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310Y1 - 옹벽용 화분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화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310Y1
KR200233310Y1 KR2020010007257U KR20010007257U KR200233310Y1 KR 200233310 Y1 KR200233310 Y1 KR 200233310Y1 KR 2020010007257 U KR2020010007257 U KR 2020010007257U KR 20010007257 U KR20010007257 U KR 20010007257U KR 200233310 Y1 KR200233310 Y1 KR 200233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e
support
retaining wall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종
Original Assignee
오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종 filed Critical 오수종
Priority to KR2020010007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310Y1/ko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용 화분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축대 지형에 축조되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반원형의 호형상을 이루며, 상부 중앙 전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는 호형의 이탈방지턱(11)이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11)의 내면 상면에서부터 저면까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12)의 협소부분으로부터 상부 중앙에 배면까지 경사각을 갖는 파이프 설치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13) 내에는 소정직경의 지지공(14)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을 중심으로 상부 좌우측에 수용하기 위한 제 1관통공(15)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에 근접되는 제 1관통공(15)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6)이 상기 이탈방지턱(11)과 대등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상층블록(10)과;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상기 상층블록(10)과 동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통공(12)과 같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홈(21)가 소정깊이 형성되되, 그 바닥 중앙에 물배수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홈(21)의 협소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중앙 상면에는 상기 지지공(14)과 일치되는 지지홈(23)가 소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3)가 형성되는 중앙 좌우측에는 상기 제 1관통공(15)과 일치되는 제 2관통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15)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상기 지지턱(16)의 저면이 일치되는 보강턱(25)이 상면부터 저면까지 형성된 하층블록(20)과; 상기 상층블록(10)의 지지공(14)과 하층블록(20)의 지지홈(23)에 안내 설치되어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을 상호 지지하는 지지핀(30)과; 상기 파이프 설치홈(13) 내에 설치되어 지형으로부터 지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의 각 열마다 조적시키기 위한 블록을 상층과 하층블록으로 구분하여 작업자가 블록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층블록과 하층블록을 상호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을 상호 교호적으로 조적함에 있어, 상층블록에 형성된 지지턱 및 이탈방지턱으로부터 하층블록의 저면이지지 되도록 하여 옹벽형성에 따른 블록의 구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형조건에 맞는 곡면 조적이 연장 가능토록 하고, 지형공사와 함께 이루어지는 옹벽구축에 있어, 상기 상층블록에는 통공을 두고, 하층블록에는 통공홈을 두어 이곳에 제공되는 흙으로 하여금 식물의 자생이나 인위적인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면서 지형으로부터는 블록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로 하여금 식물자생에 필요한 물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환경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옹벽블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용 화분 블록{Flowerpot block for breast wall}
본 고안은 옹벽용 화분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축대지형에 조적되는 블록에 있어, 작업자가 블록을 다루기에 용이하도록 하고, 상호 블록의 조적되는 구축력 향상 및 지형조건에 맞는 조적이 가능토록 하고, 지형조건으로 하여금 블록에는 인위적으로 식물을 심거나 자연적으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의 성장을 자연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용으로 조적되는 블록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드는 벽체로서, 비교적 큰돌을 이용하여 조적한 석축과는 달리 일률적인 크기를 갖도록 블록을 상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호로 그 중심을 엇갈리게 조적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최근에는 자연적인 공간미와 그 생태조건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호안 또는 뚝, 축대지형에 시공되는 옹벽 등에도 공간미는 살리면서 안정적인 조적시공이 될 수 있는 블록의 개선 및 시공방법 등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블록은 지형의 조건(경사도, 토압)에 따라 조적되는데, 지형으로부터의 옹벽의 구축력을 상호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층으로 2열, 또는 그 이상의 간격마다 금속재질의 매쉬망이 설치되며, 매쉬망은 토압에 의해 블록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형공사와 함께 일부는 지면에 매립되고, 일부는 상기 상하층을 이루는 블록과 블록사이에 위치되는 구조로 조적되는 블록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또한, 옹벽은 축대지형으로부터 지면에 스며든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파이프가 조적된 블록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옹벽의 붕괴를 방지해 준다.
