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55Y1 - 쇼트 방지용 부스바 - Google Patents

쇼트 방지용 부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55Y1
KR200159055Y1 KR2019960001710U KR19960001710U KR200159055Y1 KR 200159055 Y1 KR200159055 Y1 KR 200159055Y1 KR 2019960001710 U KR2019960001710 U KR 2019960001710U KR 19960001710 U KR19960001710 U KR 19960001710U KR 200159055 Y1 KR200159055 Y1 KR 200159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usbar
wire
breaker
shea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743U (ko
Inventor
손상철
Original Assignee
손상철
진흥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철, 진흥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상철
Priority to KR2019960001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55Y1/ko
Publication of KR970052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71/082Connections between juxtaposed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 이상의 버선용 차단기와 메인 누전 차단기를 연결시켜주는 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전기가 흐르는 도체부(20)와 상기 도체부(20)를 감싸는 절연피복부(18)를 구비하고, 일단부에는 일정한 길이 만큼 상기 피복부(18)가 절제되어 상기 도체부(22)가 노출되며, 다른 단부편에는 상기 피복부(18)가 절제된 다수개의 절제부가 형성된 한쌍의 피복 전선(14)과; 상기 피복 전선(14)의 절제부(22)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10)를 각각 연결시켜 주는 2개 이상의 단자(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쇼트 방지용 부스바는, 부스바의 설치 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이에 따른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수개의 연결 단자가 서로 이격되어 절연성이 개선되므로 쇼트등에 의한 안전 사고등이 예방된다.

