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884Y1 -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884Y1
KR200234884Y1 KR2020010006789U KR20010006789U KR200234884Y1 KR 200234884 Y1 KR200234884 Y1 KR 200234884Y1 KR 2020010006789 U KR2020010006789 U KR 2020010006789U KR 20010006789 U KR20010006789 U KR 20010006789U KR 200234884 Y1 KR200234884 Y1 KR 200234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cover
present
drawing devi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현
한영현
Original Assignee
연규현
한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현, 한영현 filed Critical 연규현
Priority to KR2020010006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884Y1/ko

Links

Landscapes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한 개의 본체에 철판드로잉, 수직·수평 펀칭, 트리밍과 나사전조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며 행동반경의 조정이 쉽고 고장발생시 수리와 정비가 용이한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체에 유압발생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수단과, 드로잉 전용기에 의해 4단계의 순차적인 드로잉 작업이 되도록 하여 가공중 터짐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소요되는 드로잉력을 최소화 하는 수단과, 펀칭부를 형성하여 각종 구멍과 결합되는 체결구를 가공하는 수단과, 나사전조부에 의해 드로잉된 몸체 커버를 최종 트리밍 가공과 다이스에 의해 완전한 컵형상태를 완성하고 외경나사를 전조 가공하는 수단을 한 개의 본체 위에 구성시키게 되므로 작업의 능률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Automatic drawing device of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한 개의 본체에 철판드로잉, 수직 ·수평 펀칭, 트리밍과 나사전조 작업을 동시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며 행동반경의 조정이 쉽고 고장발생시 수리와 정비가 용이한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록(Door Lock)은 보통 여닫이식 문짝에 설치되는 것으로, 손잡이의 기능 및 도어를 잠그도록 하는 자물쇠의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이 있는 도어 록의 몸체 커버는 1.2mm 두께의 냉간 압연 강판을 주재료로 드로잉(drawing)을 하여 모양을 성형하고 수직과 수평의 여러 가지 구멍과 홈을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도어 록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나사를 가공하여야 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많은 생산업체가 있고 각 생산업체에서 가공한 부품들을 조립하여 최종 판매자의 상표를 붙이는 방식의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제품들의 생산업체의 규모는 영세하여 시설을 현대화 또는 자동화시키고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여력이 전혀 없어 낡은 시설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은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생산방식으로 만 제조하여 원가를 낮추고 있는 단점이 있다.
현재의 생산 방식은 구형 C-Frame Power Press를 사용한 단동 프레스 가공으로, 프레스 1대에 작업자 한 명씩 붙어서 작업하는 방식으로 먼저 제 1공정의 블랭킹 작업, 제 2공정의 1차 드로잉 작업, 제 3공정의 재 드로잉 작업, 제 4공정과 제 5공정의 재 드로잉 작업, 제 6공정의 수직 피어싱 작업, 제 7공정의 수평 피어싱 작업, 제 8공정의 트리밍 작업, 제 9공정의 나사 전조가공 작업 방식으로 이루어 지므로 많은 작업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공정에서 만들어진 부품을 다시 한 곳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조립 시켜야 하는 관계로 인하여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의 프레스 작업공정 설명과 같이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광전자 장치, 안전 스위치 장치 등의 보호장치가 전혀 있지 않아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된채로 작업을 하고 있으므로 크고 작은 산업재해의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체에 철판 드로잉, 수직·수평 펀칭, 트리밍과 나사전조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하고 작업의 행동 반경이 작아 조정이 쉽고 고장발생시 수리와 정비가 용이한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유압발생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수단과, 드로잉 전용기에 의해 4단계로 순차적인 드로잉 작업이 되도록 하여 가공중 터짐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소요되는 드로잉력을 최소화 하는 수단과, 펀칭부를 형성하여 각종 구멍과 결합되는 체결구를 가공하는 수단과, 트리밍과 나사전조부에 의해 드로잉된 몸체 커버를 최종 다듬질하여 완전한 컵형상태를 완성하고 외경나사를 전조 가공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드로잉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드로잉부에 의해 가공되는 상태의 도어 록커버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수직 펀칭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인 수직 펀칭부에 의해 가공된 도어 록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인 수평 펀칭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인 수평 펀칭부에 의해 가공된 도어 록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요부인 나사전조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나사전조부에 의해 가공된 도어 록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프레임
12. 커버 13. 상부금형
14. 하부금형 15. 펀치
16. 실린더 17. 로드
18. 연결대 19. 다이스
20. 수평펀칭부 21. 수직펀칭부
22. 나사전조부 23. 드로잉부
24. 체결구 25. 샤프트
26. 풀리 27. 패드
본 고안은 본체에 4단계의 모듈화된 각 공정의 전용기를 형성하고 이를 단계적 작동시켜 도어 록의 몸체 커버 드로잉 작업을 대량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드로잉 전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드로잉 전용기에 의해 가공되는 상태의 도어 록이고, 도 6은 본고안의 요부인 수직 펀칭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인 수직 펀칭부에 의해 가공된 도어 록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인 수평 펀칭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인 수평 펀칭부에 의해 가공된 도어 록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요부인 나사전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나사전조부에 의해 가공된 도어 록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어 록의 몸체 커버의 주재료인 1.2mm의 냉간 압연 강판을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재료를 도 4에 도시된 드로잉부(23)에 유입시키면 유압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패드(27)와 연결된 상부금형(13)이 하행정 하면서 제품의 소재를 눌러 드로잉(drawing)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계속적인 4단계 드로잉 작업이 순차적으로 계속 이어지면서 도어 록 몸체 커버(12)의 외형 모습이 도 5와 같은 형태로 완성하게 된다.
상기의 작업은 각 패드(27)와 연결된 금형이 단계별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력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 드로잉된 커버(12)를 다시 수직 펀칭부(20)로 이동시키면 실린더(16)가 작동하면서 펀치(15)를 하행정시켜 커버(12) 표면을 펀칭(punching)하여 체결구(24)를 형성시킨다.
상기 커버(12)에 형성된 체결구(24)는 도어 록의 구성요소인 볼형손잡이(미도시됨)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수직 펀칭작업이 종료되면 바로 수평 펀칭부(21)로 이동되고 또다른 실린더(16)와 펀치(15)의 작용으로 인해 커버(12)에 또 다른 체결구(24)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체결구(24)에는 도어 록의 구성요소인 잠금돌기(미도시됨)가 조립된다.
한편, 상기 펀칭 작업을 마친 도어 록 커버(12)는 자동으로 트리밍 작업이 진행 되면서 가공된 커버(12)의 불필요한 테두리 등을 마무리하여 제품을 깨끗이 정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나사전조부(22)에 의해 도어록 커버(12)의 특정부위에는 외경나사가 전조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된 철판을 드로잉부(23)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드로잉부(23)에 조립된 패드(27)는 순차적으로 4단계로 작동하면서 커버(12)의 외형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12)는 다시 수직펀칭부(20)와 수평펀칭부(21)로 이동되어 실린더(16)에 고정된 펀치(15)의 작동에 의해 커버(12) 표면에는 체결구(24)가 형성된다.
한편, 체결구(24)가 형성된 상기 커버(12)는 다시 나사전조부(22)로 이동되고 다이스(19)에 의해 커버(12)의 끝단 외경은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커버(12)는 샤프트(25)에 결착되고 풀리(26)의 회전으로 샤프트(25)가 회전되면서 실린더(16)에 고정된 다이스(19)에 의해 상기 커버(12) 끝단부에 전조나사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의 작업이 완료되면 바로 트리밍(trimming) 가공으로 생산된 제품의 불필요한 테두리 등을 잘라내거나 따내어 제품을 깨끗히 정형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체(10) 표면에 고정된 드로잉부(23), 수직펀칭부(20), 수평펀칭부(21), 나사전조부(22)등의 4단계의 모듈화된 각 공정 전용기에 의해 단계적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전용기에 설치된 각 실린더들이 회전운동과 상하운동을 할 때 스트로크 변동에 따른 간섭과 충돌이 생기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기의 크기가 최소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10공정으로 제작되던 제품을 표준화된 전용기에 의해 4단계의 공정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을뿐 아니라, 상기 전용기의 설치와 조립이 용이하고 복잡한 기구적인 운동에서 행동반경의 조정이 자유로운 특징과 함께 고장발생시 정비와 교체가 간단하고, 또한 그룹화된 각 전용기를 동일한 한 개의 본체 위에 구성시키게 되므로 작업의 능률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듈화된 각 공정의 전용기를 형성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작동시켜 도어 록의 몸체 커버 드로잉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에 있어서,
    제품 소재를 4단계의 드로잉 공정을 통하여 하나의 도어 록 커버의 외형을 형성하는 드로잉부와;
    상기 드로잉 공정을 마친 도어 록 커버 표면에 실린더와 펀치의 작용으로 다수의 체결구를 형성시키는 수직·수평의 펀칭부와;
    상기 펀칭 공정에 의해 체결구가 형성된 도어 록 커버는 다이스의 트리밍 가공에 의해 커버의 끝단에 수나사의 형성과 함께 상기 커버의 테두리를 깨끗하게 형성시키는 나사전조부를 본체에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KR2020010006789U 2001-03-13 2001-03-13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KR200234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89U KR200234884Y1 (ko) 2001-03-13 2001-03-13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89U KR200234884Y1 (ko) 2001-03-13 2001-03-13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884Y1 true KR200234884Y1 (ko) 2001-10-08

