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139Y1 -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 Google Patents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139Y1
KR200235139Y1 KR2020010000283U KR20010000283U KR200235139Y1 KR 200235139 Y1 KR200235139 Y1 KR 200235139Y1 KR 2020010000283 U KR2020010000283 U KR 2020010000283U KR 20010000283 U KR20010000283 U KR 20010000283U KR 200235139 Y1 KR200235139 Y1 KR 20023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r
bearing
roller bearing
puller body
spherica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주
김형중
Original Assignee
팬아시아 페이퍼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아시아 페이퍼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아시아 페이퍼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0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139Y1/ko

Links

Landscapes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륜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는 롤러 사이에 끼워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그 단부가 베어링에 고정되도록 풀러몸체를 구성하고, 이 풀러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충격추를 통해 베어링에 충격을 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괴되거나 수명이 다한 베어링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가격판이 형성된 풀러몸체와, 이 풀러몸체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충격추와, 상기 풀러 몸체의 타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단부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Puller structure for removing spherical roller bearing}
본 고안은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러의 단부 형상을 변경하여 롤러와 롤러 사이에 끼워 풀러를 통해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하는 축을 지지하면서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베어링은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과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 구분하고, 축 표면과 베어링 내면과의 운동에 따른 분류로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과 롤러 베어링(rolling bearing)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상기 롤러 베어링은 롤러를 실린더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거나 2열 또는 3열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첨부도면 도 4는 이러한 여러가지 롤러 베어링 중에서 롤러가 2열로 배열된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100)은 원기둥 형상의 롤러(110)와, 이 롤러(110)가 2열로 배열되도록 외부에서 잡아 주는 외륜(120)과, 상기 롤러(110)열의 내부에 설치되어 축(200)을 지지해 주는 내륜(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외륜(120)은 내주면이 완곡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롤러(110)와 동일한 곡률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륜(130)은 외륜(120)과 반대되는 형태로 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2개의 곡면이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외륜(120)과 내륜(130)은 하나로 조합함에 따라 한쪽이 오목하고 다른 한쪽이 두번에 걸쳐 오목한 형태의 자리면(121)이 형성되며, 이렇게 대칭으로 형성된 상하 자리면(121)에 각각 상부 롤러(110a)와 하부롤러(111b)가 취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100)은 내륜(120)에 축(200)을 지지하게 되며, 사용중에 수명이 다하거나 롤러(110)나 외륜(120) 그리고 내륜(130) 중에서 어느 하나에 파손이 일어나게 되면 이를 교체하게 된다.
상기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100)의 교체는 특별한 탈거용 공구가 없어 슬리브 등을 베어링(100)의 외주에 대고 망치 등으로 가격하거나 베어링 표면에 바를 용접한 다음 오일 잭 등으로 가압하여 탈거하고 이와 반대 방법으로 새 베어링을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과 같은 방법으로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을 교체하는 경우 용접 등을 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불꽃에 의해 주변에 있는 오일이나 기름 등에 불이 붙어 발생되는 화재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바를 베어링에 용접하고 다시 이를 가압해야 하는 등 탈거 및 장착에 따른 작업 과정이 번거로워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륜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는 롤러 사이에 끼워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그 단부가 베어링에 고정되도록 풀러몸체를 구성하고, 이 풀러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 충격추를 통해 베어링에 충격을 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괴되거나 수명이 다한 베어링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가격판이 형성된 풀러몸체와, 이 풀러몸체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충격추와, 상기 풀러 몸체의 타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단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양 측면이 바깥쪽으로 구배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는 하부에 걸림턱이 돌출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고정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통상의 스페리컬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풀러몸체 11 : 가격판
12 : 충격추 13 : 손잡이
14 : 설치구멍 20 : 고정구
21 : 체결부 22 : 고정부
23 : 걸림턱 100 :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110 : 롤러 110a :상부 롤러
110b : 하부 롤러 120 : 외륜
130 : 내륜 200 : 축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면부호 10은 풀러몸체를 나타내고,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 동일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고안은 상기 풀러몸체(10)를 베어링(100)에 설치하고 이 풀러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충격추(12)를 이용하여 베어링(100)에 충격을 가해 베어링(100)을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풀러몸체(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에는 손잡이(13)가 구성되어 있고 그 아랫쪽에 가격판(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추(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풀러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강하게 슬라이딩 시킴에 따라 가격판(12) 또는 고정구(20)에 부딛히면서 슬라이딩 시키는 힘에 비례하여 충격량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풀러몸체(10)에는 역기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충격추(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중앙에 후술하게 될 고정구(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설치구멍(14)은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를 탈거한 다음 무게가 다른 여러 종류의 충격추(12)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풀러몸체(10)는 길이방향으로 충격추(12)를 끼우고 나서 그 단부에 고정구(20)를 체결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충격추(12)는 가격판(11)과 고정구(20) 사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20)는 풀러몸체(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 부분이 베어링(100)에 끼워져서 풀러 몸체(10)를 베어링(100)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고정구(2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술한 설치구멍(14)에 치합 고정되는 체결부(21)와, 이 고정부(21)의 하면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부(22)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22)는 롤러 베어링(100)의 롤러(110)와 롤러(110)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구(20)가 풀러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 풀러몸체(10)를 잡아 90°회전시킴에 따라 인접한 2개의 롤러(1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각도만큼 구배져 있다.
즉, 상기 롤러(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륜(120)과 내륜(130) 사이에 형성된 자리면(121)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1열씩 배치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고정부(22)는 이렇게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롤러(110) 사이에 끼워져서 풀러몸체(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내륜(130)의 외면을 가압하고 고정부(21)와 연결되는 부분이 외륜(120)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부(22)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양측면이 바깥쪽으로 구배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외륜의 곡면과 부품 사이의 쐐기 작용으로 전달력을 얻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2)는,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부재 형태로 제작하고, 그 양측면에 걸림턱(23)을 형성함으로써, 롤러와 롤러 사이의 쐐기 작용으로 전달력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고정구(20)는 풀러몸체(10)를 베어링(100)에 고정시켜 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풀러몸체(10)에 구비된 충격추(12)를 어느 한쪽으로 강하게 슬라이딩 시킴에 따라 가격판(11) 또는 고정구(20)에 충격을 가해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100)을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측에 가격판이 형성된 풀러몸체와, 이 풀러몸체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충격추와,이 풀러 몸체의 타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단부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풀러 몸체를 90°만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풀러몸체를 베어링에 고정시키고 충격추를 이용하여 베어링에 충격을 가해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2) 본 고안의 풀러를 베어링에 고정시켜 충격을 통해 베어링의 교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베어링을 교체하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가격판이 형성된 풀러몸체와,
    이 풀러몸체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충격추와,
    이 풀러 몸체의 타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단부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양 측면이 바깥쪽으로 구배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는 하부에 걸림턱이 돌출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KR2020010000283U 2001-01-05 2001-01-05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KR20023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83U KR200235139Y1 (ko) 2001-01-05 2001-01-05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83U KR200235139Y1 (ko) 2001-01-05 2001-01-05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139Y1 true KR200235139Y1 (ko) 2001-09-25

