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913Y1 -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913Y1
KR200233913Y1 KR2020010000310U KR20010000310U KR200233913Y1 KR 200233913 Y1 KR200233913 Y1 KR 200233913Y1 KR 2020010000310 U KR2020010000310 U KR 2020010000310U KR 20010000310 U KR20010000310 U KR 20010000310U KR 200233913 Y1 KR200233913 Y1 KR 200233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flange
packing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우
탁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
Priority to KR202001000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913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 외부에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피복형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방법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본체의 내경을 파형강관과 같은 형상의 파형으로 제작하거나 파형의 홈에 체결되도록 플랜지의 내부에 수개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플랜지를 제작하는 단계: 이와 같이 된 플랜지를 현장에서 각각의 파형강관 양측에 회전시켜 체결되게 하는 단계: 파형강관에 체결된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는 파형강관의 내경보다 적은 내경을 가진 패킹을 결합한 다음 양측 파형강관의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함으로서 파형강관사이의 1차적인 밀폐만으로 완전한 방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파형강관에 체결되는 플랜지의 내경이 파형강관의 홈에 고정될 수 있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플랜지를 회전시켜 체결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플랜지 자체에 패킹이 일체로 형성할 경우 별도의 패킹을 구입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단시간에 대량으로 제작할 수가 있고 조립이 용이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불필요한 인건비의 지출을 절감시킴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성을 최대로 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The connection equipment of covering type wave steel pipe}
본 고안은 내, 외부에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피복형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방법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산공장에서 제작된 파형강관을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현장에서 각 파형강관에 별도로 제작된 플랜지를 체결하여 파형강관을 결합하되 파형강관과 파형강관 사이에 패킹을 체결하는 1차적인 결합 방법만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 우수, 및 오, 폐수 관으로 금속으로 된 파형강관의 내, 외부에 수지가 코팅된 파형강관이 사용되고 있는 바, 종래에에는 파형강관과 파형강관을 연결할 때 별도로 제작된 이음부재와 플랜지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이음부재나 플랜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파형강관의 외부에 플랜지를 결합한 다음 용접을 하거나 관과 플랜지 사이에 패킹을 체결하여 강하게 조임으로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1차밀봉되게 하여왔다.
상기와 같이 된 관을 다시 현장에서 일측관에 고정된 플랜지와 타측의관에 고정된 플랜지사이를 2차 밀봉하여 왔는 바, 2차밀봉은 어느정도 수밀성이 보장되나 관과 플랜지 사이의 1차밀봉은 플랜지나 관의 오차 범위가 큼으로 인하여 정확하고 완전한 밀봉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전자에서 언급한 이음부재를 이용한 밀봉방법은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을 맞대게 놓고, 그 외부에 ''형의 이음부재 2개를 결합하여 볼트로 조임으로서 체결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파형강관에 이음부재를 밀봉되게 고정한 다음 다시 양측의 이음부재를 보울트와 너트를 양측으로 고정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이 불편하고 힘들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림으로서 불필요 한 인건비를 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형의 커플링밴드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파형강관의 외부에 방수포로 감싼 다음 그 외부에 커플링밴드를 체결하고, 다시 볼트로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은 파형강관이 움직일 경우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서 방수포가 파형강관의 외부에서 이탈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플랜지를 이용한 체결방법이 안출되었으나 상기의 방법은 수지로 된 합성수지관(특허등록 제246032호, 공개번호 97-7-690호)을 체결하는 방법으로서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각각 삽입돌부와 삽입요부를 형성하되 삽입돌부의 길이는 삽입요부의 깊이보다 거 길게 하고 외주면은 테이퍼지게 형성하며, 삽입요부의 내경도 상기 삽입돌부와 같은 기울기로 테이퍼지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합성수지관을 제작할 때 양측면에 수지를 두껍게 한 후 별도의 성형기로 플랜지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합성수지관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합성수지로 