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242Y1 -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 Google Patents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242Y1
KR200235242Y1 KR2020010006755U KR20010006755U KR200235242Y1 KR 200235242 Y1 KR200235242 Y1 KR 200235242Y1 KR 2020010006755 U KR2020010006755 U KR 2020010006755U KR 20010006755 U KR20010006755 U KR 20010006755U KR 200235242 Y1 KR200235242 Y1 KR 200235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terminal
wire
conn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일
여세현
Original Assignee
(주)고려건축설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건축설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고려건축설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06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242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공사용 압착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는 전선의 선단이 탈피된 부분을 삽입하여 압착하는 원통형의 압착부와, 원통형의 압착부를 통해 전기기구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원통형의 압착부에 삽입되고 연결부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구 형태의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부의 후단의 회전부를 구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전선의 연결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접속이 매끄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공사용 압착단자{Pressing Terminal for the electrical works}
본 발명은 압착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반, 개폐기 및 다른 전선과 접속할 때 연결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공사용 압착단자에 관한 것이다.
압착단자는 전기·전자 제품, 산업용 배전반 및 관련기기에 사용되는 데 부품과 부품, 부품과 전원 및 전선과 전선 등을 효과적으로 연결 접속하기 위하여 절연전선의 선단을 적당한 길이로 탈피 후 그 선단에 압착가공하여 사용된다.
초기에는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낸 후에 전선의 도체끼리 맞물려 엮은 다음 절연테이프로 마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방법은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건물 등에 전선을 배선할 때는 절연테이프를 최소한 6회 이상 감아 주어야 한다는 지침까지도 있는 형편이다.
이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압착단자의 경우는 사용 전선의 선단을 탈피하여 탈피된 통전부를 압착부에 삽입한 다음 압착부를 강하게 압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압착단자의 종류에는 도 1a의 R-타입, 도 1b의 CB-타입 및 도 1c의 Y-타입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착단자는 전선의 통전부를 압착시키는 압착부(11), 배전반 및 개폐기 등의 전기기구와 연결하는 연결부(12)로 구성된다. 연결부(12)는 전기기구와 접속되기 위해 연결구(13)를 가진다.
도 1a와 도 1b는 전기기구 등의 접속부(17)와 수직으로 맞추어져 나사 등의 조임기구(18)에 의해 접속되며, 도 1c는 전기기구 등의 접속부(17)에 걸치도록 하고 너트 등의 조임기구(18)에 의해 접속되게 된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고안에 따른 R-타입 동선용 압착단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압착단자를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압착단자를 옆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착단자는 전선의 선단이 탈피된 통전부(25)와, 탈피된 통전부(25)와 결합하여 압착하게 하는 압착부(21)와, 압착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전기기구에 접속되는 연결부(22)로 구성된다.
전선(24)은 압착단자의 압착부(21)와 평형하게 놓인다. 이렇게 놓여진 전선(24)의 선단을 탈피시켜 전선(24)의 통전부(25)가 드러나게 한다. 이 드러난 전선(24)의 통전부(25)는 압착단자의 압착부(21)에 밀려 들어가 결합된다. 이 때 압착부(21)의 크기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달라진다.
연결부(22)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압착부(21)는 삽입된 통전부(25)와 함께 펜치 또는 프레스 등의 압착기구에 의해 압착되어 결합된다.
이로써 압착단자와 결합된 전선(24)은 차단기와 개폐기의 접속부 및 연결될 다른 전선과 결합하여 전기를 계속 흐르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압착단자의 경우는 전선의 굵기가 작은 경우에는 다른 전선과 연결하는 데 별 무리가 없으나, 전선의 굵기가 큰 전선이 압착단자 및 전기기구와 결합할 때 다른 접속부와 연결하려할 때 서로 접속부분이 맞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접속부분을 서로 맞추려 할 때 시간적 손실이 있게 되고, 굵은 전선을 서로 연결할 때 전선을 돌리게 되므로 미관상에도 좋지않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착단자 내 압착부와 연결부를 분리하고 회전가능하게 회전구를 형성함으로써 분전반, 개패기 및 다른 전선과의 접속을 매끄럽게 하는 압착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선용 압착단자의 종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R-타입 압착단자의 구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의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압착단자를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압착단자를 옆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1,31 : 압착부 12,22,32 : 연결부
13,23,33 : 연결구 14,24,34 : 전선
25,35 : 통전부 36 : 회전부
17,27,37 : 접속부 18,28,38 : 조임기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는 전선의 선단이 탈피된 부분을 삽입하여 압착하는 원통형의 압착부와, 원통형의 압착부를 통해 전기기구의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원통형의 압착부에 삽입되고 연결부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구 형태의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는 원통형의 압착부와 회전부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공사용 압착단자는 배전반 및 개폐기 등의 전기기구의접속부(37)에 압착단자의 연결구(33)와 수직으로 대응되게 배치하고 너트와 나사 등의 조임기구(38)에 의해 접속되게 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는 사용되는 전선(34)의 용량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동 또는 동합금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착단자는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전선(34), 전선(34)의 선단이 탈피된 통전부(35), 탈피된 통전부(35)와 결합하여 압착하게 하는 압착부(31), 압착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전선(34)과 접속되는 연결부(32)및 압착부(31) 내에 삽입되고 연결부의 후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회전부(36)로 구성된다.
