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394Y1 -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394Y1
KR200230394Y1 KR2019950013313U KR19950013313U KR200230394Y1 KR 200230394 Y1 KR200230394 Y1 KR 200230394Y1 KR 2019950013313 U KR2019950013313 U KR 2019950013313U KR 19950013313 U KR19950013313 U KR 19950013313U KR 200230394 Y1 KR200230394 Y1 KR 200230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reciprocating compressor
frame
lubrication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200U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13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394Y1/ko
Publication of KR970002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394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크랭크축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주베어링 대신 180도의 부분베어링을 채용함으로 베어링의 부하능력 및 윤활특성은 그대로 유지한채 마찰면적만 반으로 줄임으로 압축기의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고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축과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지는 저널 베어링부의 마찰손실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축기의 전동부는 도 1 및 도 2 와 같이 프레임(8)의 중앙에 삽입되어 로터(6)와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축(7)과, 상기 크랭크축(7)의 중심과 편심되어 있는 편심부(5)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었고, 상기 편심부(5)에 슬라이더(4)와피스톤(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2)의 일단에 실린더(1)가 설치되어 프레임(8)에 볼트체결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 은 크랭크핀이고 10은 오일을 나타낸다.
밀폐형 압축기의 기구부와 그에 해당하는 윤활부의 구성요소를 서술하면 각각 다음과 같다.
먼저 크랭크축(7)의 윤활부는 크랭크샤프트/프레임부(A,B)와 크랭크핀/슬라이더부이고, 슬라이더(4)의 윤활부는 슬라이더/크랭크핀부이며, 피스톤(2)의 윤활부는 피스톤/실린더부 등이 있다.
상기의 윤활부중 마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슬라이더/크랭크핀의 윤활부로서 운동모드가 회전운동이 아닌 미끄럼운동에 기인한다.
그리고 마찰손실이 가장 높은 부분은 크랭크축/프레임의 윤활부(A,B)로서 넓은 습동면적에 기인한다.
각 윤활부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식은 도 2 와 같이 크랭크축(3)이 회전운동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윤활유(10)를 크랭크축(3) 내부의 관을 통하여 유입하여 크랭크축의 급유공을 통하여 펌핑하거나 크랭크축(3) 상부로 비산시켜서 윤활부에 급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압축기 윤활부중 크랭크측과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지는 저널 베어링 부분은 마찰손실이 가장 큰 부분으로서 고효율압축기 개발을 위해서는 이부분의 마찰손실을 저감시켜야 할 선행과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프레임면중 윤활에 기여하지 않는 일측면에 크랭크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서, 베어링의 부하능력 및 윤활특성은 그대로 유지시킨채 마찰면적만 절감시켜서 압축기의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크랭크축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 상·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왕복동 압축기에는, 회전 운동하는 크랭크축(101)과, 상기 크랭크축(101)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레임(102)이 구비된다.
이는 상술했던 일반적인 왕복동 압축기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의 특징부는, 상기 크랭크축(101)을 지지하는 프레임면중 윤활에 기여하지 않는 일측면, 즉 크랭크축(101)과 면 접촉되는 프레임의 내주면 중상·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크랭크축(101)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 절개부(103)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103)는 프레임(102)의 내주면 상·하 어느 양측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180°의 각도로 나뉘어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측에선 하측으로 연장하여 나선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 는 저널베어링부의 유체압력 발생도로서 베어링 전주면 중에서 약 180도 구간만이 압력이 발생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베어링면 중에서 약 절반만이 윤활작용에 기여하므로 나머지 윤활에 영향이 없는 절반부분은 크랭크축(101)과 접촉되지 않도록 잘라내어 크랭크축의 회전시 마찰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베어링역할을 하는 프레임면의 a,b,c,d 면 중에서 실제 동작시 크랭크축의 편심을 고려하여 실제 윤활면이 되는 b,c 부분(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현상태를 유지하고 윤활에 기여하지 않는 a,d 부분(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을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주 베어링 대신 180도의 부분베어링을 채용함으로 베어링의 부하능력 및 윤활능력 및 윤활특성은 그대로 유지한채 마찰면적만 반으로 줄임으로 압축기의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고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압축 구동부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압축기의 윤활부 단면도.
도 3 은 종래 저널베어링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저널베어링 구성도.
도 5 는 저널베어링에서의 유체압력 발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크랭크축 102 : 프레임

Claims (2)

  1.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크랭크축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 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 상·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압축기의 크랭크축 윤활장치.
KR2019950013313U 1995-06-13 1995-06-13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KR200230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313U KR200230394Y1 (ko) 1995-06-13 1995-06-13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313U KR200230394Y1 (ko) 1995-06-13 1995-06-13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200U KR970002200U (ko) 1997-01-24
KR200230394Y1 true KR200230394Y1 (ko) 2002-02-19

Family

ID=6086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313U KR200230394Y1 (ko) 1995-06-13 1995-06-13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3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200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548A (en) Motor bearing lubrication in rotary compressors
JP2008528868A (ja) 圧縮機連接棒用軸受
KR200230394Y1 (ko) 왕복동압축기의크랭크축윤활장치
CN1038445C (zh) 固定叶片转动式压缩机
JP2012077728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US5252039A (en) Enclosed motor-driven compressor
JP3356460B2 (ja) 密閉型圧縮機
KR200152161Y1 (ko) 압축기의 윤활 구조
KR100226408B1 (ko) 압축기의 오일픽업장치
KR011548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윤활구조
KR0132991Y1 (ko) 왕복동 압축기
KR880004328Y1 (ko) 밀폐형압축기의 윤활장치
KR20230064104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016507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 샤프트 구조
KR940001628B1 (ko) 가로형 로터리식 압축기
KR100214778B1 (ko) 윤활홈을 지닌 압축기용 샤프트
KR0129350Y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슬라이더 구조
JPS62103488A (ja) 圧縮機
KR200205394Y1 (ko) 압축기의 윤활유공급구조
JP2002227764A (ja) オイルフリー単動往復動式流体機械におけるクランク軸
KR19980056167U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마찰방지구조
KR100235759B1 (ko) 고윤활 구조의 샤프트를 지닌 압축기
KR200162289Y1 (ko) 스카치요크식 압축기의 윤활구조
KR0133897Y1 (ko) 밀폐형 압축기
US20030077011A1 (en) Journal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