된 관에 관한 것으로, 내, 외측에 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파형강관의 경우에는 플랜지를 일체로 제작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의 방법은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파형강관을 체결하기 위하여 플랜지를 사용할 경우 파형강관의 양측에 플랜지를 밀봉되게 결합시킨 후 관을 현장으로 운반하고 현장에서 관과 관을 밀착되게 고정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어느 정도 수밀성이 보장되나 플랜지와 관사이에 이루어지는 체결방법이 플랜지나 관의 오차범위로 인하여 완전한 밀봉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관을 설치하고 난후 오랜 시간이 흘러 지반이 침하 하거나 지면에서 고 하중이 작용할 경우 관의 한쪽이 가라않게 되고, 이 경우 플랜지에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관과 관을 연결하는 체결부에 심한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심할 경우 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형강관의 내, 외부에 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파형강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파형강관의 끝부분에 체결용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되, 플랜지의 내경에 파형강관의 홈에 고정될수 있도록 수개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각각 체결되게 하고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는 패킹을 삽입하여 체결한 다음 일측의 플랜지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타측의 플랜지에서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파형강관에 플랜지와 패킹을 체결하되 피킹에 의하여 밀봉되는 1차 밀봉만으로 완전한 방수의 효과를 얻을수 있음은 물론 일측의 파형강관이 지반 침하로 인하여 굴곡이 발생하여도 양측의 파형강관에 의하여 압착되어 있는 패킹이 자체 탄력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면서 어느정도 까지 밀폐되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플랜지의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제 1 실시에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도 7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고정판 발췌 사시도
도 8 는 본 고안 결합부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개략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 제 2 실시에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0 는 본 고안 결합부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개략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 는 본 고안 제 3 실시에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 결합부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개략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3 는 본 고안 제 4 실시에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4 는 본 고안 결합부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개략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고안 제 5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6 는 본 고안 결합부의 제 6 실시예를 보인 개략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 제 6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로서 제조 공정순을 보인 개략도
도 19는 본 고안 제 8 실시예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21은 본 고안 제 8 실시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2은 본 고안 제 9 실시예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도 23는 본 고안 제 9 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4은 본 고안 제 10 실시예의 플랜지의 정면도
도 25는 본 고안 제 10 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6는 본 고안 제 11 실시예로서 연질패킹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7은 본 고안 제 12 실시예로서 경질패킹의 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3. 17. 20. 29. 39. 플랜지 2. 파형강관 3. 돌기
4. 11. 40. 42. 체결공 5. 14. 19. 30. 33. 37. 44. 패킹
6. 고정볼트 7. 31. 36. 체결밴드 8. 고정판
9. 고정돌출부 10. 압착돌출부 12. 고정볼트
15. 요홈부 16. 23. 27. 34. 38. 41. 돌출부
18. 하향경사부 21. 결합부 22. 절곡홈
24. 나사관 25. 체결관 26. 26′.고정구
28. 체결구 32. 고정판 35. 압착부
43. 결합공 45. 체결홈 46. 보도패킹
