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422Y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422Y1
KR200234422Y1 KR2019970027969U KR19970027969U KR200234422Y1 KR 200234422 Y1 KR200234422 Y1 KR 200234422Y1 KR 2019970027969 U KR2019970027969 U KR 2019970027969U KR 19970027969 U KR19970027969 U KR 19970027969U KR 200234422 Y1 KR200234422 Y1 KR 200234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ressure bobbin
pressure
low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759U (ko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27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42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FBT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압보빈과 이에 결합되는 저압보빈의 고압 출력부 사이의 절연거리를 유효하게 확보할수 있도록한 고압보빈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저압보빈(4)이 삽입되는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 상부 주연으로 가이드 돌턱(8)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 돌턱(8) 일측인 터미널 단자부(6)의 하측으로 계단형 돌기(9) 및 일자형 절연돌기(7)가 순차로 설치되어 저압보빈(4)과 고압보빈(1)의 권선코일(10)간 절연거리를 확보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따라서, 고압보빈의 내측에 저압보빈의 결합시 고압보빈 고압 출력부의 절연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토록 함은 물론, 상기 고압보빈의 고압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아아크의 발생을 방지시킬수 있는것이다.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본 고안은 TV 및 모니터의 브라운관 등에 고전압을 공급하여 주는 고전압 발생장치인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이하 "FBT"라함)에 있어서, 상기 FBT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압보빈과 이에 결합되는 저압보빈의 고압 출력부 사이의 절연거리를 유효하게 확보할수 있도록한 고압보빈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저압보빈이 삽입되는 고압보빈의 보빈 삽입홀 상부 주연으로 가이드 돌턱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 돌턱 일측인 터미널 단자부의 하측으로 계단형 돌기 및 일자(一)형 절연돌기를 설치하여 저압보빈과 고압보빈 권선코일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토록 함으로 인하여, 고압보빈의 내측에 저압보빈의 결합시 고압보빈 고압 출력부의 절연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토록 함은 물론, 상기 고압보빈의 고압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아아크의 발생을 방지시킬수 있도록한 FBT의 고압보빈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종래의 FBT 고압보빈과 이에 결합되는 저압보빈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터미널핀(53)이 설치되는 고압보빈(51)의 중앙에 보빈 삽입홀(52)이 형성되어 저압보빈(54)의 코일 권선부(55)가 내삽 고정토록 되어 고전압을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같은 FBT 고압보빈의 고압 인출부 구조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압보빈(51)의 고압 인출부인 터미널핀(53)이 삽설되는 단자부(56) 하측으로 일자형 절연돌기(57)가 돌설되어 고압보빈(51)의 보빈 삽입홀(52) 내측으로 삽입되는 저압보빈(54)과 절연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압보빈(51)의 고압 인출부인 단자부(56)의 터미널핀(53)에 권선되는 권선코일(57)에서 발생되는 아아크의 누설에 의해 상기 절연돌기(57)를 타고 저압보빈(54)에 유입되어 숏트발생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아아크 누설에 따른 제품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압보빈의 내측에 저압보빈의 결합시, 고압보빈의 고압 출력부 절연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고압 출력부의 아아크 누설로 인한 숏트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은 물론, 상기 고압보빈의 고압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아아크를 가이드 돌턱 및 게단형 돌기, 절연돌기를 통하여 확실하게 차단시키며, 이에따라 제품 자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FBT의 고압보빈 절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FBT의 고압보빈 및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 시도.
도 2는 종래의 고압보빈 고압 인출부의 요부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FBT 고압 및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구 조도.
도 4는 본 고안인 고압보빈의 고압 인출부의 요부 구조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고압보빈 고압 인출부의 요부 측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고압보빈 2...보빈 삽입홀
3...터미널핀 4...저압보빈
5...코일 권선부 6...터미널 단자부
7...절연돌기 8...가이드 돌턱
9...계단형 돌기 10...권선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저압보빈이 삽입되는 고압보빈의 보빈 삽입홀 상부 주연으로 가이드 돌턱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 돌턱 일측인 터미널 단자부의 하측으로 계단형 돌기 및 일자형 절연돌기를 설치하여 저압보빈과 고압보빈 권선코일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FBT의 고압보빈 절연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FBT 고압 및 저압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고압보빈의 고압 인출부의 요부 구조도로서, 다수의 터미널핀(3)이 설치되는 고압보빈(1)의 중앙에 보빈 삽입홀(2)이 형성되어 저압보빈(4)의 코일 권선부(5)가 내삽 고정토록 되어 고전압을 인출토록 하며, 상기 고압보빈(1)의 고압 인출부인 터미널핀(3)이 삽설되는 일측 단자부(6)의 하측으로 일자형 절연돌기(7)가 돌설된다.