그러나, 상기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블록의 시공은 대체적으로 시공되는 담장용 블록보다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하는 공기가 길어지며, 블록이 조적된 상태에서의 공간미는 블록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조면(粗面), 또는 자갈형태의 문양의 패턴 등의 조합으로 옹벽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배수파이프로부터 흘러내리는 지반 수는 그 외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블록은 시공에 따른 옹벽을 형성함에 있어 아치형으로 굽어지는 지형에 맞게 옹벽을 연장 형성시키기에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그 굽어지는 지형을 따라 블록이 시공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블록을 아치형으로 배열시키면서 조적시키기 위해 각각의 블록에 별도의 힌지핀을 이용하여 상하측 블록간이 상호지지될 수 있도록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97-1721호에 기재된 옹벽용 블록이 있다.
상기 블록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한 단부들을 가지는 앞면(17), 상부면(42), 바닥면(46), 및 앞면(17)의 대향되는 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8,19)을 포함하는 몸통부(13)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13)는 또한 상기 상부면(42)과 바닥면(46)의 하나에 개방되고, 상기 측벽(18,19)들로부터 간격진 제1포켓(43) 및 제2포켓(44) 및 핀(51)을 수용하기 위한 제1핀구멍(39) 및 제2핀구멍(41)을 구비하는 블록 상호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핀구멍(39)은 상기 제1포켓(4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상기 제2핀구멍(41)은 상기 제2포켓(4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블록의 축조는 경사진 둑으로부터 횡열로 블록을 배열하고, 배열된 블록 사이의 상측에 또 하나의 블록을 횡열로 축조함에 있어, 1열에 배열된 블록의 상면측에 해당하는 포켓부분은 그 상측에 겹쳐진 블록의 핀구멍에 꽂혀진 핀이 안내되는 방식으로 축조해 나갈 수 있고, 상기 포켓은 아치형상을 가지고 있어 안내되는 핀을 기점으로 조적되는 블록을 아치형상으로 축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블록의 축조구조에 있어, 일직선상으로 블록을 조적 및 지형조건의 곡면을 따라 아치형으로 둥굴게 조적되는 블록의 조적형태는 블록의 포켓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 블록간의 가변(아치형 또는 그 반대되는 아치형)이 가능하나, 지각변동 등에 의해 처음과 같이 조적된 상태에서 포켓은 항상 여유공간을 가지고 있어 블록이 본래의 조적위치를 벗어날 수 있으며, 핀 구멍이 블록을 관통하고 있어 응력을 집중적으로 받아 블록의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예기치 못한 붕괴 및 사고위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핀 방식을 이용한 블록은 경사벽은 가능하나 경사구간에서 라운드형의 코너를 형성하려 할 때 블록이 핀과 소켓에 고정되어 수평이동이 불가하여 핀을 빼거나 급기야 블록을 절반으로 절단하여 시공하는 등의 시공성 저하의 문제 및 옹벽의 안전성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축대지형에 조적되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 작업자가 블록을 다루기에 용이하도록 하고, 상호 블록의 조적되는 구축력 향상 및 지형조건에 맞는 조적이 가능토록 하고, 지형조건으로 하여금 블록에는 인위적으로 식물을 심거나 자연적으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의 성장을 자연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축대 지형에 축조되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반원형의 호형상을 이루며, 상부 중앙 전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는 호형의 이탈방지턱이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의 내면 상면에서부터 저면까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협소부분으로부터 상부 중앙에 배면까지 경사각을 갖는 파이프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 내에는 소정직경의 지지공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설치홈을 중심으로 상부 좌우측에 수용하기 위한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에 근접되는 제 1관통공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상기 이탈방지턱과 대등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상층블록과;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상기 상층블록과 동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통공과 같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홈이 소정깊이 형성되되, 그 바닥 중앙에 물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홈의 협소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중앙 상면에는 상기 지지공과 일치되는 지지홈이 소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이 형성되는 중앙 좌우측에는 상기 제 1관통공과 일치되는 제 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상기 지지턱의 저면이 일치되는 보강턱이 상면부터 저면까지 형성된 하층블록과; 상기 상층블록의 지지공과 하층블록의 지지홈에 안내 설치되어 상층블록과 하층블록을 상호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파이프 설치홈 내에 설치되어 지형으로부터 지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로 구성된 옹벽용 화분 블록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옹벽블록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옹벽블록의 저면도,