플랜지를 이용하여 내, 외부에 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파형강관을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본체의 내경을 파형강관과 같은 형상의 파형으로 제작하거나 파형의 홈에 체결되도록 플랜지의 내부에 수개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플랜지를 제작하는 단계: 이와 같이 된 플랜지를 현장에서 각각의 파형강관 양측에 회전시켜 체결되게 하는 단계: 플랜지가 체결된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 패킹을 결합하는 단계: 패킹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의 플랜지에서 타측의 프랜지로 고정볼트를 체결한 다음 타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형강관과 파형강관사이의 1차적인 밀봉만으로 완전한 방수의 효과를 얻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플랜지(1)를 별도로 제작하되 플랜지(1)의 내경을 파형강관(2)의 홈에 삽입되도록 수개의 돌기(3)를 돌출 형성하며, 플랜지(1)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체결공(4)을 형성하여 파형강관의 양측 외경에 회전시켜 체결되게 하고,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는 패킹(5)을 삽입하며, 양측의 플랜지(1)에 형성된 체결공(4)에는 일측에서 고정볼트(6)를 체결한 다음 타측에서 너트를 조여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제 1 실시예>
양측 파형강관에 3등분으로 분리된 호형의 고정판을 연결하여 원형의 체결밴드가 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체결밴드가 고정된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 패킹을 체결한 다음 일측의 체결밴드에서 타측의 체결밴드에 고정볼트를 체결한 다음 타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즉 체결밴드(7)를 이루고 있는 각 고정판(8)의 양측을 펀칭하여 외측으로 고정돌출부(9)와 압착돌출부(10)를 형성하되, 일측에는 전후로 압착돌출부(10)를 형성하고, 압착돌출부(10)에는 중앙부에 체결공(11)을 형성하며, 타측의 고정돌출부(9)의 양측에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다른 고정판의 압착돌출부가 체결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된 고정판(8)을 파형강관(2)에 고정하여 체결밴드(7)가 되게 하고, 양측의 파형강관에 체결밴드를 체결한 다음 그 중앙부에 패킹(5)을 체결한 다음, 일측 체결밴드의 압착돌출부(10)에 형성된 체결공(11)에 고정볼트(12)를 삽입하여 타측 파형강관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밴드의 압착돌출부에체결되게 한 다음 너트로서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각 파형강관(2)의 끝부분에 플랜지(13)를 체결하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패킹(14)을 체결하고, 패킹(14)의 내측으로 요홈부(15)와 돌출부(16)를 돌출 형성하되 돌출부(16)가 패킹(14)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도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파형강관(2)에 체결되는 플랜지(17)의 결합부 내경에 하향경사부(18)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에 단면이 ''다이아본드형으로 된 패킹(19)을 체결하되 파형강관(2)이 하향경사부(18)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체결하여 패킹(19)의 하단부를 압착되게 하여도 바람직하다.
<제 4 실시예>
플랜지(20)자체를 경질의 수지로 형성하되 플랜지(20)의 결합부(21)에 절곡홈(22)을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 파형강관이 체결되는 내경보다 하단으로 돌출되게 돌출부(23)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킹의 역활을 하게 하여도 된다.
<제 5 실시예>
양측으로 맞대어져 있는 파형강관(2)의 외부에 중앙부가 돌출 되게 형성된 나사관(24)을 체결하고, 그 외부에 내경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나사형 체결구(25)를 각각 체결하여도 바람직하다.
<제 6 실시예>
양측으로 맞대어져 있는 파형강관(2)의 일측에 외부에 오른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26)를 체결하되 고정구(26)의 내경에 파형강관(2)과 같은 모양의 파형을 형성하고, 그 일측 끝부분에는 돌출부(27)를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의 파형강관에는 외부에 왼나사부가 형성되고 내경이 같은 형상의 고정구(26')를 체결하고, 양측 고정구(26)(26')의 외부에 일측에는 오른나사 타측에는 왼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구(28)를 체결하여도 바람직하다.
<제 7 실시예>
파형강관(2)을 제작할 때 파형강관의 양측 끝끝분의 리콜게이팅공법으로 골과 골의 간격을 조밀하게 한 다음 압착하여 플랜지(29)가 형성되게 하고, 이와 같이 된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 패킹(30)을 끼우고 플랜지를 체결 고정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8 실시예>
체결밴드(31)를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끝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32)을 형성하고, 패킹(33)을 ''모향으로 상단부는 삼각형으로 된 돌출부(34)를 형성하며, 내경에는 압착부(35)를 형성하여 패킹(33)을 파형강관과 파형강관 사이에 돌출부(34)가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삽입한 다음 그 외부에서 체결밴드(31)로 체결하여 고정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9 실시예>
체결밴드(36)를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끝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고정판을 형성하고, 패킹(37)의 ''모양으로 외측과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38)를 형성하여 파형강관과 파형강관 사이에 삽입한 다음 그 외부에서 체결밴드(36)를 체결하여 고정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10 실시예>
플랜지(39)를 3등분으로 분리되게 하되 각 플랜지의 일측 끝부분에 체결공(40)이 형성된 돌출부(41)를 중앙부에 형성하고, 타측에는 중앙부에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부에는 결합공(43)이 형성되며, 플랜지(39)의 내경에는 파형강관의 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11 실시예>
패킹(44)을 ''모양으로 연질로 된 고무로 구성하고, 패킹(44)의 양측에 체결홈(45)을 형성하되 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외측의 돌출부보다 내측의 돌출부의 뚜께를 얇게 하여서 된 것이다.
