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271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271Y1
KR200232271Y1 KR2020010004815U KR20010004815U KR200232271Y1 KR 200232271 Y1 KR200232271 Y1 KR 200232271Y1 KR 2020010004815 U KR2020010004815 U KR 2020010004815U KR 20010004815 U KR20010004815 U KR 20010004815U KR 200232271 Y1 KR200232271 Y1 KR 200232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ss
writing
barrel
writing instrument
ca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2020010004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271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수용하는 배럴을 구비한 본체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심의 선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발광부재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부로 이루어진 선단부의 나침반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배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나침반장착부에 장착되는 나침반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주간 및 야간에 간편하게 방위를 확인할 수 있는 필기구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Pen}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나침반 및 조명부재가 부착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는 메모지나 수첩 등에 필기를 할 수 있는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품이다. 이러한 필기구는 각종 용도에 따라 개량된 형태가 여러 가지인데, 그 중에 하나가 조명을 위한 발광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필기구로서, 충분한 조명 하에서 일반 필기구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이 어두운 장소에서도 별도의 조명수단 없이 필기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개량된 종래의 필기구는, 필기심과 필기심을 수용하고 있는 배럴과 배럴의 선단부에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배럴의 단부를 덮는 캡부재를 갖고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행이나 산행을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필기구를 휴대하고 다니면 주야간 관계없이 용이하게 필기를 할 수 있으나, 갑자기 지도상에서 방향을 파악하거나 집터의 방위를 확인하고자 할 때는 나침반과 같은 방위 확인 수단이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의 팔기구와는 별도로 방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나침반을 장착한 일반 필기구가 이미 미국 의장 USD 0289424 호 및 국내 실용신안 20-0197746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나침반이 부착된 필기구는 밝은 주간에는 필기구에 부착된 나침반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방위를 확인할 수 있지만, 조명이 없는야간에는 별도의 조명을 이용해야만 방위를 확인할 수 있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필기구에 조명수단과 나침반을 마련하여 주간뿐만 아니라 조명이 없는 야간에도 방위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한 필기구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필기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에 장착된 나침반부재의 분리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에 장착된 나침반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캡부재
5 : 나침반 부재 7 : 스위치
9 : 발광부 11 : 배럴
13 : 필기심 15 : 전원공급부
31 : 고정부 33 : 나침반장착부
33a: 수용부 33b: 저부
51 : 자침수용부 53 : 자침지지부
55 : 자침 57 : 덮개판
59 : 접점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수용하는 배럴을 구비한 본체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심의 선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발광부재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부로 이루어진 선단부의 나침반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배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나침반장착부에 장착되는 나침반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침반장착부는, 상기 캡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나침반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저부가 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이 나침반부재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발광부재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전체가 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빛을 용이하게 투과시킬 수 있어 야간에 방위를 더욱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은, 메모지 등에 필기를 할 수 있는 필기심(13)과 필기심(13)과 인접하여 설치된 발광부(9) 및 내부에 필기심(1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된 배럴(11)을 가진 본체(1)와, 배럴(11)의 일단부를 덮을 수 있는 캡부재(3)와, 상기 캡부재(3)에 설치되어 방향을 표시하는 나침반부재(5)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는, 양단이 개방된 긴 통형상의 배럴(11)과, 배럴(11) 내부에 수용되어 장착되어 있어 배럴의 일단부에 노출되는 필기심(13)과, 필기심(13)을 둘러싸고 형성되어 필기심(13)을 지지하는 발광부(9)와, 이러한 발광부(9)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발광부(9)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발광부(9)는 발광소자(LED)로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7)는 배럴(11)의 타단부의 소정 영역에 걸쳐서 형성된 공간에 장착된 전원공급부(15)와 연결되어 돌림스위치나 원터치스위치 형식으로 발광부(9)를 점멸시킬 수 있도록 배럴(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나침반부재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확대 단면도로서, 특히, 필기구의 캡부재(3) 부분을 집중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3)는, 일단이 개방되고 중앙이 비어있는 통형상으로, 필기심(13)이 장착되어 있는 배럴(11)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영역까지 덮어 결합될 수 있다. 캡부재(3)의 외측에는 책깔피나 상의 주머니 등에 끼울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캡부재(3)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폐쇄된 단부에는, 하기 하는 나침반부재(5)를 장착할 수 있도록 캡부재(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영역에 걸쳐 캡부재에서 구획될 수 있도록 판상의 저부에 의해서 함몰공간을 형성한 수용부(33a)를 갖는 나침반장착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나침반장착부(33)의 저부(33b)는 투명체로 형성되어 있다.
