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838Y1 - 위장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위장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838Y1
KR200235838Y1 KR2020010007025U KR20010007025U KR200235838Y1 KR 200235838 Y1 KR200235838 Y1 KR 200235838Y1 KR 2020010007025 U KR2020010007025 U KR 2020010007025U KR 20010007025 U KR20010007025 U KR 20010007025U KR 200235838 Y1 KR200235838 Y1 KR 200235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lens
outside
camouf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Priority to KR2020010007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8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에서 타인이 카메라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위장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화상이 결상될 수 있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PCB 기판과; 상기 렌즈가 고정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볼 수 있는 반사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에서 타인은 카메라의 사용을 인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장용 카메라{Camera for disguise}
본 고안은 몰래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타인이 카메라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위장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촬상소자로 받아들여 영상화하고, 이러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 다음 그래픽화일로 만들어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전송하여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카메라가 타인이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위장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카메라의 사이즈를 점점 축소하여 왔다.
따라서, 현재에는 폭이 25mm이고 높이가 14mm가 되는 소형 카메라를 제작하는 단계까지 와있다.
그러나, 카메라의 사이즈가 아무리 축소되더라도 그의 외형을 보면 카메라라는 것이 인식되므로 위장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카메라를 벽면 등 위장체의 뒷면에 보이지 않게 설치하고 벽면에 관통된 구멍을 통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벽면 구멍에 일치시키는 카메라의 렌즈 구멍을 점점 작게 제작하여 이에 대응되는 벽면 구멍을 보다 축소함으로서 타인이 카메라의 설치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도 벽면 등 위장체에 구멍을 내어야 하고 이러한 위장체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인이 쉽게 인식할 수 없는 위장용 카메라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위장체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고, 휴대가 간편한 위장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위장용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로 본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반사판의 확대도이고,
도4는 적외선 LED를 장착한 본 고안의 위장용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렌즈
13 : 촬상소자 15 : PCB 기판
20 : 반사판 22 : 유리
24 : 금속 이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장용 카메라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화상이 결상될 수 있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PCB 기판과; 상기 렌즈가 고정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볼 수 있는 반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는 유리에 금속이온을 코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체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장용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적외선을 투사하는 적외선 LED를 더욱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위장용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로 본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반사판의 확대도이고, 도4는 적외선 LED를 장착한 본 고안의 위장용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면 외부에 설치되는 반사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는 렌즈(11)가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11)를 통하여 입사되는 화상이 결상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촬상소자(13)를 구비하는 PCB 기판(15)이 설치된다.
상기 렌즈(11)는 통상적으로 상기 하우징(1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PCB 기판(15)은 전선(29)을 통화여 외부와 연결된다.
상기 반사판(20)은 상기 렌즈(11)가 고정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볼 수 있도록 특수제작된 반사유리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반사판(20)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밖에서 안이 보이지 않지만 안에서는 밖이 훤히 보이는 반사유리와 같은 것으로서, 유리(22)에 금속 이온(24)으로 특수 코팅해 제작된다.
이와 같이 유리(22)의 한쪽 면을 금속 이온(24)으로 특수 코팅하여 빛의 투과율을 낮추고 반사율을 높이면 한쪽 편에서만 볼 수 있게 된다.
즉, 일반 유리는 가시 광선의 투과율이 최고 90% 정도가 되지만 한쪽 면을 금속 이온(24)으로 특수 코팅한 유리(22)는 코팅한 물질의 특성과 두께에 따라 투과율이 8%∼ 30% 정도까지 낮아진다.
이와 같이 빛의 투과율이 낮아지면 그만큼 빛의 반사율이 커지고 빛이 많이 반사되면 반대편이 보이지 않게 된다.
반대로 빛의 양이 적은 어두운 곳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양은 적기 때문에 밝은 쪽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반사판(20)을 사용하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지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는 외부를 잘 볼 수 있게 되어 카메라의 촬영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
물론 여기서 사용되는 반사판(20)의 재료는 유리(22)가 아니라 투명한 플라스틱 등에 금속이온(24)으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코팅에는 일반적으로 금속이 사용되는 데, 이때 사용된 금속 타켓의 종류와 코팅막의 두께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이 달라진다.
예컨대, 거울효과를 강조한 반사 유리의 경우에는 그 제작방식이 고진공 상태에서 아르곤, 질소, 산소가스를 주입하고 전기장을 이용하여 가스를 가속시키면 가스 이온들이 금속 타켓과 충돌하고 이때 금속 타켓에서 떨어져 나온 원자 상태의 작은 금속 입자가 유리면에 침투하여 코팅되게 하여 제작한다.