<제 12 실시예>
제 11 실시예에서의 패킹(44)을 경질로 구성하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홈(45)에 연질의 보조패킹(46)을 체결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랜지(1)와 파형강관(2)을 작업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에 각각 플랜지를 결합하되 각각의 결합부에 플랜지를 회전시켜 결합하고, 파형강관과 파형강관사이에는 패킹(5)을 삽입한 다음 플랜지(1)에 형성된 체결공(4)에 고정볼트(6)를 체결하여 타측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즉 일반적인 파형강관을 별도로 플랜지를 설치하지 않고 작업현장에서 플랜지가 체결된 일측의 파형강관 단면과 타측의 파형강관 단면 사이에 패킹을 삽입시켜 양측의 플랜지를 결합하는 방법만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내, 외부에 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파형강관(2)의 결합부 양측에 각각 플랜지(1)를 체결한다. 이때 각 플랜지(1)의 내경에는 파형강관의 홈에 체결되는 돌기(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1)가 파형강관(2)의 파형의 홈에 간단하게 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도4 및 도5 에서와 같이 체결밴드를 3등분으로 분리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작업현장에서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고정판을 결합하여 각 파형강관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사이에 패킹을 삽입 체결한 다음 일측의 체결밴드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타측의 체결밴드에 체결되게 한 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고정판(8)의 알축면에 형성된 고정돌출부(9)의 양측 공간부에 다른 고정판의 압착돌출부를 삽입하여 압착돌출부가 고정돌출부(9)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방법으로 3개의 고정판을 결합하여 원형의 체결밴드(7)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체결밴드(7)를 파형강관(2)의 양측에 체결한 다음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면 사이에 패킹(5)을 체결하고, 이 상태에서 압착돌출부(10)에 형성된 체결공(11)에 고정볼트(12)를 삽입하여 고정볼트가 타측의 파형강관에 체결된 체결밴드의 압착돌출부의 체결공에 체결되게한 다음 너트로 조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도8 및 도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파형강관(2)의 끝부분에 플랜지(13)를 체결하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패킹(14)을 체결하고, 이 상태에서 일측의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타측의 플랜지에 관통되게한 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된 패킹(14)은 파형강관(2)이 패킹(14)의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부(15)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측의 플랜지가 고정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의 파형강관이 패킹을 압착하게 됨으로서 돌출부(16)가 파형강관의 결합부를 압착하여 밀폐되게 함으로서 완벽하게 방수의 효과를 얻을수가 있으며, 지반에 침하현상이 발생하여도 패킹에 의하여 결합부에는 큰 변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플랜지가 볼트에 의하여 압착하여 결합될 경우 플랜지(13)의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가 파형강관의 외경에 형성된 파형의 홈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가 이탈하지 않고 파형강관(2)을 일측으로 이송시켜 결합하게 되는 것으로서, 파형강관에 변형이 일어나도 패킹의 압축력과 팽창력에 의하여 파형강관을 압착하게 됨으로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도10 및 도11 에서와 같이 양측의 파형강관(2)에 각각 체결된 플랜지(17)를 볼트를 이용하여 조이게 되면 플랜지(17)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 플랜지(17)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경사부(18)가 다이아몬드형의 패킹(19)의 상단부를 압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패킹(19)의 하단부가 파형강관(2)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플랜지(17)에 체결된 파형강관(2)이 내측으로 돌출된 패킹(19)의 하단부를 압착하게 됨으로서 누수 발생 없이 간단하게 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는 도12 및 도13 에서와 같이 파형강관에 체결된 양측의 플랜지(21)를 볼트에 의하여 조이게 되면 플랜지(21)의 내경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3)가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 압착하게 되면 양측의 돌출부(23)가 접하게 된 상태에서 압착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파형강관이 돌출부(23)의 양측을 압착하게 됨으로서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플랜지 자체에 패킹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패킹을 제작할 필요가 없음으로서 플랜지의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는 도14 및 도15 에서와 같이 파형강관이 일측에 연질의 수지로 된 나사관(24)을 체결한 다음 그 타측에 다른 파형강관을 삽입시켜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경질의 수지로 된 체결구(25)를 나사관의 상부에 체결하여 조이면 체결구(25)가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연질의 