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31Y1 -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 Google Patents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31Y1
KR200234331Y1 KR2020010005603U KR20010005603U KR200234331Y1 KR 200234331 Y1 KR200234331 Y1 KR 200234331Y1 KR 2020010005603 U KR2020010005603 U KR 2020010005603U KR 20010005603 U KR20010005603 U KR 20010005603U KR 200234331 Y1 KR200234331 Y1 KR 200234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hole
communication
window frame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호
Original Assignee
하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창호 filed Critical 하창호
Priority to KR2020010005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31Y1/ko

Link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시와 동일한 형상의 압출공(11)이 몸체(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10)의 일측면에는 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12)가 형성되며, 이 주입구(12)는 소폭을 갖는 제 1공간부(13)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1공간부(13)의 타측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분배공(14)이 연통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분배공(14)은 소폭을 갖는 제 2공간부(15)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2공간부(15)의 타측면에는 각각의 분배공(14)과 어긋나도록 다수의 배출공(16)이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공(16)은 분배공(14)보다 적은 직경을 갖으며, 이 배출공(16)은 압출공(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17)과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의 내면에 나무무늬의 색상을 용이하게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해져 가는 실내 인테리어에 적합한 샤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외부의 충돌에 의해서도 나무무늬의 색상이 벗겨지지 않고 색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보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Painting extrusion die for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용 샤시를 압출성형할 때 공정라인상에 설치되어 다양한 실내인테리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샤시의 내면에 나무무늬의 색상을 용이하게 입힐 수 있도록 한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창틀용 샤시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좋기 때문에 외부의 열기 또는 냉기가 그대로 실내에 전달되어 여름철에는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의 온도가 하강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알루미늄은 전기전도율도 좋기 때문에 전기 공사시 누전사고가 발생되면 작업자에게 치명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PVC 재질의 창틀용 샤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PVC 샤시는 대부분이 백색(단색)이기 때문에 조금만 얼룩이지더라도 눈에 잘 보이며 이로 인해 외관이 쉽게 지저분해지고, 다양해져가는 실내 인테리어 추세에 전여 부흥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창틀용 샤시의 내면에 나무무늬의 색상을 갖는 데코시트지를 부착하여 시공하기도 하지만, 이와같이 데코시트지를 부착한 창틀용 샤시는 용접부분에서 백색이 그대로 들어나고, 조금만 부딪히게 되더라도 흠집이 나고 데코시트지가 벗겨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 인테리어에 보조를 맞출 수 있도록 창틀용 샤시의 내면에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 특히, 나무무늬의 색상을 용이하게 입힐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돌에 의해서도 나무무늬의 색상이 벗겨지지 않도록 한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샤시와 동일한 형상의 압출공이 몸체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면에는 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이 주입구는 소폭을 갖는 제 1공간부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1공간부의 타측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분배공이 연통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분배공은 소폭을 갖는 제 2공간부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2공간부의 타측면에는 각각의 분배공과 어긋나도록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공은 분배공보다 적은 직경을 갖으며, 이 배출공은 압출공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과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압출공
12: 주입구 13: 제 1공간부
14: 분배공 15: 제 2공간부
16: 배출공 17: 슬롯
S: 샤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집안 또는 베란다의 창틀용으로 사용되는 샤시를 압출성형하는 공정라인 상의 마지막 단계에 설치된다.
본 고안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나사결합되어 하나의 몸체(10)를 이루고 있으며, 몸체(10)의 전면에는 제작하고자 하는 샤시(S)와 동일한 형상의 압출공(11)이 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몸체(10)의 일측면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의 원료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주입구(12)가 형성된다.
주입구(12)의 일측에는 원료를 공급하는 별도의 공급관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둘레에 나사부(12a)가 형성되고, 주입구(12)의 타측은 소폭을 갖는 제 1공간부(13)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주입구(12)로 공급되는 원료는 소비자가 원하는 샤시(S)의 색상에 따라 결정되지만, 최근에 실내장식으로 많이 사용되는 나무의 색상이 나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원료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료에 나무색상의 변하지 않는 무기안료와 마스터배치화한 고체칩을 섞어 제작한다. 여기에서 마스터배치화한 고체칩을 섞는 것은 샤시가 향균작용, 산화방지, 난연, 대전방지, 부식억제 및 자외선 차단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공간부(13)는 주입되는 원료가 잘 퍼지도록 상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분배공(14)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분배공(14)은 직경이 10∼20mm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분배공(14)은 소폭을 갖는 제 2공간부(15)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2공간부(15)의 타측면에는 각각의 분배공(14)과 중심선상이 어긋나도록 다수의 배출공(16)이 형성된다.
각각의 배출공(16)은 분배공(14)보다 적은 직경을 갖으며, 대략 0.5∼1mm의 직경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공(16)은 압출공(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17)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압출성형되는 샤시(S)의 내측면에 나무무늬로 색상을 입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주입구(12)를 통해 기존의 원료에 나무색상의 무기안료와 마스터배치화한 고체칩을 섞은 원료를 주입한다.
그러면, 주입된 원료가 제 1공간부(13)를 통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각각의 분배공(14)으로 이송되고, 분배공(14)을 통과한 원료는 제 2공간부(15)에서 합쳐지게 된다.
제 2공간부(15)의 원료는 각각의 배출공(16)을 통해 분리되어 슬롯(17)으로 이송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원료는 슬롯(17)에서 다시 합쳐지면서 샤시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된 나무색상의 원료는 압출성형되는 샤시(S)의 내측면에 입혀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냉각을 시키게 되면 샤시의 내측면은 자연스럽게 나무색상을 띄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다수의 분배공(14)의 직경이 서로 다르고, 배출공(16)이 분배공(14)보다 적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슬롯(17)을 통해 샤시(S)에 입혀지는 원료의 농도에서 차이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나무무늬 또는 나이테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샤시가 압출성형되면서 동시에 샤시의 내측면에 나무무늬와 색상이 입혀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나무무늬의 색상이 종래와 같이 샤시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샤시의 표면에 도색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의 충돌에 의해서도 나무무늬의 색상이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샤시에 입혀지는 원료에는 마스터배치화한 고체칩이 희석되어 있기 때문에 색상이 변하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입되는 원료의 색상에 따라 언제나 샤시에 입혀지는 색상을 변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하고 그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샤시가 압출성형될 때 내측면 뿐만아니라 외측면에도 다른 색상이 입혀지도록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의 압출다이를 설치하면, 샤시의 상하부와 외측 및 내측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제작된 샤시는 다양한 실내 및 외부 인테리어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원료가 배출되는 단계를 2단계를 통해 즉, 비교적 직경이 큰 분배공(14)에서 적은 직경의 배출공(16)을 통과하면서 배출되어 나무무늬를 표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2단계 대신 분배공(14)과 배출공(16)의 사이에 중간 직경의 연통공을 형성하여 3단계로 나무무늬를 표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창틀용 샤시의 내면에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 특히, 나무무늬의 색상을 용이하게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해져 가는 실내 인테리어에 적합한 샤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외부의 충돌에 의해서도 나무무늬의 색상이 벗겨지지 않고 색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최초의 압출 성형된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샤시와 동일한 형상의 압출공(11)이 몸체(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10)의 일측면에는 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12)가 형성되며, 이 주입구(12)는 소폭을 갖는 제 1공간부(13)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1공간부(13)의 타측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분배공(14)이 연통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분배공(14)은 소폭을 갖는 제 2공간부(15)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 2공간부(15)의 타측면에는 각각의 분배공(14)과 어긋나도록 다수의 배출공(16)이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공(16)은 분배공(14)보다 적은 직경을 갖으며, 이 배출공(16)은 압출공(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17)과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14)의 직경은 10∼20mm이고, 상기 배출공(16)의 직경은 0.5∼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KR2020010005603U 2001-03-02 2001-03-02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KR200234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03U KR200234331Y1 (ko) 2001-03-02 2001-03-02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03U KR200234331Y1 (ko) 2001-03-02 2001-03-02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31Y1 true KR200234331Y1 (ko) 2001-09-26

