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99Y1 -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99Y1
KR200233499Y1 KR2020010005225U KR20010005225U KR200233499Y1 KR 200233499 Y1 KR200233499 Y1 KR 200233499Y1 KR 2020010005225 U KR2020010005225 U KR 2020010005225U KR 20010005225 U KR20010005225 U KR 20010005225U KR 200233499 Y1 KR200233499 Y1 KR 200233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eiling
frp
lining concrete
tunnel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출
Original Assignee
(주)한석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석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석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05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99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 크렉보수 공법에 있어서 천정누수를 예방하는 천장누수 유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의 누수 및 크렉이 심한부분에 V 자형 홈(11)을 컷팅작업으로 형성하고 V 자형 홈(11)에 그물망 드레인(10)을 설치하며 V 자형 홈(11)의 입구를 탄성비정형재료(12)를 접착제(13)로 접착하여 드레인(10)을 고정시키고 천장에 FRP 앵커너트(22)를 고정시키고 탄소FRP 적층부(20)를 드레인(10)위에 설치하며 FRP 앵커볼트(21)를 고정시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Drain for concrete tunnel}
본 고안은 터널 크렉보수 공법에 있어서 천정누수를 예방하는 천장누수 유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터널의 크렉보수 공법은 도1에 도시되듯이 철판(1)을 이용하여 앵커볼트(2)로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보수를 하였다. 그러나 철판(1)을 뚫어 앵커볼트(2)로 보강을 실시하더라도 크렉의 계속되는 누수로 인해 철판(1)에 녹이 발생하여 또 다른 하자가 발생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렇게 다시 발생하는 재하자를 예방하기 위하여 터널 라이닝콘크리트 구간에 발생되는 누수된 부분을 V 자형 홈을 컷팅한 후 그 부분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 누수유도 드레인을 설치하고 접착제와 탄성비정형재료로 고정시키며 그위에 탄소FRP를 적층하여 보수보강된 드레인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이 설치된 천정보강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 설치도.
도4(a), 4(b), 4(c), 4(d), 4(e)도는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위에 행하여지는 보강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 : 터널 라이닝콘크리트 10 : 드레인
11 : V 자형 홈 12 : 탄성비정형재료
13 : 접착제 20 : 탄소FRP 적층부
21 : FRP 앵커볼트
본 고안의 드레인 설치구조는 터널 라이닝콘크리트의 누수 및 크렉이 심한부분에 V 자형 홈을 컷팅작업으로 형성하고 V 자형 홈에 그물망 드레인을 설치하며 V 자형 홈의 입구를 탄성비정형재료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드레인을 고정시키고 천장에 FRP 앵커너트를 고정시키고 탄소FRP 적층부를 드레인위에 설치하며 FRP 앵커볼트를 고정시켜 구성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이 설치된 천정보강 구조가 도시되는데,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에는 홈을 형성하여 그물망의 드레인(10)이 배치되고 드레인(10)위에는 탄소FRP 적층부(20)가 FRP 앵커볼트(21)에 의해서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에 고정된다.
도3에는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 설치도가 도시되는데, 드레인(10)은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의 횡방향으로 3개소 배치되고 또한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의 종방향으로도 3개소 배치된다. 드레인 배치설계는 필요에 따라서 요구되는 숫자만큼 설치할 수 있다.
도4(a), 4(b), 4(c), 4(d), 4(e)도에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가 도시되는데, 먼저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의 누수 및 크렉이 심한부분에 V 자형 홈(11)을 컷팅작업으로 형성한다.
V 자형 홈(11)에 그물망 드레인(10)을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한다.
다음에는 도4(c)에 도시되듯이 V 자형 홈(11)의 입구를 고무와 같은 탄성비정형재료(12)를 접착제(13)로 접착하여 드레인(10)을 고정시킨다.
도4(d)에 도시되듯이 천장에 FRP 앵커너트(22)를 고정시키고 탄소FRP 적층부(20)를 드레인(10)위에 설치하며 FRP 앵커볼트(21)를 고정시키면 도4(e)에 도시되듯이 드레인 시공 및 보강방법이 완성된다.
도5에는 본 고안의 천정누수 유도 드레인위에 행하여지는 보강재를 도시하는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탄소FRP 적층부(20)의 구성을 상세히 알 수 있다.
탄소FRP 적층부(20)는 드레인(10)과 탄성비정형재료(12)위에 프라이머 도포층(23), 에폭시퍼터층(24), 상도레진 도포층(25), 탄소섬유 적층(26), 하도레진 적층(27) 및 마감도장층(28)으로 구성되고 FRP 앵커볼트(21)를 FRP 앵커너트(22)에 고정시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장누수 유도 드레인 설치구조는 누수크렉이 격자형으로 많이 발생하는 곳에 V 자형 홈을 형성하고 드레인을 추가로 설치하고 그 후에 탄소FRP 적층부를 FRP 앵커볼트너트로 고정하여 누수처리와 함께 보수보강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터널 라이닝콘크리트(3)의 누수 및 크렉이 심한부분에 V 자형 홈(11)을 컷팅작업으로 형성하고 V 자형 홈(11)에 그물망 드레인(10)을 설치하며 V 자형 홈(11)의 입구를 탄성비정형재료(12)를 접착제(13)로 접착하여 드레인(10)을 고정시키고 천장에 FRP 앵커너트(22)를 고정시키고 탄소FRP 적층부(20)를 드레인(10)위에 설치하며 FRP 앵커볼트(21)를 고정시켜 구성되는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장누수 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KR2020010005225U 2001-02-27 2001-02-27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KR200233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25U KR200233499Y1 (ko) 2001-02-27 2001-02-27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25U KR200233499Y1 (ko) 2001-02-27 2001-02-27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99Y1 true KR200233499Y1 (ko) 2001-09-28

Family

ID=7309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225U KR200233499Y1 (ko) 2001-02-27 2001-02-27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9599B (zh) 预制涵洞钢制连接构造及施工方法
JP5290344B2 (ja) トンネル覆工構造体
CN201121774Y (zh) 一种柔性防水套管
RU189577U9 (ru) Стяжной хомут для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200233499Y1 (ko) 도로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천정누수유도 드레인 설치구조
KR20060021938A (ko) 접착제를 사용하지않는 콘크리트 구조물
KR200417316Y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투명패널
KR100849505B1 (ko)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로제작된 원형 및 다각형 단면의 부재를 활용한 관거보강방법
KR102053112B1 (ko) 보강 섬유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JPH11315587A (ja) 構造物の防食被覆構造、防食工法および防食パネル
KR200235547Y1 (ko) 드레인과 탄소 frp를 사용한 지하 차도의 옹벽 보수기구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JP2002371795A (ja) 本体構造物の改修構造及び本体構造物の改修方法
JP2893490B2 (ja) 水路の補修方法
KR20080106735A (ko) 유기섬유보강 모르타르 경화체를 이용한 균열유발구조
JP2004092120A (ja) コンクリートの補強工法
KR101589702B1 (ko) 보조 탄성 봉함재의 보강 설치방법
KR100820331B1 (ko)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KR20080063723A (ko) 상하수관의 비굴착 보수공법
JP2008238738A (ja) 管路橋更生方法
KR20160123407A (ko) 파이프의 내/외면 보수 및 보강 방법
KR200263619Y1 (ko) 복합재 합성패널을 이용한 건축지하 구조물 수중 보강구조
KR100527829B1 (ko) 콘크리트면 보수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시공방법
KR20040031560A (ko) 터널 내면벽 보수 보강용 복합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