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942Y1 -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942Y1
KR200230942Y1 KR2020010003833U KR20010003833U KR200230942Y1 KR 200230942 Y1 KR200230942 Y1 KR 200230942Y1 KR 2020010003833 U KR2020010003833 U KR 2020010003833U KR 20010003833 U KR20010003833 U KR 20010003833U KR 200230942 Y1 KR200230942 Y1 KR 200230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 shaft
input device
driver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철
Original Assignee
임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철 filed Critical 임영철
Priority to KR2020010003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942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재품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하기 위한 원형가이드와; 상기 원형가이드와 적어도 2개 이상이 대칭되도록 연결된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에 연결되고, 일면과 이면을 가지며, 이면이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한 것을 차량의 구동축에 전달할 수 있는 차량 구동축 연결부와; 상기 차량 구동축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자재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손쉽게 컴퓨터와 차량항법장치의 입력장치에 접촉하여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받아 볼 수 있고, 텔레비젼이나 오디오를 손쉽게 구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차량용 핸들 산업 상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A motorcar handle having input equipment of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서 컴퓨터를 활용하고, 항법장치를 사용시 보다 편리하게 운전자가 검색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통상 가정 혹은 사무실에서 사용되던 컴퓨터가 차량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차량 이동시에도 신속하게 정보를 찾아 볼 수 있고, 이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긴급자료를 스캔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인공위성과 연계되어 이동되는 지역의 도로상황이나, 최종 목적지를 지도의 차량항법장치에 의해 손쉽게 찾아가게 되었다.
이러한 차량 위성항법장치는 위성이 발사하는 전파를 지상에서 수신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한 모니터에 현재의 차량 위치,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등을 표시하여 주는 도로교통 안내장치로 이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운전자는 초행길의 목적지도 상기 위성항법장치의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큰 불편 없이 찾아갈 수 있는 것이다.
차량에서의 컴퓨터 활용 및 차량항법장치의 이용은 운전자 및 승차자들에게는 그 편리함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현재 이러한 컴퓨터는 키보드와 입력단자와 같은 부속되어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치거나, 컴퓨터에 명령을 지시하고, 또한 항법장치도 찾고자 하는 지역 및 지형지물의 검색을 수행할 시, 입력단자를 눌러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핸들에는 상기의 컴퓨터 및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이러한 컴퓨터 및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고자하는 경우, 운전자의 위치와 컴퓨터를 이용할 시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찾아야 하고, 차량항법장치는 핸들에서 손을 떼어 차량항법장치의 입력단자를 눌러야 하는 불편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정차 혹은 주차하여 이러한 컴퓨터 및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하였다.
또한, 운전자가 주차나 정차를 할 수 없는 고속화도로에서의 운행과 같은 경우가 발생하면 운전자는 컴퓨터 및 차량항법장치가 운전자의 위치에서 벗어난 곳에 있기 때문에 핸들에서 손을 놓고 상기 컴퓨터 및 차량항법장치의 입력장치 및 입력단자를 찾는데 주의력을 분산하기에 교통사고의 위험도 있었고, 만약, 교통사고의 위험을 느낀다면 운전자는 차량운전중 상기의 컴퓨터 및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손쉽게 컴퓨터와 차량항법장치의 입력장치에 접촉하여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받아 볼 수 있고, 텔레비젼이나 오디오를 손쉽게 구동을 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은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하기 위한 원형가이드와; 상기 원형가이드와 적어도 2개 이상이 대칭되도록 연결된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에 연결되고, 일면과 이면을 가지며, 이면이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한 것을 차량의 구동축에 전달할 수 있는 차량 구동축 연결부와; 상기 차량 구동축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자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의 평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원형가이드 12 : 지지부들
13 : 차량구동축연결부 20 : 입력장치
21 : 키보드영역 22 : 차량항법장치의 구동입력단자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하기 위한 원형가이드(11)와; 상기 원형가이드(11)와 적어도 2개 이상이 대칭되도록 연결된 지지부들(12)과; 상기 지지부들(12)에 연결되고, 일면과 이면을 가지며, 이면이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한 것을 차량의 구동축에 전달할 수 있는 차량 구동축 연결부(13)와; 상기 차량 구동축 연결부의 일면에는 전자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20)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이다.
