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035Y1 -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 Google Patents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035Y1
KR200233035Y1 KR2020010004222U KR20010004222U KR200233035Y1 KR 200233035 Y1 KR200233035 Y1 KR 200233035Y1 KR 2020010004222 U KR2020010004222 U KR 2020010004222U KR 20010004222 U KR20010004222 U KR 20010004222U KR 200233035 Y1 KR200233035 Y1 KR 200233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ailer
fixed
hook
scrap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락
Original Assignee
경북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북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4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035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일러로 운반한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효율적으로 비울 수 있도록 한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철(SCRAP IRON)을 싣어 트레일러(TRAILER)로 제철소등에 운반한 콘테이너(CONTAINER)를 지게차(FORKLIFT)로 들어 내린 다음 콘테이너의 한쪽을 크레인(CRANE)으로 들어올려 콘테이너의 반대쪽이 지면에 닿게 경사상으로 되게하여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비우게 됨으로 시간과 인력을 많이 소요하게 됨과 아울러 고철이 외부로 잘 나오지 않을 때는 콘테이너를 지면에 질질 끌어 이동시켜 비우게 됨으로 콘테이너 및 지면을 손상시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다 비운 후에는 크레인의 와이어(21)의 훅(HOOK)을 분리시키고 콘테이너를 다시 지게차로 트레일러에 들어 올려야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철을 싣어 트레일러로 제철소등으로 운반한 콘테이너를 크레인에 의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콘테이너를 경사상으로 되게하여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지면에 쏟을 수 있도록 하고,
고철을 비운 콘테이너를 지게차를 이용하지않고 트레일러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한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WORKING MACHINE OF CONTAINER FOR SCRAP IRON TRANSPORT}
본 고안은 트레일러로 운반한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효율적으로 비울 수 있도록 한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철(SCRAP IRON)을 싣어 트레일러(TRAILER)로 제철소등에 운반한 콘테이너(CONTAINER)를 지게차(FORKLIFT)로 들어 내린 다음 콘테이너의 한쪽을 크레인(CRANE)으로 들어올려 콘테이너의 반대쪽이 지면에 닿게 경사상으로 되게하여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비우게 됨으로 시간과 인력을 많이 소요하게 됨과 아울러 고철이 외부로 잘 나오지 않을 때는 콘테이너를 지면에 질질 끌어 이동시켜 비우게 됨으로 콘테이너 및 지면을 손상시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다 비운 후에는 크레인의 와이어훅(HOOK)에서 분리시키고 콘테이너를 지게차로 트레일러에 들어 올려야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철을 싣어 트레일러로 제철소등으로 운반한 콘테이너를 크레인에 의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콘테이너를 경사상으로 되게하여 콘테이너내의 고철을 지면에 쏟을 수 있도록 하고,
고철을 비운 콘테이너를 지게차를 이용하지않고 트레일러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한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적인 특징은,