나사관(24)의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구(25)의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질의 나사관(24)이 압착하게 됨으로서 나사관이 내부 양측에 삽입된 파형강관을 체결구가 각각 압 착하게 됨으로서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는 도16 및 도17 에서와 같이 일측의 파형강관(2)에 오른나사가 형성된 고정구(26)를 회전시키면 고정구(26)에 형성된 파형에 의하여 파형강관의 외부에 간단하게 체결하게 되고, 타측의 파형강관에는 왼나사가 형성된 고정구(26')를 체결한 상태에서 그 중앙부에 체결구(28)를 놓은 다음 체결구(28)에 양측의 고정구(26)(26')를 접하게 한 상태에서 체결구(28)를 회전시키면 체결구(23)의 내측에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반반씩 형성된 오른나사와 왼나사에 의하여 고정구(26)(26')의 외경에 형성된 오른나사와 왼나사부가 체결구(28)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구(26)(26')는 파형강관(2)의 파형에 고정구의 내경에 형성된 파형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히 고정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체결구(28)가 회전하여 양측의 고정구(26)(26')를 당기게 되므로 파형강관은 내측으로 이동하여 고정구(26)(26')의 내경에 돌출 되어 있는 돌출부(27)에 파형강관(2)이 압착하게 됨으로 일측의 돌출부와 타측 고정구의 돌출부가 압착되면서 결합하게 됨으로서,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7 실시예는 도18 에서와 같이 파형강관을 제작할 때 파형강관(2)의 끝부분을 간격이 좁게 형성한 다음 그 부분을 압착하여 플랜지(29)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다음 파형강관과 파형강관을 결합할 때 그 사이에 패킹(30)을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를 성형할 경우 파형강관의 제조단계에서 플랜지가 성형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고, 별도의 플랜지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는 도19 및 도20와 도21에서와 같이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 단면이 화살표형으로 형성된 패킹(33)을 삽입한 다음 그 외부에서 체결밴드(31)를 고정판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체결밴드(31)가 패킹의 상단부를 압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패킹(33)의 외경이 압착되면서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로 압착됨과 동시에 양측의 파형강관이 패킹(33)의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압착부(35)를 압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패킹(29)의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4)가 파형강관 사이에 끼어 압착 고정됨으로서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로 패킹(33)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패킹(33)의 압착부(35)를 체결밴드(31)가 압착하기 때문에 패킹(33)이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는 도22 및 도23에서와 같이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로 외경과 내경에 돌출부(38)가 형성된 패킹(37)을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밴드(36)의 고정판을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체결밴드(36)에 형성된 파형이 양측의 파형강관을 당기면서 압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양측의 파형강관이 패킹(37)의 내,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8)를 압착하게 됨으로서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파형강관의 끝부분이 패킹(37)의 내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8)압착하게 될 때 돌출부 자체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는 도24 및 도25에서와 같이 플랜지(39)를 분리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플랜지(39)의 돌출부(41)를 다른 플랜지의 결합공(43)에 삽입한 다음 핀을 체결하여 회전되게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파형강관의 결합부에 플랜지를 감은 다음 플랜지를 오므려 플랜지의 일측 돌출부(41)를 다른 플랜지의 끝부분에 형성된 결합공(43)에 압착하여 오므려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이 일치되게 한 다음 이 체결공에 핀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플랜지(39)의 내경에는 파형강관에 고정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를 파형강관에 압착하여 고정할 경우 파형강관에서 플랜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11 실시예는 도26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연질의 패킹에 관한 것으로, 도및 도 에서와 같이 양측의 파형강관이 압착되면 패킹(44)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5)으로 파형강관이 삽입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패킹의 외경과 내경이 파형강관의 끝부분을 압착하게 됨으로서 파형강관을 압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패킹(44)은 내화학성으로 인장력이 있는 오, 페수에 강한 연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침하에 의하여 관이 유동되더라도 패킹의 일측이 치우치게 되면서 압착되기 때문에 누수를 