Family

ID=7309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283U KR200235139Y1 (ko) 2001-01-05 2001-01-05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1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2389A (en) Connection between a first member and a bore in a second member
US4934170A (en) Fatigue life enhancement of noncircular openings
JP5822940B2 (ja) チゼルホルダ、並びに当該チゼルホルダ及びベース部を具備するチゼルホルダシステム
US20090106963A1 (en) Kingpin bushing installation tool
KR100532634B1 (ko) 환형부를 균열 분할하는 방법
CA1142987A (en) Oscillating bearing
JPH11173334A (ja) 保持器付ころ軸受
GB2156935A (en) Apparatus for stressing fastener shanks
KR20120056219A (ko) 나사형 섕크의 단부에 리세스를 구비한 고정 부재, 수형 요소, 및 이러한 수형 요소를 포함하는 핸들링 공구 및 게이지
US3934443A (en) Peening tool
JPH0390793A (ja) 迅速着脱ビット装置
KR200235139Y1 (ko)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 탈거용 풀러 구조
US4077235A (en) Bearing arrangement for universal joints
EP0048282A1 (en) Nib for bolt head or nut forming tool
RU2289486C2 (ru) Роликовое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223814B2 (ja) クランク軸用軸受装置
US5604967A (en) Dowel extraction device
US4138780A (en) Tool for removing and inserting bolts in connecting rods
CN211175028U (zh) 一种带有可更换耐磨接触区的球轴承
US4176439A (en) Tool for removing and inserting bolts in connecting rods
US6434992B1 (en) Fillet rolling support roller
ES2296455B1 (es) Dispositivo de superacabado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KR200198329Y1 (ko) 볼 이탈방지형 스러스트 볼베어링 리테이너
JP2507054Y2 (ja) 伝熱管挿入治具
KR200236512Y1 (ko) 롤러 베어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