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280Y1 -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280Y1
KR200236280Y1 KR2020010007744U KR20010007744U KR200236280Y1 KR 200236280 Y1 KR200236280 Y1 KR 200236280Y1 KR 2020010007744 U KR2020010007744 U KR 2020010007744U KR 20010007744 U KR20010007744 U KR 20010007744U KR 200236280 Y1 KR200236280 Y1 KR 200236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shape
ring
piece
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우
Original Assignee
권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우 filed Critical 권태우
Priority to KR2020010007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2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280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수납포켓인 컵형 케이스몸체는 벤틸레이터 그릴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어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그 형상이 설정됨으로 설정된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의 소품만을 수납할 수 있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예시도 2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부(10)와 연결부(12) 및 고깔형상의 포켓부(14)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켓부(14)는 상측부(16)와 하측부(18)가 스판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그물형상의 망지(20)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추게 하고, 상측부(16)에는 일측으로 고리(22)를 갖춘 환형링(24)을 내설하여 입구(26)가 원형상을 이루며, 하측부(18)는 직선으로 마감처리 하여 포켓부(14)의 단면형상이 고깔형상을 이루게 함으로서, 수납하는 소품의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부(10)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서, 임의적으로 인스트루먼트패널(5)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46)의 끼움봉에도 설치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편리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A receiving pocket for miscellaneous goods in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차 실내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수납하는 소품의 형상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도어트림의 하측과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콘솔박스가 설치되어 있어 소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납공간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어 사용하는데 편리하도록 특정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가 최근들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수납케이스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시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구(2)가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스프링(3)이 탄지된 지지판(4)이 설치되며, 바닥면에 쿠션재가 부착된 컵형상의 케이스몸체(1)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케이스몸체(1)는 인스트루먼트패널(5)에 양측과 중앙에설치되어 있는 냉·온풍이 토출되는 벤틸레이터 그릴(6)에 설치되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몸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형의 고정구(2)가 벤틸레이터 그릴(6)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몸체(1)에 소품, 일예로 음료수캔(7)을 수납하게 되면 케이스몸체(1)의 내면에 설치된 지지판(4)에 의해 수납된 음료수캔(7)이 지지되는데, 이것은 지지판(4)에 설치된 스프링(3)의 탄발력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며, 주행중 발생되는 차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음료수캔(7)이 케이스몸체(1)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이음을 발생할 수 있으나 바닥면에 부착된 쿠션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몸체(1)가 냉·온풍이 토출되는 벤틸레이터 그릴(6)에 설치됨으로서, 계절에 맞춰 음료수를 따뜻하게 또는 시원하게 하여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형 케이스몸체(1)는 벤틸레이터 그릴(6)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구(2)가 형성되어 있어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해 그 형상이 설정됨으로 설정된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의 소품만을 수납할 수 있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예로서 최근들어 사회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에게 보편화되어 있는 핸드폰과 같은 소품을 수납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4)가 핸드폰을 지지해 주지 못해 주행중 차체의 진동으로 수납된 핸드폰이 떨어지거나 수납된 상태에서 케이스몸체(1)의 내면에 부딪히게 되어 파손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소품 수납케이스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수납하는 소품의 형상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부와 연결부 및 고깔형상의 포켓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켓부는 상측부와 하측부가 스판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그물형상의 망지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추게 하고, 상측부에는 일측으로 고리부를 갖춘 환형의 링을 내설하여 입구가 원형상을 이루며, 하측부는 직선으로 마감처리 하여 포켓부의 단면형상이 고깔형상을 이루게 함으로서, 수납하는 소품의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서, 임의적으로 인스트루먼트패널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끼움봉에도 설치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편리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소품 수납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포켓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 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포켓의 사용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포켓의 상용수단의 또 다 른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고정부, 12 - 연결부,
14 - 포켓부, 16 - 상측부,
18 - 하측부, 20 - 망지,
22 - 고리, 24 - 환형링,
26 - 입구, 28 - 걸이편,
30 - 이탈방지편, 32 - 호형걸이,
34 - 버팀편, 36 - 접착층,
38 - 접착편, 40 - 고리편,
42 - 굽힘고리, 44 - 걸이홈,