도 3은 종래 옹벽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종래 옹벽블록이 일부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옹벽용 화분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화분 블록을 상하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화분 블록을 조적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화분 블록을 조적한 상태의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화분블록 중 상층블록의 지지턱을 일부 파손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화분 블록을 지형에 따라 아치형인 곡선으로 조적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층블록 11: 이탈방지턱
12: 통공 13: 파이프 설치홈
14: 지지공 15: 제 1관통공
16: 지지턱 20: 하층블록
21: 통공홈 22: 물배수공
23: 지지홈 24: 제 2관통공
25: 보강턱 30: 지지핀
40: 배수파이프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인 옹벽용 화분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화분블록을 상하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축대 지형에 축조되는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크게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층블록(10)은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반원형의 호형상을 이루며, 상부 중앙 전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는 호형의 이탈방지턱(11)이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11)의 내면 상면에서부터 저면까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12)의 협소부분으로부터 상부 중앙에 배면까지 경사각을 갖는 파이프 설치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13) 내에는 소정직경의 지지공(14)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을 중심으로 상부 좌우측에 수용하기 위한 제 1관통공(15)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에 근접되는 제 1관통공(15)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6)이 상기 이탈방지턱(11)과 대등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하층블록(20)은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상기 상층블록(10)과 동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통공(12)과 같은 역부채꼴 형상을 갖는 통공홈(21)가 소정깊이 형성되되, 그 바닥 중앙에 물배수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홈(21)의 협소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중앙 상면에는 상기 지지공(14)과 일치되는 지지홈(23)가 소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3)가 형성되는 중앙 좌우측에는 상기 제 1관통공(15)과 일치되는 제 2관통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15)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상기 지지턱(16)의 저면이 일치되는 보강턱(25)이 상면부터 저면까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상층블록(10)의 지지공(14)과 하층블록(20)의 지지홈(23)에는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을 상호 지지하기 위한 지지핀(30)이 적용되며, 상기파이프 설치홈(13) 내에는 지형으로부터 지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층블록(10) 및 하층블록(20)의 전면 또는 측면 상부일측, 통공(12) 상부일측에 소정깊이 함몰 형성된 손잡이 안전홈(10a,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층블록(10)의 상면으로 돌출된 지지턱(16)의 상면에는 블록의 시공에 따른 곡면시공에 의해 지지턱(16)의 일부 파손 홈자리표시(16a,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파손 홈자리표시(16a,16b)는 지지턱(16)의 상면으로부터 2∼3mm정도의 깊이로 일부분을 파손시키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형상, 모양의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옹벽용 화분 블록의 시공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형에 기초를 형성하고, 기초틀 상에는 각 블록이 동방향 또는 지형에 따라 배열되어 시공된다. 본 고안의 블록은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을 동시에 1열로 최하층부터 배열되며, 최하층에 위치되는 하층블록(20)은 지반공사와 더불어 조적된다.
먼저, 1열로 배열되는 하층블록(20)의 상측에는 하층블록(20)과 외곽이 동일한 조건을 갖는 상층블록(10)이 안착되는데, 상층블록(10)을 하측블록의 상부에 일치시킬 경우 블록을 잡은 작업자의 손은 상기 하층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 안전홈(20a)에 작업자의 손이 위치되어 상층블록(10)의 조적에 대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층블록(20)의 수직되는 상부에는 상층블록(10)을 그대로 얹어 1조를 이루도록 하며, 이와 같이 옹벽의 블록 조적상의 제 1열 조적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층블록(10)의 상부 중앙지점에 복수개 형성된 지지공(14)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지지핀(30)을 꽂아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이 좌우 틀러짐 없게 지지시켜 준다.
상기 하층블록(20)에 상층블록(10)이 그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1조를 이룰 때 하층블록(20)의 제 2관통공(24) 내에 형성된 보강턱(25)은 상기 상층블록(10)의 지지턱(16) 저면과 밀착되는 상태이다.