전선(34)은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 전선(34)의 용량, 굵기, 최대 부하량 등을 고려하여 알맞은 치수를 선정하게 되고, 통전부(35)는 전선(34)의 굵기에 따라 같이 변하게 되는데 전선(34)의 선단을 탈피하여 생성된다. 또한 연결부(32)는 연결 형태에 따라 R(Ring) 터미널, CB(Circuit Breaker) 터미널 및 Y(Spade) 터미널으로 구분되며 접속 형태 및 용도에 따라 달리 사용하며, 회전부(36)는 연결부(32)와 고정되게 연결되고 압착부(31) 내에 삽입되어 구 모양의 형태로 구성된다.
압착부(31)의 후단은 전선(34)이 탈피된 통전부(35)를 삽입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선단은 회전부(36)를 포함하도록 구 형태의 공간을 지니며, 회전부(36)가 연결부(32)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출구가 뚫려 있다.
압착부(31)와 연결부(32)와 연결되는 회전부(36)는 서로 독립 개체로 존재한다.
압착부(31)와 분리되고 구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36)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32)는 360도 회전가능하게 된다. 회전가능한 연결부(32)는 연결구(33)를 통하여 다른 전선에 연결된 압착단자, 배전반 및 개폐기 등의 접속부에 매끄럽게 접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압착단자는 연결부와 압착부를 분리하고 연결부의 후단을 회전가능하게 구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배전반 및 개폐기에 접속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쉽게 접속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전선과 결합하여 전기기구에 연결하는 압착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선(34)의 선단이 탈피된 부분을 삽입하여 압착하는 원통형의 압착부(31)와,
    상기 원통형의 압착부(31)를 통해 상기 전기기구의 접속부(38)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2)와,
    상기 원통형의 압착부(31)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32)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구 형태의 회전부(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6)는 상기 원통형의 압착부(31)와 분리되게 형성되고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2)는 링(Ring), 삽(Spade), 씨비(Circuit Break ; CB) 터미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KR2020010006755U 2001-03-13 2001-03-13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KR200235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55U KR200235242Y1 (ko) 2001-03-13 2001-03-13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55U KR200235242Y1 (ko) 2001-03-13 2001-03-13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242Y1 true KR200235242Y1 (ko) 2001-10-08

Family

ID=7306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55U KR200235242Y1 (ko) 2001-03-13 2001-03-13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8469C (en) Compression multi-tap 360 degree rotating connect/disconnect terminal
US20230187851A1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s
KR200235242Y1 (ko) 전기공사용 압착단자
JP4080207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
US75341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4547033A (en) Electrical tap connector
EP1004159B1 (en) A link switch
JP4203616B2 (ja) 開閉器の端子装置
KR200445019Y1 (ko) 단자대
US6252187B1 (en) Link switch
US7320627B2 (en) Deformable electrical connector
US6290511B1 (en) Grounding of snap switches in a wiring box
US6273764B1 (en) Double contact element
US20240162632A1 (en) Multi-pole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wire termination assemblies
JP2003111216A (ja) 住宅用分電盤
US8038469B2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2000032632A (ja) 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200159055Y1 (ko) 쇼트 방지용 부스바
AU730950B2 (en) A link switch
JPH05211085A (ja) 速結端子装置
CA2489538C (en) Field convertible tap-off unit
GB2301940A (en) An adaptor for a circuit breaker
JPS5939416Y2 (ja) 中継用接続端子
JP2000201405A (ja) ア―ス中継端子付住宅用分電盤
JPH0528870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