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972Y1 - 자동차용 방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972Y1
KR200233972Y1 KR2020010004829U KR20010004829U KR200233972Y1 KR 200233972 Y1 KR200233972 Y1 KR 200233972Y1 KR 2020010004829 U KR2020010004829 U KR 2020010004829U KR 20010004829 U KR20010004829 U KR 20010004829U KR 200233972 Y1 KR200233972 Y1 KR 200233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gap
plate
seat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곤
Original Assignee
김장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곤 filed Critical 김장곤
Priority to KR2020010004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972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 방석 내부의 쿠션부재를 부직포판재로 형성하여 탄력성과 통기성이 향상되게 하고, 상기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지는 결속구를 구비하여서 방석이 시트에 견고하게 구속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내부에 합성섬유사를 꼬불꼬불한 컬상태로 가공한 것을 엉크러지게 접착하여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부직포판재(21)로 이루어진 쿠션부재(20)를 구비한 다수의 방석판재(10)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판재(10)의 일측에 양단이 재봉결속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40)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밴드(40)에 구속되어서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지는 결속구(30)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쿠션부재를 탄성력의 지속성이 우수한 부직포판재로 형성하므로 탄력성이 지속적고 가압 상태에서도 통기성을 유지하여 착석자에게 쾌적함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방석{A cushion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석 내부의 쿠션부재를 부직포판재로 형성하여 탄력성과 통기성이 향상되게 하고, 상기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지는 결속구를 구비하여서 방석이 시트에 견고하게 구속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된 시트는 탑승객이 최대한의 안락감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하절기와 같이 땀이 많이 나는 계절에는 별도의 방석을 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땀이 많이 나는 하절기에 사용되는 방석은 통기성이 높게 대나무를 역어 만든 것을 사용하거나, 나무를 구슬형태로 깍은 후 이를 꿰어 만든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석은 시트에 고정함에 있어 별도의 결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서 승하차과정에 방석이 시트로부터 이탈되거나 제자리에 위치되니 않게되어 매 탑승시마다 정위치시켜야 하고 착석과정에 유동되므로 인하여 사용과정에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나무로 역어 만들거나 나무를 구슬형태로 깍은 것을 역어 만든 방석을 경우에는 탄력성이 부족하여 장시간 착석시 통증을 느끼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탄력성이 지속되는 부직포판재로 이루어진 쿠션부재를 구비한 방석판재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판재에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 구속되는 결속구를 구비한 거싱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쿠션부재를 삽탈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 다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석판재
11 : 방석직물 12 : 테두리직물 13 : 삽탈구
20 : 쿠션부재
21 : 부직포판재 22 : 외피
30 : 결속구 31 : 밴드홈
40 : 탄성밴드
110 : 시트 120 : 등받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탄력성이 지속되고 통기성이 향상되며 시트에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합성섬유사를 꼬불꼬불한 컬상태로 가공한 것을 엉크러지게 접착하여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부직포판재(21)로 이루어진 쿠션부재(20)를 구비한 다수의 방석판재(10)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판재(10)의 일측에 양단이 재봉결속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40)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밴드(40)에 구속되어서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지는 결속구(3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석판재(10)는 방석직물(11)을 두 겹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쿠션부재(20)를 수납할 수 있게 상기 방석직물(11)의 사방 테두리를 테두리직물(12)로 재봉형성한 것으로, 일측에는 쿠션부재(20)의 삽탈이 가능하게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삽탈구(13)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개폐수단은 베크로테입 또는 지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20)는 부직포판재(21)의 직접적인 노출로 인한 선재의 손상 및 선재로 인한 방석직물(11)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외피(22)를 피복하여 형성하고, 상기 결속구(3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밴드(40)가 걸려지도록 양측에서절개되는 밴드홈(31)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결속구(30)는 중앙에 하나만 구비하거나 양측으로 두 개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석판재(10)의 방석직물(11)과 쿠션부재(20)의 외피(22)는 통기성의 향상을 위하여 마직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쿠션부재(20)인 부직포판재(21)의 합성섬유사는 100~400데닐 굵기의 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리덴계 합성섬유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직포판재(21)로 이루어진 쿠션부재(20)를 구비하고, 시트에 결속을 위한 결속구(30)를 구비한 본 고안은 상기 쿠션부재(20)가 합성섬유사를 꼬불꼬불한 컬상태로 가공한 것을 엉크러지게 접착한 부직포판재(21)로 이루어져 있어 탄력성이 지속되고 사람이 앉아 가압된 상태에서도 통기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밴드(40)에 구속된 결속구(30)가 시트(110)와 등받이(120)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지므로서 방석부재(10)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시트에 결속되는 것이다.