Family

ID=7309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89U KR200234884Y1 (ko) 2001-03-13 2001-03-13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023B1 (ko) 프레스기계의 운전방법과 그 서어보 제어장치
KR200234884Y1 (ko) 도어 록의 자동 드로잉 장치
CN108097797A (zh) 一种电动机安装壳制备方法
CN201205576Y (zh) 可改变加工程序的连续模具结构
CN111229911A (zh) 一种同时加工多凹点模具装置
CN204867036U (zh) 一种转塔式凹模座
CN205324452U (zh) 小孔冲压模具
JPH06126350A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CN215392134U (zh) 一种铜棒阶梯上料装置
CN209077969U (zh) 一种接线暗盒加工机床的冲料模组
CN209078248U (zh) 一种接线暗盒加工机床的成型模组
CN209078249U (zh) 一种接线暗盒加工机床
CN207172804U (zh) 一种数控液压卧式双排冲
US7222764B2 (en)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an intermittent feeding of a strip shaped blank to a press
CN205732501U (zh) 一种导板式冲孔模
CN201832898U (zh) 一种销轴切面加工模具
CN109262092A (zh) 一种接线暗盒加工机床的冲料模组
CN213916322U (zh) 一种模具加工用的立式铣床
CN209078250U (zh) 一种接线暗盒加工机床的冲孔和攻丝模组
CN216911874U (zh) 一种模具打开装置
CN217858234U (zh) 用于折边机的模具维修辅助机构
CN219851660U (zh) 侧冲防卡废料机构
CN217831704U (zh) 一种模具钢锻材锻造成型装置
CN219211331U (zh) 一种异形板冲压模
CN218019945U (zh) 一种顶出导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