나침반부재(5)는, 캡부재(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침반장착부(33)에 수용 결합되고 바닥에 돌출 형성된 자침지지부(53)가 형성되어 있는 자침수용부(51)와, 자침지지부(53)에 설치되어 방향을 표시하는 자침(55)과, 자침수용부(51)의 개구를 폐쇄하는 거의 반구형의 덮개판(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반구형의 덮개판이 볼록렌즈 역할을 하여 자침을 확대하여 볼 수 있어 방위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자침수용부(51) 및 덮개판(57)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체로 형성되어 있어, 필기심(13)을 둘러싸고 있는 발광부(9)로부터의 빛이 투과하여 나침반부재(5)를 비칠 수 있다. 그리고, 자침(55)은 남쪽과 북쪽을 가리킬 수 있는 판상의 마름모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무게중심점에 자침지지부(53)의 선단과 접하여 대응하도록 함몰 형성된 접점부(59)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판(57)은 중앙이 돌출 형성되어 자침의 접점부(59) 상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접점부분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자침(55)의 형상은 마름모꼴 외에도 화살형, 원판형 및 원통형 등 나침반장착부(33)의 형태에 맞게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은, 여행을 하거나 답사를 할 때, 필요한 사항들을 필기구로서 기재하고, 필요에 따라 방위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부재(3)를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세워 정렬한 후 캡부재(3)의 상단부에 장착된 나침반부재(5)로부터 방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불빛이 없는 야간에는 스위치(7)를 켜서 발광부(9)로부터 나오는 불빛에 의해서 밝혀진 나침반부재(5)를 보고 편리하게 방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은, 주간뿐만 아니라 조명이 없는 야간에도 별도의 조명 없이 필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위를 확인하고자 할 때,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갑자기 정전이 되거나 조명시설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는 간이 손전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3)에 장착된 나침반부재(5)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자침수용부재(51)와 덮개판(57)이 결합되어 내부의 형상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자침(53)이 구형의 나침반을 넣고 액체를 채워 넣은 부유형 구형 나침반을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면, 나침반을 수평으로 정렬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방위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리고, 캡부재(3)에 수용 결합된 나침반부재(5)는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나침반부재(5)만 별도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나침반부재(5)는 캡부재(3)의 일단에 격벽인 나침반장착부(33)의 저부(33b)에 직접 자침(53)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자침지지부(5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그러면, 별도의 자침수용부재(51)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가와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필기구의 캡부재에 투명체로 이루어진 나침반장착부를 마련하여 나침반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필기뿐만 아니라 임의의 장소에서 용이하게 방위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수용하는 배럴을 구비한 본체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심의 선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발광부재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부로 이루어진 선단부의 나침반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배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나침반장착부에 장착되는 나침반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침반장착부는, 상기 캡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나침반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저부가 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전체가 투명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20010004815U 2001-02-23 2001-02-23 필기구 KR200232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15U KR200232271Y1 (ko) 2001-02-23 2001-02-23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815U KR200232271Y1 (ko) 2001-02-23 2001-02-23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271Y1 true KR200232271Y1 (ko) 2001-09-25

Family

ID=7309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815U KR200232271Y1 (ko) 2001-02-23 2001-02-23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2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3535U (ja) 照明装置付き誘導棒
USRE41795E1 (en) Lighting device
TW201629433A (zh) 水平儀
PT1392999E (pt) Lanterna de bolso
US5523928A (en) Pen with illuminator
KR200232271Y1 (ko) 필기구
US2538475A (en) Surveyor's illuminated backsight
JP4318991B2 (ja) 拡大鏡機能を備えた筆記用具
US5961199A (en) Light pen
US20030110651A1 (en) Magnetic compass having illuminatingn device
JP2002329416A (ja) 人体センサー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60131878A (ko) 군사용 랜턴
US3613251A (en) Hand held bearing compass
US2483819A (en) Electric flashlight
US20030110650A1 (en) Magnetic compass
KR200339003Y1 (ko) 조명 비치볼
KR950006886B1 (ko) 라이트필기구
CN217694828U (zh) 一种水瓶
JP3074940U (ja) 履物に設ける発光装置
KR910001181Y1 (ko) 다목적 손전등
US20050007786A1 (en) Utility light-all purpose
KR20090021403A (ko) 시인성과 확산성이 뛰어난 낚시찌용 발광구
JP4049151B2 (ja) 携帯電灯
KR200250001Y1 (ko) 어두운 곳에서도 보이는 돋보기
KR200324682Y1 (ko) 낚시용 전자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