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980Y1 -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 Google Patents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980Y1
KR200231980Y1 KR2020010004763U KR20010004763U KR200231980Y1 KR 200231980 Y1 KR200231980 Y1 KR 200231980Y1 KR 2020010004763 U KR2020010004763 U KR 2020010004763U KR 20010004763 U KR20010004763 U KR 20010004763U KR 200231980 Y1 KR200231980 Y1 KR 200231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r
pedestal
hole
electric stapl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남
Original Assignee
김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남 filed Critical 김호남
Priority to KR2020010004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980Y1/ko

Lin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스테이플러(1)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플러 받침대(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테이플러 받침대(10)는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1)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1a)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공지의 체결수단인 피스 볼트(PB)로 상기 볼트 체결공(1a)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공(110)과 동심한 위치에 볼트자리홈(210)이 형성된 하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장소의 구분없이 다양하게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여 서류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하여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BASE OF ELECTRIC STAPLER}
본 고안은 전동 스테이플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플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테이플러 받침대를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서류를 잡고 스테이플 할 때, 바닥과 거리를 띄움으로써, 서류의 구김없이 깔끔하게 철(綴)할 수 있고, 상기 받침대의 하부중심에 형성된 중심공에 다양한 형태의 장착대의 장착이 가능하여 책상의 측단 또는 복사기 다이에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을 위해서 이리 저리 돌아 다니며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가 분실 또는 파손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플러를 특정장소, 즉, 복사기등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은 여러가지가 개시되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바가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0191271호로 '전동 스테플러를 장착한 복사기'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복사기(2) 일측에 장착되어 복사된 용지를 보관하도록 하는 장착대(20)와, 상기 장착대(20)의 상부일측에 복사된 용지를 철(綴)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1)와,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1)의 전원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내부의 복사기 전원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연결수단인 콘넥터(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는 서류를 투입하는 투입구(1b)가 책상의 상부면과 근접한 거리에 형성되어 여러장으로 모아진 서류를 상기 투입구(1b)에 투입할 때, 서류의 양측을 잡고 있는 양손의 손가락에 의해 서류의 측면이 상측으로 접히며 스테이플되므로 깔끔한 서류정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복사기 일측에 장착된 전동 스테이플러는 상기 복사기의 전원과 연결되에 복사기 측면에 장착되므로 다른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복사기 이외의 장소에서 정리된 서류를 철하기 위해서도 복사기 상부에 장착된 상기 스테이플러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므로 업무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 스테이플러의 서류 투입구를 높이 구비시켜 깔끔한 서류정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구비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 다용도의 스테이플러를 통해 일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사무원들의 업무 편의를 제공하여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테이플러가 장착된 복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고안 스테이플러 받침대와 전동 스테이플러의 결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나)는 가) 'A'-'A'선의 단면도로써, 스테이플러와 받침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일반적인 책상의 측부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스테이플러 받침대의 하부에 장착대를 구비하여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B'-'B'선의 단면도로 받침대와 장착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장착 스탠드와 본 고안의 받침대를 결합하여 복사기 다이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동 스테이플러 1a;체결공
2;복사기 10;스테이플러 받침대
100;상판 110;관통공
120;볼트 홀 200;하판
210;볼트 자리홈
본 고안은 전동 스테이플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플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테이플러 받침대는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통상의 체결수단인 피스 볼트로 상기 볼트 체결공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공과 동심한 위치에 볼트자리홈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2의 가)는 본 고안 스테이플러 받침대와 전동 스테이플러의 결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나)는 가) 'A'-'A'선의 단면도로써, 스테이플러와 받침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테이플러 받침대(이하, '받침대'라 칭한다.)(10)는 스테이플러(1)의 하부에 면접(面接)하는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역시 면접하며 구비되는 하판(200)으로 대별된다.
상기 상판(100)은 통상의 금속판을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테이플러(1) 하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양단에는 상기 스테이플러(1)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동심(同心)한 위치에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0)의 중앙에는 후술할 하판(200)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2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볼트 홀(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 홀(120)은 상부에 챔퍼링(Chamfering)으로 자리파기가 되어 상부에서 체결할 통상의 접시머리볼트(KS B 1017-82)의 머리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테이플러(1)와 결합할 때,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통상의 접시머리볼트를 체결하여 상, 하판(100)(200)을 장착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써, 상기 상, 하판(100)(200)의 면접부에 통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등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판(200)은 상기 상판(100)과 동일한 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 홀(120)과 동일한 위치에 통상의 탭(Tap.)으로 볼트 체결공(220)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모서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구(2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구(230)는 통상의 고무(Rubber)재질을 사용하여 책상등의 상부에 구비하고, 여러장의 서류를 철(綴)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 즉, 따닥거리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패드를 장착하는 방법 이외에 사출성형하여 피스 볼트(PB)로 체결하는 방진구를 장착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써, 일반적인 책상의 가장자리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스테이플러 받침대의 하부에 장착대를 구비하여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가) 'B'-'B'선의 단면도로 받침대와 장착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받침대(10)의 중심에 형성된 고정공(11)에 삽입봉(320)을 삽입하고, 일측에 형성된 조임공(12a)의 탭(Tap.)과 동일한 피치를 구비한 나사부가 형성된 조임핸들(12)을 조임으로써 회동, 즉, 상기 고정공(11)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스테이플러(1)의 하측에 구비된 본 고안의 받침대(10)를 고정하도록 하는 장착구(300)는 'ㄷ'자 형태의 본체(3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310)의 상측에 상기 고정공(11)에 삽입되는 삽입봉(320)을 장착하고, 하측으로는 고정핸들(330)이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1)의 하부에 장착된 받침대(10) 중심에 형성된 고정공(11)에 상기 삽입봉(320)을 끼우고, 책상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시킨 후, 상기 고정핸들(330)을 돌려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스테이플러(1)를 사용하기 적당한 위치로 방향을 정한 뒤, 상기 받침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조임구(12)를 돌려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기 전에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정한 뒤, 상기 조임구(12)를 조여서 유동을 방지한다.
〔제 3실시예〕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써, 받침대(10)를 장착 스탠드(400)와 결합하여 복사기 다이(4)에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받침대(10)가 장착 스탠드(400)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정공(11)에 상기 장착 스탠드(400)의 상단부(410) 상단이 상술한 삽입봉(320)의 역할을 하며 삽입되고, 일측에 구비된 조임구(12)를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회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단부(410)의 하측에는 중앙부(4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앙부(4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단부(410)가 안테나(Antenna)의 동작처럼 상, 하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상, 하 조절이 완료되어 서류를 스테이플하기에 이상적인 높이가 형성되면, 중앙부(420)의 상단에 구비된 조임구(12)를 조여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상기 조임구(12)는 상기 받침대(10)의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임구(12)와 동일하므로 동일 명칭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상기 조임구(12)는 중앙부(420)의 상, 하단에 구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높, 낮이 조절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 것으로, 하단에 구비된 하단부(430)도 상술한 상단부(410)와 마찬가지로 중앙부(420)의 내부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부(420)의 외형은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후술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복사기(10) 하측에 구비된 복사기 다이(4)의 일측에 장착될 때, 상기 복사기(2)의 상부덮개(3)를 여닫으며 생기는 간섭을 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부(430)의 하측에는 장착 브라켓(431)이 장착되어 직각 구조의 가장자리 부위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T'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써 용이하게 'ㄱ'자로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장착 스탠드(400)를 복사기 다이(4)의 일측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장착 위치는 사용자가 복사기(10)를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한 장소면 어디든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받침대(1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 책상의 상부에 놓고 사용할 수도 있고, 제 2, 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에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스테이플러 받침대(10)와 장착구(300), 장착 스탠드(400)에 의해 사용자들의 업무 편의를 최대한 도모하고, 스테이플 할 서류를 철(綴)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편리하고 깔끔하게 시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동 스테이플러의 서류투입구를 높이 구비시켜 깔끔한 서류정리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비된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 다용도의 스테이플러를 공급하여 일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사무원들의 업무 편의를 제공하여 업무의 능률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동 스테이플러(1)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플러 받침대(10)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 받침대(10)는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1)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1a)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공지의 체결수단인 피스 볼트(PB)로 상기 볼트 체결공(1a)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공(110)과 동심한 위치에 볼트자리홈(210)이 형성된 하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이플러의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 받침대(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고정공(11)에 삽입봉(320)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봉(320)의 하측에는 'ㄷ'자 형태로 절곡된 본체(310)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310)의 하측에는 고정핸들(330)을 구비하여 통상의 책상의 가장자리 부위에 장착하도록 하는 장착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이플러의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 받침대(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고정공(11)의 내측으로 에 상단이 삽입되어 일측에 구비된 조임구(12)에 의해 고정되는 상단부(410)와, 상기 상단부(410)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 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단에 구비된 조임구(12)에 의해 상기 상단부(4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중앙부(420)와, 상기 중앙부(420) 하단에 구비되고, 복사기 다이(4))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431)에 의해 장착됨과 동시에 상, 하 조절이 완료되면 하단에 구비된 조임구(12)에 의해 고정되는 하단부(430)로 이루어진 장착 스탠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이플러의 받침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300) 또는 장착 스탠드(400)에 결합된 복사기 받침대(10)는 일측에 구비된 조임구(12)의 견고한 조임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테이플러의 받침대.
KR2020010004763U 2001-02-23 2001-02-23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KR20023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763U KR200231980Y1 (ko) 2001-02-23 2001-02-23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763U KR200231980Y1 (ko) 2001-02-23 2001-02-23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980Y1 true KR200231980Y1 (ko) 2001-07-19

