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874Y1 -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874Y1
KR200231874Y1 KR2019990004452U KR19990004452U KR200231874Y1 KR 200231874 Y1 KR200231874 Y1 KR 200231874Y1 KR 2019990004452 U KR2019990004452 U KR 2019990004452U KR 19990004452 U KR19990004452 U KR 19990004452U KR 200231874 Y1 KR200231874 Y1 KR 200231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nkage
wiper
pivot assemb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457U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4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87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874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봇 어셈블리의 몸체와 샤프트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링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피봇 어셈블리(22)를 중심으로 크랭크 아암(34)과 크로스 바(20)가 연결되어지는 링키지는 피봇 어셈블리(22)의 몸체(24) 상면에 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물받이 홈(40)이 샤프트(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물이 스며들어 발생했던 부식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와이퍼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오는 날에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했을 때 항상 시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Linkage of wind shild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링키지의 피봇 어셈블리로 물이 스며들어 부식에 의해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엔진에서 폭발성이 있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켜서 휠(wheel)로 전달하여 지상에서 거리 변환을 추구하는 이동장치로써, 이동시에는 조향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런 자동차의 전면 혹은 후면 유리에는 와이퍼가 설치되어서 비 또는 눈이 올 때 유리를 닦아 내어 운전자의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와이퍼의 작동은 전동 모터와 연결된 링키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링크의 연결방법으로는 평형 연동형, 대향(對向)형 및 와이퍼식 등이 있다.
와이퍼식에 채용되는 와이퍼는 통상 본넷의 내부 패널에 장착되는 링키지와 전동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도 1에서는 링키지의 일부인 피봇 어셈블리를 집중적으로 도시하였다.
피봇 어셈블리(2)는 차체의 패널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되는 몸체(4)의 중심으로 샤프트(6)가 관통되는 구조로 되며, 샤프트(6)에는 크로스 바(8)와 크랭크 아암(10)이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크랭크 아암(10)의 끝단에는 로드(12)가 피봇볼(14)을 중심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링키지는, 로드(16)와 연계됨과 동시에 크로스 바(8)에 고정된 전동 모터(도시 생략됨)에 의해 작동되어지는데, 전동 모터의 회전은 로드(16)를 직선운동시키고, 이 직선운동은 크랭크 아암(10)을 작동시켜 샤프트(6)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런 샤프트(6)의 회전은 도시 생략된 와이퍼를 작동시켜서 유리를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몸체와 샤프트의 사이에 미세한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서 하부로 모여지게 되고, 샤프트의 하단부와 몸체 사이에 부식이 발생하면 샤프트는 몸체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고, 결국에는 와이퍼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운전자가 시계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안전운전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피봇 어셈블리의 몸체와 샤프트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링키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차체 패널에 고정된 몸체와 와이퍼가 조립된 샤프트로 구성되는 피봇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크랭크 아암과 크로스 바가 연결되어지는 링키지에서, 몸체의 상면에 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물받이 홈이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서 물의 유입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의 하단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에 따른 와이퍼가 미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 공지된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에서 피봇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크로스 바 22 : 피봇 어셈블리
24 : 몸체 26 : 샤프트28 : 볼트 구멍
30 : 걸림쇠 32 : 전동 모터
34 : 크랭크 아암 36 : 로드38 : 피봇 볼
40 : 물받이 홈 42 : 격벽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링키지는 크로스 바(20)의 양 끝단에 피봇 어셈블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봇 어셈블리(22)는 몸체(24)와 샤프트(26)로 구성되어지며, 몸체(24)에 볼트 구멍(28)이 형성되어 도시 생략된 차체의 패널에 볼트로 고정된다.