한쌍의 H빔(1)(1')을 여러개의 연결판(3)으로 연결하여 양측에는 H빔(2)(2')을 고정하고 전기의 H빔(2)(2')의 끝에 고정한 안내관(4)에는 직사각형의걸림턱(501)을 형성한 축(5)을 끼워 너트(6)로 고정하여 안내구멍(401)의 외부로 노출시킨 축(5)의 작동간(502)은 H빔(1)(1')에 핀(7)으로 유착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01)와 핀(9)으로 연결하여 축(5)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H빔(1)(1')에는 크레인의 와이어(21)의 훅(22)을 걸기 위한 고리(10)(10')와 고리(11)(11')를 고정하는 한편 H빔(2)(2')에는 고리(12)(13)를 고정하고,
H빔(2)(2')의 중간에 고정한 브라켓(2-1)(2-2)에는 암(7)(7')을 핀(18')으로 유착하여 전기의 암(7)(7')에는 일단을 H빔(2)(2')에 고정한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190')를 핀(20')으로 연결하여 빔(2)(2')을 콘테이너(23)에 양호히 안치시킬 수 있도록하며,
H빔(1)(1')에 고정한 브라켓(14)(14')(15)(15')에는 암(16)(16')(17)(17')을 핀(18)으로 유착하여 전기의 암(16)(16')(17)(17')의 상단은 H빔(1)(1')에 일단을 고정한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190)와 핀(20)으로 연결하여 콘테이너(23)를 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작동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도
도3은 본 고안의 작동도
도5는 본 고안의 작동도
도6은 본 고안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H빔
2,2' : H빔
2-1,2-2 : 브라켓
3 : 연결판
4 : 안내관
401 : 안내구멍
5 : 축
501 : 걸림턱
502 : 작동간
6 : 너트
7,7' : 암
8 : 실린더
801 : 피스톤로드
9 : 핀
10,10',11,11',12,13 : 고리
14,14',15,15' : 브라켓
16,16' : 암
17,17' : 암
18,18' : 핀
19,19' : 실린더
190,190' : 피스톤로드
20 : 핀
21 : 와이어
22 : 훅
23 : 콘테이너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발췌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작동도로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H빔(1)(1')을 여러개의 연결판(3)으로 연결하여 양측에는 H빔(2)(2')을 고정하고 전기의 H빔(2)(2')의 끝에 고정한 안내관(4)에는 직사각형의 걸림턱(501)을 형성한 축(5)을 끼워 너트(6)로 고정하여 안내구멍(401)의 외부로 노출시킨 축(5)의 작동간(502)은 H빔(1)(1')에 핀(7)으로 유착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01)와 핀(9)으로 연결하여 축(5)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H빔(1)(1')에는 크레인의 와이어(21)의 훅(22)을 걸기 위한 고리(10)(10')와 고리(11)(11')를 고정하는 한편, H빔(2)(2')에는 고리(12)(13)를 고정하고,
H빔(2)(2')의 중간에 고정한 브라켓(2-1)(2-2)에는 암(7)(7')을 핀(18')으로 유착하여 전기의 암(7)(7')에는 일단을 H빔(2)(2')에 고정한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190')를 핀(20')으로 연결하여 빔(2)(2')을 콘테이너(23)에 양호히 안치시킬 수 있도록하며,
H빔(1)(1')에 고정한 브라켓(14)(14')(15)(15')에는 암(16)(16')(17)(17')을 핀(18)으로 유착하여 전기의 암(16)(16')(17)(17')의 상단은 H빔(1)(1')에 일단을 고정한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190)와 핀(20)으로 연결하여 콘테이너(23)를 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3A는 콘테이너모서리보강지주의 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트레일러로 운반한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을 비우고자할 때는 크레인의 와이어(21)에 고정한 훅(23)을 고리(12)와 고리(10')(11')에 걸고 이동시켜 콘테이너(23)의 상부에 근접시킨 다음 실린더(19')를 작동하여암(7)(7')을 도3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H빔(2)(2')은 콘테이너(23)에 바르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01)를 전진시키면 암(16)(16')(17)(17')은 핀(18)을 기점으로 도4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부 끝은 콘테이너(23)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때 축(5)의 걸림턱(501)도 콘테이너(23)의 모서리보강지주의 홈(23A)에 끼워 실린더(8)를 작동하여 걸여지게하면 고정상태는 더욱 견고하게 된다.
