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629B1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629B1
KR100344629B1 KR1020000049147A KR20000049147A KR100344629B1 KR 100344629 B1 KR100344629 B1 KR 100344629B1 KR 1020000049147 A KR1020000049147 A KR 1020000049147A KR 20000049147 A KR20000049147 A KR 20000049147A KR 100344629 B1 KR100344629 B1 KR 10034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wire
wire
pin
low
f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047A (ko
Inventor
김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6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BT에 내설되는 저압보빈의 마그네트 와이어를 터미널핀에 권선시, 마그네트 와이어의 늘어짐 및 유동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한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저압보빈(100)의 터미널핀(130)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120)의 일측에는 요홈(140) 및 그 일단에 걸림단턱(150)이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160)가 일체의 사출물로 착설된후,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의 요홈(140)내에 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되는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일단이 권선되어 고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DEVICE FOR FIX MAGNET WIRE IN FBT LOW VOLTAGE BOBBIN}
본 발명은 TV 및 모니터의 브라운관 등에 고전압을 공급하여 주는 고전압 발생장치인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이하 "FBT"라함)에 있어서, 상기 FBT에 내설되는 저압보빈의 마그네트 와이어를 터미널핀에 권선시, 마그네트 와이어의 늘어짐 및 유동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한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저압보빈의 터미널핀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 일측으로 요홈 및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요홈내에 마그네트 와이어의 일단이 권선된후 인출되어 터미널핀에 재차 권선토록 설치됨으로 인하여, FBT에 내설되는 저압보빈의 마그네트 와이어를 터미널핀에 권선할 경우, 핀 단자부 일측으로 마련되는 와이어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의 늘어짐 및 유동발생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마그네트 와이어의 권선 장력에 의해 터미널핀의 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FBT의 저압보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압보빈(10)의 본체부(11) 상측 주연으로 다수의 핀 단자부(20)가 설치되며, 상기 각 핀 단자부(20)에는 본체부(11)에 권선되는 마그네트 와이어(30)의 일단이 각각 감겨 전압을 인출하는 터미널핀(4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저압보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압보빈(10)의 본체부(11)에 권선되는 마그네트 와이어(30)를 상기 저압보빈(10)의 상측 주연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터미널핀(40)에 권선시, 본체부(11)에 권선되된 각각의 마그네트 와이어(30)가 상기 터미널핀(40)으로 각각 인출된후,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어 전위차에 의한 전압을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저압보빈(10)의 본체부(11)에 권선된 마그네트 와이어(30)를 핀 단자부(20)의 터미널핀(40)에 연결을 위한 권선시, 마그네트 와이어(30)의 장력에 의해 상기 터미널핀(40)의 휘어짐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압보빈의 본체부(11)로 부터 인출되는 마그네트 와이어(30)는 이를 터미널핀(40)에 직접 연결 접속시,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30)의 늘어짐 및 유동이 발생하여 인접 마그네트 와이어(30)와의 텃치에 따른 숏트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FBT에 내설되는 저압보빈의 마그네트 와이어를 터미널핀에 권선할 경우, 핀 단자부 일측으로 마련되는 와이어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의 늘어짐 및 유동발생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인접 마그네트 와이어의 텃치에 따른 숏트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의 권선 장력에 의해 터미널핀의 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저압보빈의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저압보빈의 터미널핀에 권선되는 마그네트 와이어의 고정상태 요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압보빈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저압보빈의 핀 단자부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구의 요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저압보빈 110...본체부
120...핀 단자부 130...터미널핀
140...요홈 150...걸림단턱
160...와이어 고정구 170...마그네트 와이어
180...와이어 고정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저압보빈의 본체부 상측 주연으로 다수의 핀 단자부가 설치되고, 상기 핀 단자부상에 각각 일단이 내삽되어 전압을 인출토록 설치되는 터미널핀과,
상기 터미널핀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 일측으로 요홈 및 걸림단턱이 형성토록 착설되는 와이어 고정구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요홈내에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는 마그네트 와이어의 일단이 권선되어 고정토록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압보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저압보빈의 핀 단자부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구의 요부 구조도로서, 저압보빈(100)의 본체부(110) 상측 주연에는 다수의 핀 단자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핀 단자부(120)상에 터미널핀(130)의 일단이 내삽되어 입설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핀(130)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120)의 일측에는 요홈(140) 및 그 일단에 걸림단턱(150)이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160)가 일체의 사출물로 착설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는 상기 본체부(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의 요홈(140)내에 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되는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일단이 권선되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180)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압보빈(100)의 본체부(110) 상측 주연으로 다수의 핀 단자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핀 단자부(120)에는 전압을 인출토록 터미널핀(130)의 일단이 내삽되어 입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핀(130)에는 본체부(110)에 권선된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일단이 권선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토록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핀(130)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120)의 일측에는 요홈(140) 과, 상기 요홈(140)의 일단에 걸림단턱(150)이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160)는 상기 핀 단자부(120)와 일체의 사출물로 착설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저압보빈(100)의 본체부(110)로 부터 인출되는 마그네트 와이어(170)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의 요홈(140) 내부에서 1차로 권선된후 인출되어, 상기 터미널핀(130)에 권선되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장력에 의해 터미널핀(130)이 휘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에 마그네트 와이어(170)가 고정토록 되어,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유동 및 늘어짐에 의한 인접 와이어간의 텃치발생을 방지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압보빈(100)의 본체부(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토록 되어,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권선시 와이어 고정구(160)의 요홈(14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며,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170)와 터미널핀(130)간의 접속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에 의하면, FBT에 내설되는 저압보빈의 마그네트 와이어를 터미널핀에 권선시, 핀 단자부 일측으로 마련되는 와이어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의 늘어짐 및 유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따라 인접 마그네트 와이어의 텃치에 따른 숏트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의 권선 장력에 의해 터미널핀의 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3)

