는 알루미늄 바를 기계 가공작업으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 유니트의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정밀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조립공수의 감소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체크밸브 유니트의 소형화 및 중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 실린더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불량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 파이로트를 작동시키며, 소정량의 유압이 유입되고 배출되기 위한 각각의 유입구들과 배출구들을 가지는 체크밸브 유니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유입구로부터 공급된 유압의 량을 조절하여 상기 각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붐 파이로트의 실린더로 배출시키는 제1,2 컨트롤 밸브들과; 상기 제1,2 컨트롤 밸브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실린더 내의 유압을 상기 각 유입구를 통해 오일 탱크로 배출시키는 제1,2파이로트 체크밸브들과; 상기 각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압을 약 70 ∼420㎏f/㎠ 정도의 압력으로 유지시켜 주는 제1,2 릴리프 밸브들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카 붐 파이로트 체크밸브 유니트.
KR2019980011218U 1998-06-20 1998-06-20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KR200236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18U KR200236927Y1 (ko) 1998-06-20 1998-06-20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18U KR200236927Y1 (ko) 1998-06-20 1998-06-20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11U KR19980056011U (ko) 1998-10-07
KR200236927Y1 true KR200236927Y1 (ko) 2001-12-01

Family

ID=6950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218U KR200236927Y1 (ko) 1998-06-20 1998-06-20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66B1 (ko) 2022-12-19 2024-01-10 한명석 콘크리트 펌프카용 붐유압실린더의 과부하방지 컨트롤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66B1 (ko) 2022-12-19 2024-01-10 한명석 콘크리트 펌프카용 붐유압실린더의 과부하방지 컨트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1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0574B (zh) 负载敏感多路阀及工程机械液压系统
EP1471263B1 (en) Hydraulic valv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395893B1 (ko) 배관파단제어밸브장치
US5673557A (en) Displacement control system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hydraulic pump
US11168713B2 (en) Valve arrangement for pressure medium supply of a hydraulic consumer
US7882777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hydraulic circuit
KR200236927Y1 (ko) 펌프카의붐파이로트체크밸브유니트
EP2005006B1 (en) Pilot-operated differential-area pressure compensator and control system for piloting same
EP1568892B1 (en) Flow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CA2214209C (en) Hydraulic system
EP0943813B2 (en) Shuttle valve manifold
US6325104B1 (en) Hydraulic circuit, precedence valve block and operation valve block assembly
KR200180938Y1 (ko) 크레인의 텔레스코프 실린더용 하이드로 유니트
KR100212217B1 (ko) 휠로다의 브레이크 및 파일롯콘트롤 시스템
JP2002114498A (ja) 油圧制御装置
KR200217335Y1 (ko) 크레인의 후크윈치 드럼 브레이크 작동용 하이드로 유니트
JP3097041B2 (ja) 圧油供給装置の戻り流量分担回路
EP0670967A1 (en) Hydraulic system
KR200180939Y1 (ko) 크레인의 붐테이블 선회 컨트롤 밸브 유니트
KR0166116B1 (ko) 건설중장비의 대용량 압력감지형 언로딩시스템
KR102503136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RU2320902C2 (ru) Секционный гид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с механическим руч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и рабочая секция секционного гид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я с механическим руч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JP2006306507A (ja) フォークリフト用制御回路
KR200201811Y1 (ko) 크레인의 클러치 밸브유니트
JP2006306573A (ja) フォークリフト用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