방지할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경질의 패킹에 관한 것으로, 도27에서와 같이 양측의 파형강관이 압착되면 경질의 패킹(44)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5)에 보조패킹(46)을 삽입한 상태에서 파형강관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패킹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으며, 패킹의 외경과 내경이 파형강관의 끝부분을 압착하게 됨으로서 파형강관을 압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패킹을 경질로 구성하되 체결홈(45)에 연질로된 보조패킹(46)을 삽입 체결한 다음 파형강관(2)에 체결되도록 한 것으로, 경질로 패킹을 구성할 경우 강기간 사용시 패킹과 파형관과의 마찰력과 오, 폐수및 지판의 침하로 인하여 관에 유동이 발생할 경우에 패킹이 움직일 공간이 없기 때문에 파손되는 바, 이를 방지할기 위하여 연질로 된 보조패킹을 경질의 패킹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관에 유동성을 줌으로서 그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형강관의 내, 외부에 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파형강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파형강관의 끝부분에 체결용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되 플랜지의 내경에 파형강관의 홈에 고정될수 있도록 수개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각각 체결되게하고,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사이에는 패킹을 삽입하여 체결한 다음 일측의 플랜지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타측의 플랜지에서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파형강관에 플랜지와 패킹을 체결하되 피킹에 의하여 밀봉되는 1차 밀봉만으로 완전한 방수의 효과를 얻을수 있음은 물론 일측의 파형강관이 지반 침하로 인하여 굴록이 발생하여도 양측의 파형강관에 의하여 압착되어 있는 패킹이 자체 탄력에 의하여 원상복귀되면서 어느정도 까지 밀폐되도록 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파형강관에 체결되는 플랜지의 내경이 파형강관의 홈에 고정될수 있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플랜지를 회전시켜 체결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플랜지 자체에 패킹이 일체로 형성할 경우 별도의 패킹을 구입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단시간에 대량으로 제작할 수가 있고 조립이 용이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불필요한 인건비의 지출을 절감시킴으로서 경제성과 작업성을 최대로 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2)

  1. 플랜지(1)의 내경을 파형강관(2)의 홈에 삽입되도록 수개의 돌기(3)를 돌출 형성하되, 플랜지(1)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체결공(4)을 형성하여 파형강관의 양측 외경에 회전시켜 체결되게 하고, 일측의 파형강관과 타측의 파형강관 사이의 면에 패킹(5)한 다음 고정볼트(6)를 체결,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2. 체결밴드(7)를 이루고 있는 각 고정판(8)의 양측을 펀칭하여 외측으로 고정돌출부(9)와 압착돌출부(10)를 형성하되, 일측에는 전후로 압착돌출부(10)를 형성하고, 압착돌출부(10)에는 중앙부에 체결공(11)을 형성하며, 타측의 고정돌출부(9)의 양측에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다른 고정판의 압착돌출부가 체결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파형강관(2)의 끝부분에 플랜지(13)를 체결하되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패킹(14)을 체결하고, 패킹(14)의 내측으로 요홈부(15)와 돌출부(16)를 돌출 형성하되 돌출부(16)가 패킹(14)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파형강관(2)에 체결되는 플랜지(17)의 결합부 내경에 하향경사부(18)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에 단면이 다이아본드형으로 된 패킹(19)을 체결하되 파형강관(2)이 하향경사부(18)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체결하여 패킹(19)의 하단부를 압착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랜지(20)자체를 경질의 수지로 형성하되 플랜지(20)의 결합부(21)에 절곡홈(22)을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 파형강관이 체결되는 내경보다 하단으로 돌출되게 돌출부(23)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킹의 역활을 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6. 제 1 항에있어서, 양측으로 맞대어져 있는 파형강관(2)의 외부에 중앙부가 돌출 되게 형성된 나사관(24)을 체결하고, 그 외부에 내경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나사형 체결구(25)를 각각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으로 맞대어져 있는 파형강관(2)의 일측에 외부에 오른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26)를 체결하되 고정구(26)의 내경에 파형강관(2)과 같은 모양의 파형을 형성하고, 그 일측 끝부분에는 돌출부(27)를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의 파형강관에는 외부에 왼나사부가 형성되고 내경이 같은 형상의 고정구(26')를 체결하고, 양측 고정구(26)(26')의 외부에 일측에는 오른나사 타측에는 왼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구(28)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체결밴드(31) 끝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32)을 형성하고, 패킹(33) 상단부는 삼각형으로 된 돌출부(34)를 