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296Y1 -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 Google Patents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296Y1
KR200233296Y1 KR2020010006749U KR20010006749U KR200233296Y1 KR 200233296 Y1 KR200233296 Y1 KR 200233296Y1 KR 2020010006749 U KR2020010006749 U KR 2020010006749U KR 20010006749 U KR20010006749 U KR 20010006749U KR 200233296 Y1 KR200233296 Y1 KR 200233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cover plate
disc
pi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06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296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와의 결합을 위하여 원판과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원판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느 크기의 원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제작 가능한 지지다리를 갖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상기 강관말뚝을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판(10); 및,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 날개부(20b)와 중앙부(20a)로 구분되고 상기 중앙부(20a)에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강관말뚝 내부면과 일치하는 위치의 원판(10) 하부면에 접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하여 원판과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지지다리는 원판 크기에 상관없이 어느 크기의 원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규격으로 제작 가능하게 되어 제작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강관말뚝과의 결합방식으로 용접없이 나사체결방식을 채택할 수 하므로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Cover plate for reinforcing a head of steel pipe pile}
본 고안은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하여 원판과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원판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느 크기의 원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제작 가능한 지지다리를 갖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건축물의 시공시 지반이 무른 경우에 지반의 강도 증대를 위해 지반 다지기를 하는데, 이러한 지반 다지기의 일종으로 말뚝지정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말뚝지정으로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나무말뚝지정, 콘크리트말뚝지정, 강관말뚝지정이 있으며, 본 고안은 이러한 말뚝지정 중 강관말뚝지정을 적용하는 경우에서, 강관말뚝 지정과 철근콘크리트 기초를 결합하여 하중을 적절히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채택되는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 적용하는 것으로서 공기단축, 현장 적용성 향상, 품질규격화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에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제1도는 특허 10-1998-55835호(공개번호 특1999-0078514)로 출원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장점을 만족시키는 원판과 +자형의 보강판으로 구성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출원은 강관말뚝 두부에 설치되면 보강판의 +자형의 네 단부가 강관말뚝 내부면에 접하게 되며, 이어 강관말뚝과 보강판을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형의 보강판의 네 단부가 강관말뚝 내부면에 접하게 되므로 상기 보강판은 원판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되어야하는 바 결국 상기 원판은 강관말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설치되는 곳의 강관말뚝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자형 보강판 제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원판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떤 크기의 원판에도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한 보강판(지지다리)을 갖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하여 원판과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원판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떤 크기의 원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제작 가능한 지지다리를 갖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강관말뚝과의 결합방식으로 작업성이 용이한 나사체결방식을 채택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 종래의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과 강관말뚝과의 결합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구체예의 정면도(제2a) 및 평면도(제2b)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강관말뚝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강관말뚝 10: 원판
11: 철근 또는 환봉 20: 지지다리
20a: 중앙부 20b: 날개부
25: 너트 30: 고장력볼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상기 강관말뚝을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판(10); 및,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 날개부(20b)와 중앙부(20a)로 구분되고 상기 중앙부(20a)에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강관말뚝 내부면과 일치하는위치의 원판(10) 하부면에 접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강관말뚝을 덮을 정도의 크기의 원판(10)과 상기 원판(10) 하부면에 접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20)로 구성된다.