또한, 코팅의 또 다른 예로는 판유리 한쪽 면에 크롬, 철, 코발트 등의 금속 산화물을 직접 분사시켜 주는 열분해 방법인 파이로리틱 코팅 공법(pyrolytic coating process)이 있다.
이 밖에도 유리판의 한 쪽 면에 얇은 은(Ag)막을 코팅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금속이온(24) 코팅된 유리(22)를 본 고안의 상기 렌즈(11)가 고정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서 외부에서 볼 때에는 단순한 거울로 알게 되고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판(20)의 외면에는 갖가지 무늬를 그려 위장할 수도 있고,상기 렌즈(11)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다른 위장이 된 반사판(2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판(20)은 카메라 렌즈(11)와 접하는 부분만 상기와 같이 금속이온(24)이 코팅된 유리(22)로 하고 나머지는 위장 무늬가 그려진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반사판(20) 전체가 금속이온이 코팅된 유리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판(20)의 외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넣거나 그의 일부만 금속이온이 코팅된 유리로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반사판(20)이 제작될 수 있으므로 결국 카메라를 다양한 형태로 위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하우징(10)의 타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을 설치하여 휴대시 용이하게 상의의 주머니 등에 꼽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위장용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외부로 적외선을 투사하는 적외선 LED(40)를 더욱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야간에서 상기 적외선 LED(4)에서 투사된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위장용 카메라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촬상소자(13)로 받아들여 PCB기판(15)에서 영상화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다음 연결된 전선(29)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11)는 상기 반사판(20)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는 볼 수 없으므로 타인은 본 고안이 카메라인지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반사판(20)은 카메라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빛을 반사하도록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리(22)에 금속이온(24)이 코팅(24)되어 있으므로, 카메라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빛(a)의 대부분을 (b)와 같이 반사하고 빛의 일부인 (c)만 투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빛의 투과율을 낮추고 반사율을 높이면 외부에서 카메라 하우징(10) 내부를 볼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빛의 양이 적은 카메라 하우징(10) 내부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양도 적기 때문에 카메라 하우징(10) 외부를 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반사판(20)을 사용하면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지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는 외부를 잘 볼 수 있게 되어 카메라의 촬영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위장용 카메라는 타인이 쉽게 인식할 수 없고 반사유리 등으로 자체 위장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위장체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휴대하더라도 타인이 인지할 수 없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되는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화상이 결상될 수 있는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PCB 기판과;
    상기 렌즈가 고정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볼 수 있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위장용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유리에 금속이온을 특수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용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렌즈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만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용 카메라.
  4. 제1항에서 제3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위장용 카메라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적외선을 투사하는 적외선 LED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장용 카메라.
KR2020010007025U 2001-03-15 2001-03-15 위장용 카메라 KR200235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25U KR200235838Y1 (ko) 2001-03-15 2001-03-15 위장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25U KR200235838Y1 (ko) 2001-03-15 2001-03-15 위장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838Y1 true KR200235838Y1 (ko) 2001-10-08

Family

ID=7306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025U KR200235838Y1 (ko) 2001-03-15 2001-03-15 위장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8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78B1 (ko) 2016-06-07 2016-11-22 양종만 위장 렌즈가 구비된 감시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378B1 (ko) 2016-06-07 2016-11-22 양종만 위장 렌즈가 구비된 감시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3923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having camera and illumination device for camera
JP3948988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CA2171153A1 (en) Directable Decorative Lantern with Motion Sensor
EP1837920A1 (en) Infrared-transmitting cover
CN101971130A (zh) 光学指向装置及具有该光学指向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DE50210510D1 (de) Optisches element mit totalreflexion
CA2606501A1 (en) Gauge with illuminated dial and pointer
CN106813161A (zh) 一种发光组件及移动终端
KR200235838Y1 (ko) 위장용 카메라
CN108494897B (zh) 电子装置
CN111510522A (zh) 屏幕边框、显示屏模组和终端
EP0931697A3 (en) Lighting fixture equipped with reflex reflector, for vehicles
JP2000035347A (ja) メータ構造
US20060171156A1 (en) Lamp unit
CN104181607A (zh) 红外线反射镜
JP4459671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3607281B2 (ja) 携帯端末装置
JPH0328789A (ja) 光電センサ
CN2919296Y (zh) 应用于可携式电子装置的隐藏式光源
KR100860874B1 (ko) 카메라 모듈
JP2002100216A (ja) 車両用灯具
JP2595106Y2 (ja) 火災感知器の動作表示灯の保護カバー
JP3580113B2 (ja) 赤外線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188975U (zh) 一种多功能镜子
CN218768263U (zh) 一种物品储存智能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