Family

ID=7309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763U KR200231980Y1 (ko) 2001-02-23 2001-02-23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52B1 (ko) 2005-12-06 2007-02-01 김호남 사무기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52B1 (ko) 2005-12-06 2007-02-01 김호남 사무기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1905C (en) Split top table assemblies
US20130075564A1 (en) Screw clamp having pivotal anchoring board
KR200231980Y1 (ko) 전동 스테이플러 받침대
CA2470728A1 (en) Display system
MXPA05001709A (es) Soporte para calendario de dos piezas.
ATE315145T1 (de) Plattenkonstruktion; insbesondere zur montage eines erhöhten bodens
US20010030272A1 (en) Holder for printed material
EP1279463A3 (de) Vorrichtung zur Vergrösserung eines Maschinentisches
KR200409626Y1 (ko) 키보드마우스테이블
US7325779B2 (en) Clip
CN206234586U (zh) 一种固定装置及电脑一体机固定系统
CN206036597U (zh) 弹性可调节的物体固定装置
CN208670540U (zh) 一种懒人支架
CN211830267U (zh) 便携式usb充电器
US11999047B1 (en) Tool holding frame
CN218072016U (zh) 一种侧面活动的电源组件
CN210783406U (zh) 艺术设计绘图专用桌
CN212840551U (zh) 屏幕支架的底座夹结构
JP3969608B2 (ja) 工具マガジンの工具把持構造
JP2002017456A (ja)
KR0127581Y1 (ko) 이젤 스탠드
KR200409226Y1 (ko) 바인더 커버
JP2000293264A (ja) デスクトップ型コンピュータ用書類ホルダ
JP2576808B2 (ja) 計算機のケーシング
KR200189299Y1 (ko) 카피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