원판(10)은 하부의 강관말뚝 지정과 상부의 철근콘크리트 기초를 연결시켜 상부구조물에서 기초로 전달된 하중을 등분포하여 강관말뚝으로 다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강관말뚝 지정과 철근콘크리트 기초 사이를 보강하는 매개가 된다. 또한, 원판(10)은 그 상부면에 철근 또는 환봉(11)이 접합(용접 또는 볼트접합)되어 강관말뚝 상부에 구축되는 철근콘크리트 기초의 바탕판이 되기도 한다. 상기 원판(10)의 크기는 강관말뚝(1)을 덮을 정도로 제작되므로, 설치되는 곳의 강관말뚝(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그 형상도 통상의 강관말뚝(1)이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바 그에 따라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다리(20)는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 날개부(20b)와 중앙부(20a)로 구분되고 상기 중앙부(20a)에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강관말뚝(1) 내부면과 일치하는 위치의 원판(10) 하부면에 다수개가 접합된다. 상기 중앙부(20a)의 암나사구멍은 강관말뚝(1)과 볼트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원판(10)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강관말뚝(1)에 결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양 날개부(20b)는 원판(10)을 보강하여 기초에서 원판으로 전달된 하중을 다시 강관말뚝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또한, 지지다리(20)의 내측으로 암나사구멍에 너트(25)가 부착, 형성되면 강관말뚝과의 볼트체결 결합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지지다리(20)를 일정 규격으로 제작하면 원판(10)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떤 크기의 원판에라도 접합 적용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제작은 훨씬 간편해지고 제작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 직경이 Ф508인 원형 원판(10)을 적용하고 상기 원형 원판(10)의 중심각 120°간격으로 원판 하부면에 지지다리(20) 3개가 용접 접합되는 경우이지만, 원판(10)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지지다리(20)는 적용가능하며 그 설치 간격 및 개수 또한 경우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이하, 제3도 및 제4도에 따라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이용하여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강관말뚝(1) 두부의 적정위치(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지지다리의 암나사구멍과 일치하는 위치)에 볼트구멍이 천공되도록 하고 전술한 본 발명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준비한다. 상기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원판(10) 상부면에는 기초의 주근이 되는 철근 또는 환봉(11)이 접합,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을 강관말뚝(1) 두부에 설치하여 원판(10)이 강관말뚝(1) 두부 단면에 얹혀지고, 지지다리의 중앙부(20a)가 강관말뚝(1) 내부면에 접하면서 상기 중앙부(20a)의 암나사구멍이 상기 강관말뚝(1) 두부의 볼트구멍과 일치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 강관말뚝(1) 두부의 볼트구멍과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의 지지다리의 중앙부(20a)의 암나사구멍에 볼트체결하면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은 강관말뚝(1)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볼트체결시 고장력볼트(30)를 이용하면 우수한 체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하여 원판과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지지다리는 원판 크기에 상관없이 어느 크기의 원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규격으로 제작 가능하게 되어 제작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강관말뚝과의 결합방식으로 용접없이 나사체결방식을 채택할 수 하므로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기초의 결합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 덮개판에서,
    상기 강관말뚝을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판(10); 및,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 날개부(20b)와 중앙부(20a)로 구분되고 상기 중앙부(20a)에는 암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강관말뚝 내부면과 일치하는 위치의 원판(10) 하부면에 접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다리(20) 내측으로 암나사구멍에 너트(25)가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지지다리의 중앙부(20a)의 암나사구멍에 고장력볼트(30)를 체결함으로 강관말뚝(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원판(10) 상부면으로 철근 또는 환봉(11)이 더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KR2020010006749U 2001-03-13 2001-03-13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KR200233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9U KR200233296Y1 (ko) 2001-03-13 2001-03-13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9U KR200233296Y1 (ko) 2001-03-13 2001-03-13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296Y1 true KR200233296Y1 (ko) 2001-10-08

Family

ID=7306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49U KR200233296Y1 (ko) 2001-03-13 2001-03-13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2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89A (ko) * 2002-04-29 2002-06-10 이창남 강관말뚝 삽입식 머리마감
KR100779582B1 (ko) 2007-04-06 2007-11-28 상촌건설(주)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89A (ko) * 2002-04-29 2002-06-10 이창남 강관말뚝 삽입식 머리마감
KR100779582B1 (ko) 2007-04-06 2007-11-28 상촌건설(주)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3594A (en) Spherical building structure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050000710A (ko) 콘크리트말뚝의 이음을 위한 말뚝 연결장치
GB2111553A (en) Post support
KR200233296Y1 (ko) 강관말뚝 두부 보강 덮개판
KR102213361B1 (ko) 버팀보 연결구
JP4346044B2 (ja) 斜面安定装置
JP2005299214A (ja) 簡易基礎及び簡易基礎の集合体
JP4628838B2 (ja) 鋼製基礎構造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JPH0447316Y2 (ko)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100352983B1 (ko) 에이치형강 말뚝 머리 보강장치
JPH04185834A (ja) 立体トラス構造物及びその構築工法
JP2002242192A (ja) ワイヤーロープ固定具と斜面安定工法
KR200225668Y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101123950B1 (ko) 철망 펜스용 지주
JP2009041348A (ja) アンカー用受圧装置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JP4312223B2 (ja) 組立式家屋
KR20010044822A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JP4420763B2 (ja) ユニット建物及び柱脚の支持方法
JP2003116344A (ja) 組立式花壇
JP3788469B2 (ja) 床支持装置
KR20220072550A (ko) 재사용이 가능한 가철탑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