상기 지지핀(30)은 상층블록(10)의 지지공(14)을 관통하면서, 하층블록(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형성된 지지홈(23)까지 안내되는 상태이며, 안내된 지지핀(30)의 상측은 상기 지지공(14)의 입구에서부터 1.5∼2mm정도의 깊이에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핀(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핀(30)이 설치된 자리에 해당하는 파이프 설치홈(13)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배수파이프(40)가 더불어 공사되는 지형측과 함께 설치되는데, 배수파이프(40)의 설치는 지형으로부터 스며든 빗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며, 이 배수파이프(40)의 일단은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에 안내됨에 있어, 파이프 설치홈(13)이 소정각도의 경사도를 갖고 있어 설치되는 배수파이프(40)는 소정각도로 설치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다. 여기서 지형측으로 설치되는 배수파이프(40)의 일단에는 필터 등의 여과망(도면에서 생략함)이 설치하여 물만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 설치홈(13)에 안내되는 배수파이프(40)의 일단은 파이프 설치홈(13) 형성에 따른 역부재꼴 형상의 통공(12)에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지형으로부터의 배수구조를 갖도록 하는 상층블록(10)의 통공(12)은 하층블록(20)의 통공홈(21)과 일치되는 형태로서 상기 통공홈(21)과 통공(12) 내의 공간에는 흙을 메워 자생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거나, 인위적으로 식물을 심어 옹벽블록으로부터 자연조경 효과를 더해줄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층블록(10)의 통공(12)과 하층블록(20)의 통공홈(21)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상기 배수파이프(40)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는 자연적으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통공(12)과 통공홈(21)에 유입되어 별도로 물을 공급시켜 주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파이프(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지나치게 많이 공급되는 때에는 상기 통공홈(21)의 바닥측 물배수공(22)을 통하여 블록의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파이프(40)의 위치에 따라 물배수공(22)은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의 최 상층열로부터 차례로 물을 배수시킴에 있어, 예를 들어 제 3열과 최하층의 1열은 전면상에서 볼 때 그 수직되는 하측 식물뿌리로 물이 배수되어 배수가 과다하게 일어나는 옹벽의 상층부위부터 차례로 그 하층으로 배수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되어 식물 성장을 고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1열 조적이 일차적으로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층블록(10)과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상층블록(10)사이에 또 다시 하층블록(20)을 각각 배열시켜 상기 상층블록(10)에 대하여 상호 엇갈리게 조적시키고, 하층블록(20)이 배열된 조적된 상태에서는 그 상층에 상층블록(10)을 조적하며, 상층블록(10)이 조적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층블록(10)의 지지공(14)과 하층블록(20)의 지지홈(23)에 일자형의 지지핀(30)을 꽂아 2열 조적된는 하층블록(20)과 상층블록(10)을 상호 지지시켜 주며, 상층블록(10)의 파이프 설치홈(13)에는 또 다시 배수파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열로 설치되는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에 있어, 하층블록(20)은 1열의 상층블록(10)에 얹어질 때 하층블록(20)의 1열의 상층블록(10)을 전면에서 볼 때 중심으로 하층블록(20)의 좌측 또는 우측의 라운딩부분 외곽이 상층블록(10)의 전면에 형성된 호형의 이탈방지턱(11) 내면에 걸려 후방으로부터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하층블록(20)은 상기 이탈방지턱(11)에 그 전면 라운딩 외곽이 걸려 지지됨에 있어 그 후방으로는 상기 제 1열측의 상측불록 상면의 파이프 설치홈(13) 좌우측 제 1관통공(15)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16)부분을 하층블록(20)의 제 2관통공(24) 저면에서 수용하는 형태로, 이때의 하층블록(20)은 상기 이탈방지턱(11), 지지턱(16)에 의해 전후, 좌우방향으로 상호 밀려나지 않는 형태로 상기 상층블록(10)에 대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층블록(20) 수직상에는 또다시 상층블록(10)이 얹혀지고, 상층블록(10)의 지지공(14) 및 하층블록(20)의 지지홈(23)에 지지핀(30)이설치되어 더욱 안정적인 블록을 조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록을 조적하여 축대지형에 대한 옹벽을 형성시킴에 있어, 블록이 조적되는 2열 4열, 6열 등의 상층블록(10)에 있어서는 옹벽블록의 통상적인 지지방법으로 지형측과 지지구조를 갖기 위한 매쉬망(도면에서 생략함)이 설치되며, 매쉬망의 일부분은 상층블록(10)의 지지턱(16)을 수용하는 형태로 지형측과 블록측을 상호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쉬망이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 사이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을 