Description

쇼트 방지용 부스바
본 고안은 메인 스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배선용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단자인 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에 가설되는 메인 스위치 박스는 하나의 메인 누전 차단기가 제공되고, 상기 메인 누전 차단기에는 다수개의 배선용 차단기가 연결되는데 이는 전등용, 전열용이거나, 또는 안방, 거실등에 분리되어 그 역할을 분담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에는 메인 누전 차단기(2), 복수개의 실내 배선용 차단기(1) 및 부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부스바는 한쌍의 피복전선(6)과 한쌍의 가공철편(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 철편(4)은 상기 배선용 차단기(1) 각각에 구성되고 있는 전선 삽입 구멍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필요한 갯수를 가공하여 돌설시킨 결합 단자(3)를 측면에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공 철편(4) 상부에 용접 또는 나사(5)등으로 상기 피복 전선(6)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 단자(3)를 상기 배선용 차단기(1)에 삽입시키고, 상기 피복 전선(6)의 다른 단부는 상기 메인 누전 차단기(2)에 형성된 전선 삽입 구멍내에 삽입시키므로서 상기 부스바의 장착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장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스바는, 그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일 뿐아니라, 한쌍의 가공 철편(4)과 피복 전선(6)을 각기 연결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또한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개별 전선들이 서로 접촉하여 쇼트(short)되거나, 노출된 상태로 배선된 피복 전선(6)의 일부가 체결공구 등에 의해 벗겨져 손상되는 경우에는 감전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스바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피복 전선에 형성된 절제부에 간단한 형상의 단자를 압착 연결시키므로써 설치 공정이 용이하고 원가 절감 및 절연성이 향상된 양질의 쇼트 방지용 부스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스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선용 차단기 12 : 메인 누전 차단기
14 : 피복전선 16 : 단자
18 : 피복부 20 : 도체부
22 : 절제부 24 : 삽지편
26 : 융기부
본 고안에 따른 쇼트 방지용 부스바로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2개 이상의 배선용 차단기와 메인 누전 차단기를 연결시켜 주는 부스바는, 전기가 흐르는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를 감싸는 절연 피복부를 구비하고, 일단부에는 일정한 길이 만큼 형성된 상기 피복부가 절제(切除)되어 상기 도체부가 노출되고, 다른 단부편에는 상기 단자의 수만큼 상기 피복부가 절제된 절제부가 형성된 한쌍의 피복 전선과; 상기 피복 전선의 절제부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를 각각 연결시켜 주는 2개 이상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삽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다른 단부는 상기 피복 전선의 절제부를 감싸서 압착 연결되도록 융기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부스바의 설치 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이에 따른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다수개의 연결 단자가 서로 이격되어 절연성이 개선되므로 쇼트등에 의한 안전 사고등이 예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다수개의 실내 배선용 차단기(10)를 메인 누전 차단기(12)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부스바는 피복 전선(14)과 연결 단자(16)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복 전선(14)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부(20)에 상기 도체부(20)를 감싸는 부도체인 절연 피복부(18)를 구비한다.
상기 피복 전선(14)과 상기 메인 누전 차단기(12)의 장착은 상기 피복 전선(14)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피복부(18)를 절제시킨 후 노출된 상기 도체부(20)를 상기 메인 누전 차단기(12)에 나사로 결합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복 전선(14)의 다른 단부편에는 상기 배선용차단기(10) 갯수의 2배에 해당하는 단자(16) 수만큼 상기 피복부(18)가 절제된 절제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배선용 차단기(10)의 갯수는 전기 용량이 클수록 많아지며, 일반적으로 3개, 5개, 7개가 사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복 전선(14)의 길이 및 단자(16)의 수는 늘어나게 된다.
상기 단자(16)는 상기 피복 전선(14)과 상기 배선용 차단기(10)를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 단자(16)의 일단부에 상기 배선용 차단기(1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삽지편(24)이 제공된다. 상기 단자(16)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피복 전선(14)의 절제부(22)를 감싸서 압착 연결되도록 반원의 융기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16)와 상기 체결부(22)의 압착 연결이 용이하도록 지그등을 이용하여 상기 절제부(22)를 형성시키고 상기 단자(16)와 상기 절제부(22)의 압착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장착에 의해, 부스바의 제작 및 설치 공정이 간단 용이하여 이에 따른 원가 및 생산 효율이 증대되어 생산량이 증가하고, 다수개의 연결 단자가 서로 이격되어 절연성이 개선되므로 쇼트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이 예방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청구의 범위 누락.
KR2019960001710U 1996-02-05 1996-02-05 쇼트 방지용 부스바 KR200159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710U KR200159055Y1 (ko) 1996-02-05 1996-02-05 쇼트 방지용 부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710U KR200159055Y1 (ko) 1996-02-05 1996-02-05 쇼트 방지용 부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43U KR970052743U (ko) 1997-09-08
KR200159055Y1 true KR200159055Y1 (ko) 1999-10-15

Family

ID=1945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710U KR200159055Y1 (ko) 1996-02-05 1996-02-05 쇼트 방지용 부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43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3049B2 (en) Modular electrical system
US4785378A (en)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FR2542912B1 (fr) Conducteur electrique multifilaire aisement connectable
KR200159055Y1 (ko) 쇼트 방지용 부스바
US4868981A (en) Method of making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KR20030043839A (ko) 조립식 분전반
CN211238125U (zh) 一种空气开关用接线端子
US6095848A (en) Electrical power outlet and switch
CA2133035A1 (en) Improved terminal block for small appliances
KR200445019Y1 (ko) 단자대
US6290511B1 (en) Grounding of snap switches in a wiring box
JP3682816B2 (ja) 中間端子付可撓バスバー
JP4676663B2 (ja) 住宅用分電盤
CN218300413U (zh) 一种新型多功能接地装置
CA2112517A1 (en) Safety Electrical Assembly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CN210167880U (zh) 一种电机定子引线的连接结构
CN210007054U (zh) 一种汇流排
KR200317638Y1 (ko) 플러그인 브러쉬장치
CN212626530U (zh) 一种新型配电箱元器件排布结构
JPH0110863Y2 (ko)
CN2186965Y (zh) 带端子的母排
KR200344556Y1 (ko) 가로형 분전반
JP2822746B2 (ja) 並列分岐コネクタ
JPH0316230Y2 (ko)
JP329963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ターミナル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