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317Y1 -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 Google Patents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317Y1
KR200231317Y1 KR2019980007645U KR19980007645U KR200231317Y1 KR 200231317 Y1 KR200231317 Y1 KR 200231317Y1 KR 2019980007645 U KR2019980007645 U KR 2019980007645U KR 19980007645 U KR19980007645 U KR 19980007645U KR 200231317 Y1 KR200231317 Y1 KR 200231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nveyor
conveying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sh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947U (ko
Inventor
준종 조
Original Assignee
준종 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종 조 filed Critical 준종 조
Priority to KR2019980007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17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17Y1/ko

Links

Landscapes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퇴비 또는 가축용 사료 등을 배합,공급하는 믹서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류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전달축상으로 다수개의 이송편이 분리구성되고, 각 이송편의 일측면으로는 보강판을 설치되어 이송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스크류컨베이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편의 분리구성에 의한 하중의 분산으로 형태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므로서, 원활한 배합 및 공급이 이루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보강판을 구성시켜,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한 농업용 믹서장치의 스크류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일측으로 보강판을 갖는 다수개의 이송편이 동력전달축의 외주면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산형태로 이격고정된 스크류컨베이어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농업용 믹서장치의 스크류컨베이어구조
본 고안은 농업용 퇴비 또는 가축용 사료 등을 배합,공급하는 믹서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류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전달축상으로 다수개의 이송편이 분리구성되고, 각 이송편의 일측면으로는 보강판을 설치되어 이송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스크류컨베이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배합 및 공급장치내로는 배합 및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축상에 나사선 형태의 이송날개가 결합된 스크류컨베이어를 적용하여, 이송날개의 회전력을 이용해 각종 재료를 배합,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공업용뿐만아니라, 농업용으로서 퇴비 또는 가축의 사료를 배합,공급하는 농업용 믹서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배합, 공급수단으로서, 종래 농업용 믹서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류컨베이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동력전달축(110)의 외주면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상체를 취하는 이송날개(120)가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나사산형태로 결합되어, 이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농업용 퇴비 또는 볏짚 및 건초류등으로 구성되는 가축용 사료를 배합,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스크류컨베이어(100)의 이송날개(120)는 자체하중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기위해 되도록 얇게 구성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스크류컨베이어(100)는 이송날개(120)를 구성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같이 자체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얇은 판상체를 연속적인 나사산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사용시 배합,이송되는 퇴비 또는 사료의 하중과 압력에 의해 이송날개(120)의 형태가 변형되어 원활한 공급이 이루워지지않을 뿐만아니라 그 배합율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수시로 이송날개(120)의 형태변형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며, 심하게는 파손되는 경우까지 발생되어 내구성에도 상당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농업용 믹서장치 스크류컨베이어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전달축상으로 이송편을 분리구성시켜, 하중을 분산하여 형태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므로서, 원활한 배합 및 공급이 이루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보강판을 구성시켜,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한 농업용 믹서장치의 스크류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일측으로 보강판을 갖는 다수개의 이송편이 동력전달축의 외주면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산형태로 이격고정된 스크류컨베이어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믹서장치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있어 이송편의 요부발췌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믹서장치 스크류컨베이어의 작용 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류컨베이어 본체 2 : 동력전달축 3,3',3" : 이송편
21,21' : 결합구 31 : 이송면 32 : 보강판
321 : 보강턱 H : 믹서장치의 적재함 G : 배출구
M : 배합물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믹서장치 스크류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믹서장치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있어 이송편의 요부발췌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믹서장치 스크류컨베이어의 작용 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동력전달축(2)의 외주면상으로 다수개의 이송편(3)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산형태로 결합되어 스크류컨베이어 본체(1)를 구성하며, 상기 이송편(3)의 일측면으로 보강판(32)을 형성시키므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축(2)은 길이를 갖는 원통형을 취하며, 일측과 타측단부로 결합구(21,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믹서장치의 동력원과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편(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상을 취하는 판상체로서, 일측은 직각형상을 이루고, 타측은 완만한 곡선으로 구성되어 상기 동력전달축(2)의 외주면상에 다수개가 나사산형태로 용접 등의 작업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이며, 이렇게 동력전달축(2)상에 결합되는 이송편(3)은 자체적으로 경사각을 갖게 되어, 그 일측면이 각종 배합물을 배합,이송하는 이송면(31)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편(3)의 설치간격은 작동방향쪽으로 갈수록 그 간격을 좁게 구성시므로서, 각 이송편(3)의 작동간격변화에 의해 배합물(M)의 배합율 및 이송력을 증진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2)의 일측에 이송편(3)이 나사산형태로 결합되는 시작지점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넓은 이송면을 갖는 이송편(3')을 고정결합하여, 이송편(3)의 작동방향으로 원활한 배합물 공급이 이루워지도록 하고, 동력전달축(2)의 타측 이송편(3'')은 각 이송편(3)의 작동방향에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이송편(3')을 고정결합하여 후술하는 적재함의 배출구(G)로 배합물(M)이 유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판(32)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상체를 취하되, 일측이 절곡되어 이송턱(321)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한 이송편(3, 3',3")의 타측면 즉, 이송면(31)의 배면으로 이송편(3,3',3")과 동력전달축(2)을 용접 등에 의해 연결고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이송턱(321)은 전술한 이송편(3,3',3")이 회전하는 방향의 형성된 직각부분과 수평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스크류컨베이어를 믹서장치내로 결합함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운기 또는 트랙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재함(H)의 내부로 상기 다수개 이송편(3,3',3")을 갖는 동력전달축(2)을 고정설치하되, 상기 동력전달축(3)의 일측 결합구(21)를 동력원과 연결하여 회전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배합하고자하는 퇴비 또는 각종 사료등의 배합물(M)을 적재함(H)의 내부로 공급하여 동력전달축(2)을 작동시키게 되면, 이 동력전달축(2)에 구성된 다수개의 이송편(3,3',3")이 회전됨에 따라 각 이송편(3,3',3")의 작동방향 즉, 회전방향으로 배합물(H)을 이송하며 배합시켜 적절히 혼합한 후 별도의 배출구(G)를 통해 외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동력전달축(2)상에 형성된 이송편(3,3',3")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구성되어, 그 회전시 배합물(M)의 하중 및 압력을 각 이송편(3,3',3")의 구성간격사이로 분산하므로서,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오작동 및 이송편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각 이송편(3,3'3")의 배면으로 구성된 보강판(32)은 이송편(3,3',3")의 형태변형 및 파손을 이중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퇴비 및 각종사료 등의 배합시, 이송턱(321)에 의해 배합물(M)을 작동방향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믹서장치의 스크류컨베이어는 통상의 스크류컨베이어 이송날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송편을 동력전달축상에 분리, 구성시키므로서 작동시, 배합물의 하중을 분산하여 용이하게 퇴비나 각종사료를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며, 별도의 보강판 구성으로 이송편의 형태변형 및 파손 등을 방지하므로서, 내구성 및 형태관리의 번거로움이 해소된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합,이송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으로 보강판(32)을 갖는 다수개의 이송편(3,3',3")이 동력전달축(2)의 외주면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산형태로 이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믹서장치의 스크류컨베이어.
KR2019980007645U 1998-05-11 1998-05-11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KR200231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645U KR200231317Y1 (ko) 1998-05-11 1998-05-11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645U KR200231317Y1 (ko) 1998-05-11 1998-05-11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947U KR19990040947U (ko) 1999-12-06
KR200231317Y1 true KR200231317Y1 (ko) 2001-12-01