Family

ID=7308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603U KR200234331Y1 (ko) 2001-03-02 2001-03-02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6858A2 (en) * 2001-09-26 2003-04-03 Korea Plasys Coporation A device for producing a profile having a wood patter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6858A2 (en) * 2001-09-26 2003-04-03 Korea Plasys Coporation A device for producing a profile having a wood pattern
WO2003026858A3 (en) * 2001-09-26 2003-11-06 Korea Plasys Coporation A device for producing a profile having a wood pattern
KR100523128B1 (ko) * 2001-09-26 2005-10-19 주식회사 한국프라시스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464B2 (en) Extruded variegated plastic siding panels
US5387381A (en) Method for extruding plastic with accent color pattern
EP1735131B1 (en) Fibre polymer composite (fpc) material
US20090117275A1 (en) Methods of forming decorative veil
EP1250995A1 (en) Molded article from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5818322A (zh) 一种电动牙刷外壳的制造工艺
US6844049B2 (en) Polyvinyl chloride/wood composite having a natural wood grain finish and a method for creating the finish
KR200234331Y1 (ko) 창틀용 샤시의 도색 압출다이
EP1697148A2 (en) Methods of forming flexible decorative veils
IT1259310B (it) Pittura mono o policromatica all'acqua, particolarmente da imitazione
KR20040041530A (ko) 흐르는 모양을 갖는 수지 제품과 그 제조 방법
CN205553458U (zh) 一种装饰预涂膜
BE1026627B1 (de) Verzierte gegenstände
JP3849489B2 (ja) 化粧材
CN106223565A (zh) 一种抗刮耐磨墙板生产工艺
KR200190354Y1 (ko) 알루미늄 샤시
JP3303088B2 (ja) 凹凸基材の多色塗装方法及び多色塗装装置
CN112590048A (zh) 一种仿大理石外观的pvc型材的制备方法
KR20090002886U (ko)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창호 판유리
KR100657767B1 (ko) 건물용 외벽 장식패널
CN205125587U (zh) 一种背面成型有纹路的装饰板及含有该装饰板的衣柜
CN100451063C (zh) 一种仿天然的家具编织材料及其制造方法
JP2001191486A (ja) 意匠面に連続模様を有する長尺状押出装飾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368018Y1 (ko) 목무늬 코팅층이 일체로 구비된 창호용 형재의 제조장치
KR200190353Y1 (ko) Pvc 샤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