한편, 쿠션부재(20)의 부직포판재(21)가 별도의 외피(22)에 피복되어 방석판재(10)에 수납되므로 사용과정에 있어 선재의 손상방지와 선재로 인한 방석직물(11)의 손상이 방지되며, 방석판재(10)의 일면에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삽탈구(13)를 구비하여 수납된 쿠션부재(20)를 삽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방석판재의 세척시 쿠션부재(20)를 삽탈한 후 세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쿠션부재를 탄성력의 지속성이 우수한 부직포판재로 형성하므로 탄력성이 지속적이고 가압 상태에서도 통기성을 유지하여 착석자에게 쾌적함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밴드에 구속되어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 후면에 걸려지는 결속구에 의하여 방석부재가 시트에 견고하게 결속되므로 착석과정의 유동에 관계없이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어 사용상에 매우 편리한 것이다.
한편, 쿠션부재의 부직포판재가 별도의 외피에 수납되므로 선재의 손상 및 선재로 인한 방석직물의 손상이 방지되고, 방석판재에 쿠션부재의 삽탈이 가능하게 삽탈구를 형성하므로서 방석판재의 세척시 수납된 쿠션부재를 삽탈한 후 세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합성섬유사를 꼬불꼬불한 컬상태로 가공한 것을 엉크러지게 접착하여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부직포판재(21)로 이루어진 쿠션부재(20)를 구비한 다수의 방석판재(10)를 구비하고,
    상기 방석판재(10)의 일측에 양단이 재봉결속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40)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밴드(40)에 구속되어서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틈을 관통하여서 상기 틈의 후면에 걸려지는 결속구(30)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구(3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밴드(40)가 걸려지도록 양측에서 절개되는 밴드홈(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판재(10)의 일측에는 쿠션부재(20)의 삽탈이 가능하게 삽탈구(13)를 형성하고,
    상기 삽탈구(13)를 통하여 삽탈되는 쿠션부재(20)는 부직포판재(21)에 외피(22)를 피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
KR2020010004829U 2001-02-23 2001-02-23 자동차용 방석 KR200233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29U KR200233972Y1 (ko) 2001-02-23 2001-02-23 자동차용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29U KR200233972Y1 (ko) 2001-02-23 2001-02-23 자동차용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972Y1 true KR200233972Y1 (ko) 2001-10-06

Family

ID=7306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829U KR200233972Y1 (ko) 2001-02-23 2001-02-23 자동차용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9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3908B1 (en) Seat
US20150165946A1 (en) Vehicle seat
JP2008142317A (ja) シートカバー被覆構造
CN109927597A (zh) 座椅靠背板、装饰罩以及交通工具用座椅
JP4785835B2 (ja) 椅子用のパッド入り被覆材
JP2007533385A5 (ko)
KR200233972Y1 (ko) 자동차용 방석
JP4066034B2 (ja) 面状弾性体による座面部を有するシート
US7677193B2 (en) Cloth cover for hatch lid of boat
JP7219007B2 (ja) 車両用シート
US10730418B1 (en) Seat cover
KR200229592Y1 (ko) 돗자리
WO2015045225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s with tags
JP3654529B2 (ja) 乗り物のシートカバー
JP2003009996A (ja) シート・バック
JP6950364B2 (ja) 乗物用シート
JP5668615B2 (ja) 車両用シートカバー構造
JP3085594U (ja) 座席カバー
JPH053120Y2 (ko)
JP2004298466A (ja) 乳付きクッション及びクッションカバー
JP4150004B2 (ja) 乗り物の座席用シート
JP2796948B2 (ja) 布団を収容してソファーを形成するための収容カバー及び収容カバーに布団を収容して形成したソファー
JP2000333790A (ja)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構造
CN105905011A (zh) 座椅套和座椅套的制造方法以及车用座椅
JP2002306273A (ja) 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