전기의 상태에서 크레인의 와이어(21)를 상승하여 콘테이너(23)를 트레일러 상부의 공중으로 들어올린 다음 고리(10')(11')에 훅(22)이 걸여진 와이어(21)는 그대로 정지상태로 둔 채 훅(22)이 고리(12)에 걸여진 와이어(21)를 하강시키면 도6과 같이 콘테이너(23)는 경사상으로 됨과 동시에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은 외부로 쏟기게 된다.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이 다 비워진 다음에는 고리(12)의 와이어(21)를 상승시켜 콘테이너(23)를 도5와 같이 수평으로 되게하여 트레일러에 올려 놓으면 되는데,
상기의 작동에 있어서 크레인의 와이어(21)의 훅(22)을 고리(13)와 고리(10)(11)에 걸어도 작동은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콘테이너(23)의 한쪽을 지면에 접촉시켜 질질 끌어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을 비우게 됨으로 인하여 콘테이너(23)의 손상과 지면이 파지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게차의 불필요로 신속 용이하게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을 비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트레일러에 놓인 콘테이너(23)를 공중으로 들어올려 콘테이너(23)를 공중에서 경사상으로 하여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을 비운 다음, 고철을 비운 콘테이너(23)를 다시 트레일러에 놓게 됨으로 신속 용이하게 콘테이너(23)내의 고철을 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한쌍의 H빔(1)(1')을 여러개의 연결판(3)으로 연결하여 양측에는 H빔(2)(2')을 고정하고 전기의 H빔(2)(2')의 끝에 고정한 안내관(4)에는 직사각형의 걸림턱(501)을 형성한 축(5)을 끼워 너트(6)로 고정하여 안내구멍(401)의 외부로 노출시킨 축(5)의 작동간(502)은 H빔(1)(1')에 핀(7)으로 유착한 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01)와 핀(9)으로 연결하여 축(5)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H빔(1)(1')에는 크레인의 와이어(21)의 훅(22)을 걸기 위한 고리(10)(10')와 고리(11)(11')를 고정하는 한편, H빔(2)(2')에는 고리(12)(13)를 고정하고,
    H빔(2)(2')의 중간에 고정한 브라켓(2-1)(2-2)에는 암(7)(7')을 핀(18')으로 유착하여 전기의 암(7)(7')에는 일단을 H빔(2)(2')에 고정한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190')를 핀(20')으로 연결하여 빔(2)(2')을 콘테이너(23)에 양호히 안치시킬 수 있도록하며,
    H빔(1)(1')에 고정한 브라켓(14)(14')(15)(15')에는 암(16)(16')(17)(17')을 핀(18)으로 유착하여 전기의 암(16)(16')(17)(17')의 상단은 H빔(1)(1')에 일단을 고정한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190)와 핀(20)으로 연결하여 콘테이너(23)를 집을 수 있도록 한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KR2020010004222U 2001-02-13 2001-02-13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KR200233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22U KR200233035Y1 (ko) 2001-02-13 2001-02-13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222U KR200233035Y1 (ko) 2001-02-13 2001-02-13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035Y1 true KR200233035Y1 (ko) 2001-09-29

Family

ID=7309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222U KR200233035Y1 (ko) 2001-02-13 2001-02-13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0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2262A1 (en) Grapple attachment
US3677428A (en) Bale lifter
KR200233035Y1 (ko)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CN105714868B (zh) 具有紧凑锁定构型的工具联接器
US3753508A (en) Skid wheel tractor utility boom
CN215364519U (zh) 一种集装箱箱体支撑装置、吊具及起重设备
KR200414485Y1 (ko) 크레인 차량
KR200233100Y1 (ko)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CN215208008U (zh) 一种集装箱正面吊用夹持吊具
CN210312556U (zh) 便利自卸式渣斗
CN210191550U (zh) 棉花周转设备
KR20070075622A (ko) 크레인 차량
CN209226411U (zh) 一种吊装立辊轧机传动轴的吊具
CN107601251B (zh) 一种自动倾倒集装箱吊具
JP3276098B2 (ja) 移動式建設機械におけるウェイトの取付け構造
CN217996709U (zh) 一种油桶旋转器
RU94524U1 (ru) Кран-манипулятор металловозный самосвального типа
CN219008812U (zh) 一种垃圾挂桶装置
CN211110649U (zh) 一种料箱专用吊具
CN210884913U (zh) 一种起重机用钢筋吊具
CN213651580U (zh) 一种快速装卸盘圆吊具
CN219238992U (zh) 一种可调节行车运载托盘装置
KR100880571B1 (ko) 스크랩박스내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후크 빔 장치
CN210261947U (zh) 自动卸料镀锌挂具
CN208454363U (zh) 一种起重机电控箱前盖板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