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581Y1 -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 Google Patents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81Y1
KR0140581Y1 KR2019960024940U KR19960024940U KR0140581Y1 KR 0140581 Y1 KR0140581 Y1 KR 0140581Y1 KR 2019960024940 U KR2019960024940 U KR 2019960024940U KR 19960024940 U KR19960024940 U KR 19960024940U KR 0140581 Y1 KR0140581 Y1 KR 0140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in
pressure bobbin
coil
groov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434U (ko
Inventor
남대희
Original Assignee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두칠
Priority to KR2019960024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58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만들기 쉽고 입력핀의 설치공정이 간단하며 조립공정중 입력핀이 휘어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적은 고압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압보빈은 몸체(30a)의 측단면에 소정경로를 따라 형성된 홈 및 홈(35)에 삽입 고정되어 일측은 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몸체(30a)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입력핀(3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고압보빈 사출시 금형에서 인써트 사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이 까다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형 제작도 쉽고 코일이 감기는 부분의 입력핀이 반경방향으로 돌출 되게 배치되어 있지 않아 주위물체와 부딪혀 휘어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입력핀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고 입력핀이 견고하게 고정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력핀이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보빈
[기술 분야]
본 고안은 텔레비전 등의 브라운관에 고전압을 공급하여 주는 고전압 발생장치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TV 등 화상출력장치에는 고압발생용 변환기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romer)가 사용된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편향요크와 함께 음극선관(CRT)에 연결되어져 고전압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고압 발생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몰드케이스, 저압보빈, 고압보빈, 코어, 포커스 팩 등으로 이우러져 있으며, 고전압의 전류가 발생되므로 자체의 고압에 따른 절연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에는 저압보빈과 접속되는 입력핀이 설치된다.
제1도는 종래의 고압보빈에서의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2도는 제1도 입력핀이 설치되는 부근의 고압보빈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는 고압보빈(10)이 도시되어 있고, 고압보빈(10)의 내부에는 저압보빈(20)이 삽입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보빈(10)의 외주면에는 코일(12)이 감겨져 있고, 소정 간격으로 다이오드 지지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압보빈(10)의 일측 끝단에는 지지단(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단(16)에 입력핀(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입력핀(18)의 설치상태는 제2도를 보면 상세히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18)의 일측 끝단으로는 코일(12)이 감겨져 연결되어 있는데, 감겨진 코일(12)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납땜을 하여야 한다. 이 입력핀(18)은 저압보빈(20)의 핀지지대(22)에 끼워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압보빈에서는 입력핀을 고압보빈 사출시 금형에서 인써트 사출하여 고정하였는데, 작업 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금형 제작도 힘들다. 또한, 코일이 감기는 부분의 입력핀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어 코일을 감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주위물체와 부딪혀 핀이 휘어지거나 파손되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만들기 쉽고 입력핀의 설치공정이 간단하며 조립공정중 입력핀이 휘어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적은 고압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고압보빈에서의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 입력핀이 설치되는 부근의 고압보빈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압보빈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a : 몸체 31 : 빈공간
32 : 다이오드 지지대 34 : 제1지지대
35 : 홈 36 : 입력핀
36a :고정부 36b : 접속부
36c : 코일 연결부 38 : 제2지지대
39 : 관통공
본 고안의 목적은 저압보빈을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의 몸체를 구비하는 고압보빈에 있어서, 몸체의 측단면에 소정 경로를 따라 형성된 홈 및 홈에 삽입 고정되어 일측은 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입력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보빈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압보빈을 나타낸 도면으로, 보는 방향에 따라 제3a도~c도에 각가 도시되어 있다. 제3a도는 평면 모습을, 제3b도는 우측면 모습을, 제3c도는 정면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제3도 고압보빈(300은 내부에 저압보빈이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31)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30a)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몸체(30a)의 외부면에는 코일이 감겨지게 되며, 소정 간격으로 다이오드 지지대(32)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30a)의 일측 끝단에는 제1지지단(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지지단(34)의 측단면에는 소정 경로를 따라 굴곡되게 홈(35)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홈(35) 형태로 절곡된 부분을 갖는 입력핀(36)이 삽입고정되어 있다. 즉, 홈(35)은 입력핀(36)을 끼워맞춤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지지단(34) 부근에는 제2지지단(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지지단(38)은 대략 ㄱ자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관통공(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9)으로 입력핀(36)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다.
즉,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핀(36)은 소정 형태로 절곡 되어 홈(35)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6a)와 고정부(36a)에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어 몸체(30a)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속부(36b) 및 몸체(30a)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이 연결되는 코일 연결부(36c)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핀(36)의 코일 연결부(36c)는 제1, 제2도에서와는 달리 대략 몸체(30a)의 원주방향쪽으로 꺾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작업시 여타의 부분과 부딪혀 코일과의 연결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적다.
제3도 고압보빈(30)에서 입력핀(36)의 설치순서는 먼저 입력핀(36)의 접속부(36b) 를 관통공(39)에 삽입한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충분히 밀어 올린다. 그런 다음 입력핀(36)을 회전시켜 고정부(36a)가 홈(35)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고정부(36a)를 눌러 홈(35)에 삽입되도록 한다. 입력핀(36)이 충분히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 연결부(36c)에 코일을 감고 납땜을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고압보빈은 입력핀을 고압보빈 사출시 금형에서 인써트 사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이 까다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형 제작도 쉽다. 또한 코일이 감기는 부분의 입력핀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지않아 주위물체와 부딪혀 핀이 휘어지거나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입력핀의 고정작업이 간단하고 입력핀이 견고하게 고정된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저압보빈을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기는 원통형의 몸체를 구비하는 고압보빈에 있어서, 상기 몸체(30a)의 측단면에 소정 경로를 따라 형성된 홈(35); 및 상기 홈(35)에 삽입 고정되어 일측은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은 절곡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입력핀(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보빈.
KR2019960024940U 1996-08-20 1996-08-20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KR0140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940U KR0140581Y1 (ko) 1996-08-20 1996-08-20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940U KR0140581Y1 (ko) 1996-08-20 1996-08-20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434U KR19980011434U (ko) 1998-05-25
KR0140581Y1 true KR0140581Y1 (ko) 1999-05-15

Family

ID=1946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940U KR0140581Y1 (ko) 1996-08-20 1996-08-20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5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434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873Y1 (ko) 편향요크
KR0140581Y1 (ko)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KR0140582Y1 (ko)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KR100206373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동기케이블 결합장치
KR20010110595A (ko)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을 접속하는 입력핀
KR200162734Y1 (ko) 고압보빈의 abl핀 고정구조
KR100352486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결합장치
KR0140585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포커스 단자 구조
KR950002606Y1 (ko) Fbt에서 고압케이블과 수축튜브의 결합구조
KR013321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와이어 결합장치
KR200209829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캡 결합구조
KR200142312Y1 (ko) 걸림돌기 형상을 개선한 저압보빈
KR200251281Y1 (ko) 포커스팩의 입력핀 구조
KR200157888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고전압 인출부 구조
KR01405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저압 보빈
KR20015207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어 고정 구조
KR19990037567U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및 저압보빈 절연구조
KR100286802B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결합장치
KR19980026765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4578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100213377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동기케이블 결합장치
KR0140589Y1 (ko) 포커스 팩의 입력 단자 결합구조
KR960008020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에폭시 주입용 고정봉
KR0121526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고압보빈과 다이오드의 결합장치
KR200176186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