형성하며, 내경에는 압착부(35)를 형성하여 패킹(33)을 파형강관과 파형강관 사이에 돌출부(34)가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삽입한 다음 그 외부에서 체결밴드(31)로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체결밴드(36) 끝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을 형성하고, 패킹(37) 외측과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3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플랜지(39)를 3등분으로 분리되게 하되 각 플랜지의 일측 끝부분에 체결공(40)이 형성된 돌출부(41)를 중앙부에 형성하고, 타측에는 중앙부에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부에는 결합공(43)이 형성되며, 플랜지(39)의 내경에는 파형강관의 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
  11. 제 1항에 있어서, 패킹(44)을 연질로 된 고무로 구성하고, 패킹(44)의 양측에 체결홈(45)을 형성하되 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외측의 돌출부보다 내측의 돌출부의 뚜께를 얇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패킹(44)을 경질로 구성하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홈(45)에 연질의 보조패킹(46)을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20010000310U 2001-01-06 2001-01-06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KR200233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10U KR200233913Y1 (ko) 2001-01-06 2001-01-06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10U KR200233913Y1 (ko) 2001-01-06 2001-01-06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715A Division KR100508201B1 (ko) 2001-01-06 2001-01-06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913Y1 true KR200233913Y1 (ko) 2001-09-25

Family

ID=7306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10U KR200233913Y1 (ko) 2001-01-06 2001-01-06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91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37B1 (ko) 2005-08-23 2008-01-11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를 이용한 파형강관의 연결장치와 파형강관의 플랜지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10414B1 (ko) 2010-08-06 2011-01-21 주식회사 픽슨 강관 연결장치
KR101413486B1 (ko) * 2013-10-25 2014-07-01 (주)신성 다각형 플랜지를 구비한 파형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260B1 (ko) * 2015-12-24 2016-10-07 서상모 파형강관 커플러
KR102090172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리브강관 연결구조
KR102116541B1 (ko) * 2019-09-10 2020-06-02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연결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37B1 (ko) 2005-08-23 2008-01-11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를 이용한 파형강관의 연결장치와 파형강관의 플랜지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10414B1 (ko) 2010-08-06 2011-01-21 주식회사 픽슨 강관 연결장치
KR101413486B1 (ko) * 2013-10-25 2014-07-01 (주)신성 다각형 플랜지를 구비한 파형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260B1 (ko) * 2015-12-24 2016-10-07 서상모 파형강관 커플러
KR102090172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리브강관 연결구조
KR102116541B1 (ko) * 2019-09-10 2020-06-02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933B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KR200233913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KR200393472Y1 (ko)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KR200484396Y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0638415B1 (ko)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508201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8384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428084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0671790B1 (ko) 신축밴드와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시설물
KR100458128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JP4390342B2 (ja) 分割ケースのシール構造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CN219734489U (zh) 一种钢带增强螺旋波纹管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KR102592074B1 (ko) 주름관 연결 장치
KR200402964Y1 (ko) 파이프 결합장치
US20070052238A1 (en)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