또한, 상기 저압보빈(4)이 삽입되는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 상부 주연으로 가이드 돌턱(8)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 돌턱(8) 일측인 터미널 단자부(6)의 하측으로 계단형 돌기(9) 및 일자형 절연돌기(7)가 순차로 설치되어 저압보빈(4)과 고압보빈(1)의 권선코일(10)간 절연거리를 확보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터미널핀(3)이 설치되어 고압을 인출하는 고압보빈(1)의 중앙으로 보빈 삽입홀(2)이 형성되어 이에 저압보빈(4)의 코일 권선부(5)가 내삽 고정토록 됨으로써, 코일간의 유기전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압보빈(1)의 고압 인출부인 터미널핀(3)이 삽설되는 일측 단자부(6)의 하측에는 상기 고압 인출부의 누설 아아크를 차단할수 있도록 일자형 절연돌기(7)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고압보빈(1)의 고압 인출부로 부터 발생되는 아아크의 누설에 따른 인접 저압보빈(4)과의 절연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아아크 방전을 차단시킬 경우에는, 상기 저압보빈(4)이 삽입되는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 상부 주연으로 호형 가이드 돌턱(8)을 돌출 설치하여 고압보빈(1)의 터미널핀(3)과 보빈 삽입홀(2)내에 삽입되는 저압보빈(4)의 코일 권선부(5)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에 형성된 가이드 돌턱(8) 일측인 터미널핀(3)이 삽설된 터미널 단자부(6)의 하측으로 계단형 돌기(9) 및 일자형 절연돌기(7)가 순차로 설치되어 저압보빈(4)과 고압보빈(1)의 터미널핀(3)에 권선된 권선코일(10) 사이의 절연거리가 확보되도록 한다.
이에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 상부 주연의 가이드 돌턱(8)과, 상기 가이드 돌턱(8) 일측인 터미널핀(3) 하측으로 설치되는 계단형 돌기(9) 및 일자형 절연돌기(7)에 의해 고압보빈(1)의 고압 인출부인 터미널핀(3)으로 부터 발생되는 고압의 누설에 따른 아아크가 완벽하게 차단되어 부품간의 숏트발생을 방지할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BT 고압보빈의 절연구조에 의하면, 고압보빈의 내측에 저압보빈의 결합시, 고압보빈의 고압 출력부 절연거리를 유효하게 확보하여 고압 출력부의 아아크 누설로 인한 부품간의 숏트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함은 물론, 상기 고압보빈의 고압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아아크를 고압보빈에 설치되는 가이드 돌턱 및 게단형 돌기, 절연돌기를 통하여 확실하게 차단시키며, 이에따라 제품의 불량을 예방하면서 신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의 터미널핀(3)이 설치되는 고압보빈(1)의 중앙에 보빈 삽입홀(2)이 형성되어 저압보빈(4)의 코일 권선부(5)가 내삽 고정토록 되어 고전압을 인출토록 하며, 상기 고압보빈(1)의 고압 인출부인 터미널핀(3)이 삽설되는 일측 단자부(6)의 하측으로 일자형 절연돌기(7)가 돌설되는 FBT의 고압보빈 절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압보빈(4)이 삽입되는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 상부 주연으로 가이드 돌턱(8)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 돌턱(8) 일측인 터미널 단자부(6)의 하측으로 계단형 돌기(9) 및 일자형 절연돌기(7)가 순차로 설치되어 저압보빈(4)과 고압보빈(1)의 권선코일(10)간 절연거리를 확보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보빈(4)이 삽입되는 고압보빈(1)의 보빈 삽입홀(2) 상부 주연으로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 돌턱(8)은, 원호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그 상측 터미널핀(3)과 보빈 삽입홀(2)내에 삽입되는 저압보빈(4)의 코일 권선부(5)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KR2019970027969U 1997-10-09 1997-10-09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KR200234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69U KR200234422Y1 (ko) 1997-10-09 1997-10-09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69U KR200234422Y1 (ko) 1997-10-09 1997-10-09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59U KR19990014759U (ko) 1999-05-06
KR200234422Y1 true KR200234422Y1 (ko) 2001-11-16

Family

ID=5389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969U KR200234422Y1 (ko) 1997-10-09 1997-10-09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4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1661B (zh) 2009-05-26 2011-12-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59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42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JP3582864B2 (ja) トランス
KR100206373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동기케이블 결합장치
KR0113738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저압보빈 단자핀 결합구조
KR100344629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KR200234423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다이오드홀더 리드 접속편구조
KR930004824Y1 (ko) Fbt의 저압 보빈
CN214254089U (zh) 防高压侧线圈绕组的起始线被击断的绝缘骨架及变压器
JPS6218016A (ja) トランス
KR20015389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권선코일 걸림돌기
KR0137025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동기케이블 결합장치
KR20023441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터미널 단자부
KR013702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동기 케이블 결합장치
KR100411257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KR100352486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결합장치
KR0140581Y1 (ko)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KR100388599B1 (ko) 일체형 보빈을 갖는 에프비티
KR200160073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고압 커패신터(capacitor)연결구조
KR19990023266U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장치
JP200115593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用ボビン
KR930007137Y1 (ko) Fbt의 고압보빈과 다이오드홀더의 결합구조
KR200179115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고압보빈 유동방지 장치
KR200223360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코일 걸림돌기구조
KR200237711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고압커패시터단자핀결합구조
KR200156839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일체형 보빈에서 저압코일 인출유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