잡아주는 지지핀(30)을 수용하는 형태로도 지형측과 블록측을 상호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1열부터 상층블록(10) 및 하층블록(20)을 한 쌍으로 하여 조적시킴에 있어, 상기 상층블록(10)의 제 1관통공(15)과 하층블록(20)의 제 2관통공(24)에는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축대 지형에 따라 비교적 잔 자갈을 채워 옹벽지지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최하층부터 최상층까지 관통되는 제 1관통공(15)과 제 2관통공(24)에는 철근(도면에서 생략함)을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그 주변에 콘크리트물을 타설하여 블록의 조적에 따른 옹벽의 보강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대지형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곡선을 이루는 코너지점에 블록을 조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곡선을 따라 최하층에 위치되는 하층블록(20)을 배열하고, 그 상측에 상기한 바와 같이 또 다른 하층블록(20)을 제 1열의 상층블록(10)에 조적시킴에 있어, 제 1열의 상층블록(10)은 최초 하층블록(20) 수직 상에 얹혀지기 전에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블록(10)의 지지턱(16)에 형성된 파손 홈자리표시(16a,16b)를 일부 파손시켜 준다.
상기 홈자리표시(16a)는 돌출된 지지턱(16)의 상면을 파손정도를 표시해 둔 것으로, 상면으로부터 파손 홈자리표시(16a) 또는 파손 홈자리표시(16a)를 중심으로 일부분 지지턱(16)을 파손시켜준다.
도 9에서 상기 파손 홈자리 표시(16a)는 각각 블록의 전면이 내측으로 곡면지게 조적되는 상태로 시공될 때 파손되는 자리이고, 도 10에서의 파손 홈자리 표시(16B)는 각각 블록의 전면이 외측으로 곡면지게 조적되는 상태로 시공될 때 파손되는 자리이다.
여기서 지지턱(16)의 파손정도는 곡선으로 배열되는 상층블록(10)간의 지지턱(16)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층블록(10) 상에 교호로 얹혀지는 하층블록(20)이 상기 상층블록(10)의 상기 지지턱(16) 파손 부분에 따라 제 2관통공(24)의 저면부분이 나머지 지지턱(16)부분에 걸쳐 지지될 수 있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곡면배열로 시공되는 상층블록(10) 및 하층블록(20)은 곡면이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에 따라 일직선상으로 조적되는 블록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연장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곡면으로 배열 설치되는 하층블록(20)과 상층블록(10)을 1조를 이루기 때문에 상층블록(10)에 대하여 하층블록(20)을 지지핀(30)으로서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제 2열의 하층블록(20)은 1열의 상층블록(10)의 이탈방지턱(11)에 대하여 그 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탈방지턱(11)의 내면으로부터 하층블록(20)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며, 곡면상태로 각 배열되는 하층블록(20)의 제 2관통공(24) 저면측은 교호로 그 층열에 조적된 각 상층블록(10)의 지지턱(16) 간격에 대하여 상호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은 상층블록(10)의 통공(12)과 하층블록(20)의 통공홈(21)에 흙을 제공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자연미를 살릴 수 있음과 동시에, 식물성장은 지형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별도의 관리 없이 식물성장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측블록과 상층블록(10)을 1조로 함으로써, 이들을 각각 먼저 지지시키고, 일반적인 블록과 같이 교호로 시공함에 있어, 1조를 이루는 하층블록(20)과 상층블록(10)을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블록보다 다루기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축대지형에 조적되는 블록에 있어,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의 각 열마다 조적시키기 위한 블록을 상층과 하층블록으로 구분하여 작업자가 블록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층블록과 하층블록을 상호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을 상호 교호적으로 조적함에 있어, 상층블록에 형성된 지지턱 및 이탈방지턱으로부터 하층블록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하여 옹벽형성에 따른 블록의 구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형조건에 맞는 곡면 조적이 연장 가능토록 하고, 지형공사와 함께 이루어지는 옹벽구축에 있어, 상기상층블록에는 통공을 두고, 하층블록에는 통공홈를 두어 이곳에 제공되는 흙으로 하여금 식물의 자생이나 인위적인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면서 지형으로부터는 블록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로 하여금 식물자생에 필요한 물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환경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옹벽블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축대 지형에 축조되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반원형의 호형상을 이루며, 상부 중앙 전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는 호형의 