  1. FBT의 저압보빈에 있어서,
    저압보빈(100)의 본체부(110) 상측 주연으로 다수의 핀 단자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핀 단자부(120)상에 각각 일단이 내삽되어 전압을 인출토록 설치되는 터미널핀(130)과,
    상기 터미널핀(130)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120) 일측으로 요홈(140) 및 걸림단턱(150)이 형성토록 착설되는 와이어 고정구(160)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의 요홈(140)내에 본체부(110)로 부터 인출되는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일단이 권선되어 고정토록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구(160)는 저압보빈(100)의 본체부(11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토록 되어, 마그네트 와이어(170)의 권선시 와이어 고정구(160)의 요홈(14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핀(130)이 설치되는 핀 단자부(120)의 일측에는 요홈(140) 과 상기 요홈(140)의 일단에 걸림단턱(150)이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160)는 상기 핀 단자부(120)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FBT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KR1020000049147A 2000-08-24 2000-08-24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KR10034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147A KR100344629B1 (ko) 2000-08-24 2000-08-24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147A KR100344629B1 (ko) 2000-08-24 2000-08-24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47A KR20020016047A (ko) 2002-03-04
KR100344629B1 true KR100344629B1 (ko) 2002-07-25

Family

ID=1968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147A KR100344629B1 (ko) 2000-08-24 2000-08-24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6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47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629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마그네트 와이어 고정장치
KR0113738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저압보빈 단자핀 결합구조
KR20023442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절연구조
KR200234423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다이오드홀더 리드 접속편구조
KR0128560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권선코일 지지구조
KR013504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커패시터 접지단자 고정구조
KR200160073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고압 커패신터(capacitor)연결구조
KR950005003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의 고압보빈과 콘덴서의 결합구조
KR012540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리드선 고정장치
KR0121526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고압보빈과 다이오드의 결합장치
KR20023441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터미널 단자부
KR200237711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고압커패시터단자핀결합구조
KR0137025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동기케이블 결합장치
KR100213388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및 포커스 입력단자 결합장치
KR200179115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고압보빈 유동방지 장치
KR20015389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권선코일 걸림돌기
KR0137026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콘덴서 결합구조
KR100320924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 고압보빈의 터미널 지지부
KR100344630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콘덴서 고정장치
KR0118997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저압 보빈 구조
KR013702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동기 케이블 결합장치
KR0137557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고압 보빈
KR960008017Y1 (ko) 고압 보빈의 다이오우드 유동 방지 구조
KR100286802B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결합장치
KR930007132Y1 (ko) Fbt용 저압보빈의 단자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