상기의 본 고안의 기술적인 수단을 보게되면은, 운전자가 핸들의 원형가이드를 손으로 잡고 돌리는 등 회전을 하면은 상기 지지부들과 연결된 차량 구동축연결부의 이면에 연결된 차량의 구동축(미도시)에 전달하여 바퀴가 회전되어 차량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핸들에 형성된 차량 구동축 연결부의 일면 상에 전자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를 부가하여 운전중에도 운전자가 손쉽게 전자제품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의 전자제품은 컴퓨터, 차량항법장치, 오디오 및 텔레비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는 컴퓨터인 경우에는 키보드, 차량항법장치인 경우에는 그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단자, 오디오인 경우에는 오디오의 구동단자와 텔레비젼인 경우에는 텔레비젼의 구동단자가 선택되어서 적용할 수 있으며, 조합되어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예로써, 도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차량구동축 연결부(13)상에 키보드영역(21)과 차량항법장치의 구동 입력단자영역(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제시한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품들의 입력단자들을 핸들의 차량구동축 연결부의 일면에 형성하는 것은 통상 전기 및 전자적인 기술적인 수단이 없다고 할 지라도 충분히 가능한 기술이다(미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입력단자가 내장된 차량용 핸들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손쉽게 컴퓨터와 차량항법장치의 입력장치에 접촉하여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받아 볼 수 있고, 텔레비젼이나 오디오를 손쉽게 구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차량용 핸들 산업 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하기 위한 원형가이드(11)와;
    상기 원형가이드(11)와 적어도 2개 이상이 대칭되도록 연결된 지지부들(12)과;
    상기 지지부들(12)에 연결되고, 일면과 이면을 가지며, 이면이 차량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바퀴를 조정한 것을 차량의 구동축에 전달할 수 있는 차량 구동축 연결부(13)와;
    상기 차량 구동축 연결부(13)의 일면에는 전자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은 컴퓨터, 차량항법장치, 오디오 및 텔레비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컴퓨터용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컴퓨터용 키보드영역, 차량항법장치의 입력단자영역, 오디오 구동단자영역 및 텔레비젼 구동단자영역이 선택되거나 혹은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KR2020010003833U 2001-02-15 2001-02-15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KR200230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833U KR200230942Y1 (ko) 2001-02-15 2001-02-15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833U KR200230942Y1 (ko) 2001-02-15 2001-02-15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942Y1 true KR200230942Y1 (ko) 2001-07-19

Family

ID=7306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833U KR200230942Y1 (ko) 2001-02-15 2001-02-15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9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362B1 (en) Steering wheel interface for vehicles
US6300870B1 (en) Automotive digital rear window display unit
WO1998042539A3 (en) Driver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control parameters and easy to utilize switches
US8155832B2 (en) Apparatus for remote operation
US5465632A (en) Steering wheel having a stationary display
JPH1097821A (ja) 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機器の操作装置
US6958687B1 (en) Motor vehicle U-turn signal
US20100326229A1 (en) Steering wheel switch module
KR200230942Y1 (ko) 전자제품의 입력장치가 내장된 자동차 핸들
CN204309880U (zh) 一种电动汽车的智能方向盘
JP2005096656A (ja) 車両用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スイッチ
KR101870504B1 (ko) 스티어링 휠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4338442A (ja) 車両用操作装置
KR970065173A (ko) 자동차용 주변 인식시스템
WO2017216869A1 (ja) 車両用入力装置
JP200132854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イッチの構造
RU2148515C1 (ru) Рулевое управлени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S2197011A1 (es) Sistema de antirrobo de vehiculos automoviles y dispositivo.
KR101871474B1 (ko) 조정 레버 경적음 장치
US20050046279A1 (en) Steering wheel high beam switch
JPS6331470Y2 (ko)
EP4365031A3 (en) Content display device for road vehicle and relative road vehicle
AU2003298132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steering control system
JP2004359003A (ja) 車両用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30033260A (ko) 자동차의 에어콘 및 히터구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