46 - 헤드 레스트.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포켓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3 은 도 2 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4 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포켓의 사용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 이고, 도 5 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품 수납포켓의 상용수단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상기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부(10)와 연결부(12) 및 고깔형상의 포켓부(14)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켓부(14)는 상측부(16)와 하측부(18)가 스판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그물형상의 망지(20)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추게 하고, 상측부(16)에는 일측으로 고리(22)를 갖춘 환형링(24)을 내설하여 입구(26)가 원형상을 이루며, 하측부(18)는 직선으로 마감처리 하여 포켓부(14)의 단면형상이 고깔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환형링(24)의 고리(22)가 스판재로 이루어진 상측부(16)의 장공에 끼워 넣으면서 망지(20)를 포함한 하측부(18)를 환형링(24)내측으로 집어 넣으면 상측부 (16)의 상단부가 환형링(24)을 감싸지면서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0)는 수평상 일측으로 걸이편(28)과 이탈방지편(30)을 상·하로 형성하고, 타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호형걸이(32)를 형성하며, 수직상 수직하방향의 버팀편(34)을 형성하여 벤틸레이터 그릴(6)에 끼움결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는 일예로서 예시도 4의 (a)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면에 이면지를 부착한 접착층(36)을 갖춘 사각형의 접착편(38)을 형성하고, 그 일측 상부에 'ㄱ'형 고리편(40)을 형성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5)에 임의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또다른 일예로서 예시도 5의 (a)에 표현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상측으로 굽혀진 굽힘고리(42)를 형성하고, 타측에 수평방향의 걸이홈(44)을 형성하여 헤드 레스트(46)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도 3과 도 4의 (b)와 도 5의 (b)에 표현된 바와 같이 포켓부(14)는 그 상측부(16)에 환형링(24)이 내설되어 있어 입구(26)가 원형을 이루고, 하측부(18)는 직선으로 마감처리 되어 좁아지는 즉, 단면상 상광하협의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 수납되는 소품은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걸이편(28)과 이탈방지편(30)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0)는 벤틸레이터 그릴(6)에 결합되며, 걸이편(28)의 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있어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고, 타측 단부에 형성된 호형걸이(32)에는 연결부(12)가 결합을 이루게 된다.(예시도 3)
상기 연결부(12)는 포켓부(14)의 입구(26)를 형성하는 환형링(24)에 형성된 고리(22)와 결합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고리(22)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홈의 내면이 호형을 이루고 있어 결합을 이루는 연결부(12)는 회동가능하여 포켓부(14)의 하측부(18)가 인스트루먼트패널(5)에 접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고정부(10)에는 수직하방향의 버팀편(34)이 형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5)에 지지되어 호형걸이(32)는 일정한 위치에 있게 되고, 따라서 호형걸이(32)에 걸려있는 연결부(12)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부(10)의 다른 일예로서 예시도 4의 (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접착편(38)과 'ㄱ'자 형의 고리편(4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접착편(38)의 밑면에 접착층(36)이 갖춰있어 인스트루먼트 패널(5)의 임의의 위치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설치하는데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부(10)는 예시도 5의 (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걸이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상방향의 굽힘고리(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켓부(14)와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12)가 굽힘고리 (44)에 걸리는 상태로 결합을 이루게 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걸이홈(44)이 시트의 상단부에 탈착가능 하도록 설치된 헤드 레스트(46)에 끼워지는 것으로 간단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10)의 형상에 따라 연결부(12)를 이용하여 포켓부(14)를 사용하는데 편리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소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정부(10)와 연결부(12) 및 고깔형상의 포켓부(14)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켓부(14)는 상측부(16)와 하측부(18)가 스판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그물형상의 망지(20)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추게 하고, 상측부(16)에는 일측으로 고리(22)를 갖춘 환형링(24)을 내설하여 입구(26)가 원형상을 이루며, 하측부(18)는 직선으로 마감처리 하여 포켓부(14)의 단면형상이 고깔형상을 이루게 함으로서, 수납하는 소품의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부(10)의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서, 임의적으로 인스트루먼트패널(5)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46)의 끼움봉에도 설치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편리한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정부(10)와 연결부(12) 및 고깔형상의 포켓부(14)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켓부(14)는 상측부(16)와 하측부(18)가 스판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그물형상의 망지(20)로 형성하여 통풍성을 갖추게 하고, 상측부(16)에는 일측으로 고리(22)를 갖춘 환형링(24)을 내설하여 입구(26)가 원형상을 이루며, 하측부 (18)는 직선으로 마감처리 하여 포켓부(14)의 단면형상이 고깔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10)는 수평상 일측으로 걸이편(28)과 이탈방지편 (30)을 상·하로 형성하고, 타측으로 호형을 이루는 호형걸이(32)를 형성하며, 수직상 수직하방향의 버팀편(34)을 형성하여 벤틸레이터 그릴(6)에 끼움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10)는 밑면에 이면지를 부착한 접착층(36)을 갖춘 사각형의 접착편(38)을 형성하고, 그 일측 상부에 'ㄱ'형 고리편(40)을 형성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5)에 임의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10)는 일측단이 상측으로 굽어진 굽힘고리(42)를형성하고, 타측에 수평방향의 걸이홈(44)을 형성하여 헤드 레스트(46)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는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KR2020010007744U 2001-03-21 2001-03-21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KR200236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744U KR200236280Y1 (ko) 2001-03-21 2001-03-21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744U KR200236280Y1 (ko) 2001-03-21 2001-03-21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280Y1 true KR200236280Y1 (ko) 2001-10-08

Family

ID=7309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744U KR200236280Y1 (ko) 2001-03-21 2001-03-21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2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9052A (en) Flexible cupholder
US7537258B2 (en) Multi-functional fastener system
US5791614A (en) Head rest mounted hanger
US7464984B1 (en) Automobile replacement grill
US7201424B1 (en) Seating accessory
US6550654B1 (en) Cargo net assembly
US20040164211A1 (en) Portable elbow support
US6394001B1 (en) Vehicle table apparatus
US5492260A (en) Garment support assembly
US5762245A (en) Trunk tray
US5967589A (en) Sun visor retention clip
JPH1035367A (ja) 車両用物品キャリヤ
KR200236280Y1 (ko) 자동차용 소품 수납포켓
US6494148B1 (en) Steering wheel attachable table
US4936491A (en) Retractable vehicle garment hanger
JP3133723U (ja) トレー
KR200272662Y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20230061078A1 (en) Attachment system for a seat covering
JPH0920164A (ja) 車両用座席
KR200412685Y1 (ko) 자동차시트용 네트
JPH0121070Y2 (ko)
JP2556016Y2 (ja) 車輛用内装部材の取付構造
JP3045214U (ja) Carテンスタンド
KR0138665Y1 (ko) 옷걸이가 부착된 자동차용 손잡이
KR200293779Y1 (ko)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