이탈방지턱(11)이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턱(11)의 내면 상면에서부터 저면까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12)의 협소부분으로부터 상부 중앙에 배면까지 경사각을 갖는 파이프 설치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13) 내에는 소정직경의 지지공(14)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을 중심으로 상부 좌우측에 수용하기 위한 제 1관통공(15)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설치홈(13)에 근접되는 제 1관통공(15)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블록을 상호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6)이 상기 이탈방지턱(11)과 대등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상층블록(10)과;
    직각되는 측면과 후면을 제외한 전면은 상기 상층블록(10)과 동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통공(12)과 같은 역부채꼴형상을 갖는 통공홈(21)가 소정깊이 형성되되, 그 바닥 중앙에 물배수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홈(21)의 협소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중앙 상면에는 상기 지지공(14)과 일치되는 지지홈(23)가 소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3)가 형성되는 중앙 좌우측에는 상기 제 1관통공(15)과 일치되는 제 2관통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15)의 후방에 직각되는 모퉁이에 상기 지지턱(16)의 저면이 일치되는 보강턱(25)이 상면부터 저면까지 형성된 하층블록(20)과;
    상기 상층블록(10)의 지지공(14)과 하층블록(20)의 지지홈(23)에 안내 설치되어 상층블록(10)과 하층블록(20)을 상호 지지하는 지지핀(30)과;
    상기 파이프 설치홈(13) 내에 설치되어 지형으로부터 지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화분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층블록(10) 및 하층블록(20)의 전면 또는 측면 상부일측, 통공(12) 상부일측에 소정깊이 함몰 형성된 손잡이 안전홈(10a,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화분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층블록(10)의 지지턱(16) 상면에는 하층블록(20)설치에 따른 지지턱(16)의 일부 파손 홈자리표시(16a,1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화분 블록.
KR2020010007257U 2001-03-16 2001-03-16 옹벽용 화분 블록 KR200233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257U KR200233310Y1 (ko) 2001-03-16 2001-03-16 옹벽용 화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257U KR200233310Y1 (ko) 2001-03-16 2001-03-16 옹벽용 화분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310Y1 true KR200233310Y1 (ko) 2001-10-08

Family

ID=7309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257U KR200233310Y1 (ko) 2001-03-16 2001-03-16 옹벽용 화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3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250A (zh) * 2017-12-22 2018-05-2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植生槽的自嵌式生态水工挡土墙砖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6250A (zh) * 2017-12-22 2018-05-2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植生槽的自嵌式生态水工挡土墙砖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965B2 (en)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constructed from such blocks
US5484234A (en) Building module for plantable walls with a bulk filling material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200233310Y1 (ko) 옹벽용 화분 블록
JP3118346U (ja) 護岸ブロック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4606980B2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JPH08120693A (ja) 擁 壁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KR101167559B1 (ko)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CN211816760U (zh) 一种便于植被生长的装配式绿化带结构
KR102660558B1 (ko) 저영향개발 세그먼트 구조박스
CN215406162U (zh) 一种土木挡土墙结构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KR200260482Y1 (ko) 식생 및 어소환경 조성용 기초블록
KR100777944B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0275387Y1 (ko) 식생옹벽 구조체
KR20190020866A (ko) 사면 보호용 식생 경사블럭
KR200352991Y1 (ko) 사면 보호용 식생 호안 블럭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