그리고, 볼트 구멍(28)의 인접한 위치에 볼트 구멍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공이 형성되어져 상기 샤프트(26)가 조립되어지며, 샤프트(26)의 하단에는 걸림쇠(30)가 장착되어 몸체(24)에서 샤프트(2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4)의 측면으로 상기의 크로스 바(20)가 고정되어지고, 샤프트(26)에는 후술하는 전동 모터(32)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연동되는 크랭크 아암(34)이 연계되어지며, 이 크랭크 아암(34)의 끝단에는 로드(36)가 피봇 볼(38)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전동 모터(32)는 크로스 바(20)에 고정된 채로 로드(36)와 랙 기어로 체결됨으로써 전동 모터(32)의 작동은 로드(36)를 직선운동되도록 하고, 이 운동에 의해 크랭크 아암(34)이 일정각도로 연동되면 샤프트(26)가 회전되며, 이 샤프트(26)에 블레이드가 장착된 와이퍼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유리를 세정할 수 있다.
한편, 피봇 어셈블리(22)에 물이 스며들 경우 부식으로 인한 샤프트(26)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와이퍼도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다.
이런 까닭에 본 고안에서는 몸체(24)의 상면에 물받이 홈(40)을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샤프트(26)의 둘레 절반 이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받이 홈(40)의 중간부분에 격벽(42)을 세워서 샤프트(26)의 상단으로 유입된 물이 격벽(42)을 타고 원활하게 물받이 홈(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물받이 홈(40)의 끝은 불트 구멍 쪽을 향하여 형성됨으로 물받이 홈(40)을 타고 흐르던 물은 샤프트(26)를 통해 몸체(24)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물받이 홈(40)을 따라 유도되어 외부로 흘려 보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크로스 바와 크랭크 아암이 연결되어지는 피봇 어셈블리의 몸체에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물받이 홈을 형성하여서 피봇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물기가 샤프트와 몸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 샤프트와 몸체 사이에 물이 스며들어 발생했던 부식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와이퍼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오는 날에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했을 때 항상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차체 패널에 고정되는 몸체와 와이퍼가 조립된 샤프트로 구성되는 피봇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크랭크 아암과 크로스 바가 연결되어지는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에 있어서,
    상기 몸체(24)의 상면에 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물받이 홈(40)이 샤프트(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서 물의 유입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KR2019990004452U 1999-03-19 1999-03-19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KR200231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452U KR200231874Y1 (ko) 1999-03-19 1999-03-19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452U KR200231874Y1 (ko) 1999-03-19 1999-03-19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457U KR20000018457U (ko) 2000-10-16
KR200231874Y1 true KR200231874Y1 (ko) 2001-07-19

Family

ID=5476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452U KR200231874Y1 (ko) 1999-03-19 1999-03-19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8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25B1 (ko) * 2000-09-07 2003-01-24 주식회사 캄코 자동차용 와이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457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728B2 (en) Method for adjusting a wiping angle
KR200231874Y1 (ko) 자동차용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링키지
KR20060004291A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CN1118393C (zh) 风挡玻璃刮水装置
KR10032495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작동 시스템
CN211592493U (zh) 一种汽车雨刮器
CN219446929U (zh) 一种工程车用平移式雨刮器
KR0120691Y1 (ko) 자동차의 리어윈도용 와이퍼 어셈블리
KR200172282Y1 (ko) 자동차용와이퍼
CN215793648U (zh) 一种挖掘机用雨刮器传动机构
CN205396025U (zh) 挡风玻璃内外自动清洁装置
KR200213439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0112767Y1 (ko) 자동차용 윈드쉬일드와이퍼
KR100535014B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풍음 방지 장치
KR200213444Y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
JPH0238432B2 (ko)
KR200163525Y1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KR200166949Y1 (ko) 자동차의 캠 구동식 와이퍼
KR19980045083U (ko) 스포일러 기능이 겸비되는 윈드실드 와이퍼 보호커버
KR19980046714U (ko) 자동차용 와이퍼 스포일러 구조
KR0129399Y1 (ko) 자동차의 와이퍼 취부구조
KR200213436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20000003872U (ko) 자동차 윈드실드의 빗물흐름방지장치
KR19980062494A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구조
KR19980035809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