Family

ID=6951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645U KR200231317Y1 (ko) 1998-05-11 1998-05-11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534B1 (ko) * 2008-03-17 2010-06-23 동우환경산업(주) 폐기물 고형연료 공급장치
KR101557095B1 (ko) * 2014-08-22 2015-10-13 주식회사 건하 버너 연료 이송부
KR101998317B1 (ko) * 2018-04-20 2019-07-09 박장순 스팀사료 배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947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4939A1 (en) Preconditioner having independently driven high-speed mixer shafts
US7674492B2 (en) Preconditioner having independently driven high-speed mixer shafts
KR200231317Y1 (ko) 농업용믹서장치의스크류컨베이어구조
CA2218472A1 (e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DE69400914T2 (de) Gerät für die mischung faseriger produkte
KR200486945Y1 (ko)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KR20110121028A (ko) 사료 혼합공급기의 구동변속장치
US3502053A (en) Apparatus for mixing,distributing and dispensing feed for animals
CN209828892U (zh) 一种饲料酶制剂添加设备
KR200230364Y1 (ko) 사료혼합기용 교반장치
KR200181117Y1 (ko) 농업용 배합기의 칼날고정장치
CN105903379A (zh) 一种饲料搅拌装置
CN219540211U (zh) 一种应用于饲料加工的定量配料机
CN218012445U (zh) 一种粉料搅拌装置
CN217431425U (zh) 一种仔猪饲喂料配制装置
CN215455293U (zh) 一种饲料熟化机
CN217200316U (zh) 输送机构、播撒装置和无人设备
US11890587B2 (en) Bidirectional fluted auger
CN210256812U (zh) 混炼胶粉状原辅料星型输送装置
GB2232363A (en) Bulk material mixing and/or distributing appliances
GB2081117A (en) Mixing and dispensing machine
CN215463458U (zh) 一种饲料混合机
CN213726073U (zh) 一种饲料添加剂用混合机
JP3258556B2 (ja) 混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質肥料製造装置
KR20210040745A (ko) 인건비 절감을 위한 사료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